공기출
012345678
 
[유튜브] 23화재조사 및 보고규정(feat.전면개정)
직렬


회계원리-사정답(2017-10-05 / 210.2KB / 611회)


회계원리-처정답(2017-10-05 / 209.9KB / 206회)


2015 국가직 9급 회계원리 해설 김성수 (2017-10-05 / 310.2KB / 1,121회)


2015 국가직 9급 회계원리 해설 이종하 (2017-10-05 / 195.8KB / 747회)


회계원리 사 책형 1 쪽 회계원리 본 과목 풀이 시 기업의 보고기간(회계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기업은 계속해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을 적용해 오고 있다고 가정한다. 문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재무정보의 질적 특성은? 재무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서술이 완전하고, 중립적이며, 오류가 없어야 한다. ① 목적적합성 ② 검증가능성 ③ 충실한 표현 ④ 비교가능성 문 2. 주식회사의 자본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는 거래는? ① 임의적립금을 적립하다. ② 이익준비금을 재원으로 무상증자를 실시하다. ③ 주식배당을 실시하다. ④ 주주로부터 자산을 무상으로 기부받다. 문 3. 사채의 발행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할인발행은 유효이자율이 표시이자율보다 큰 경우이다. ② 할증발행의 경우 발행연도의 현금지급이자는 사채이자비용보다 크다. ③ 할인발행의 경우 만기가 가까워질수록 사채의 이자비용이 감소한다. ④ 할증발행과 할인발행은 사채의 만기금액이 동일하다. 문 4. 기말재고자산은 개별법, 평균법 및 선입선출법 등의 방법으로 평가한다. 이와 같은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① 부채비율 ② 당좌비율 ③ 이자보상비율 ④ 주가이익비율 문 5. 다음은 2014년 12월 31일 현재 (주)한국의 재고자산과 관련한 자료이다. 재무상태표에 표시되는 재고자산의 금액은? ○ 매입을 위해 운송 중인 상품 ₩ 250 (FOB선적지기준 : ₩ 150, FOB도착지기준 : ₩ 100) ○ 시송품 중 매입의사가 표시되지 않은 상품 : 판매가 ₩ 260 (원가에 대한 이익률 30 %) ○ 적송품 중 판매되지 않은 상품 ₩ 300 ○ 창고재고 ₩ 1,000원 (수탁상품 ₩ 100 포함) ① ₩ 1,550 ② ₩ 1,610 ③ ₩ 1,710 ④ ₩ 1,750 문 6. 다음 자료에 의하여 당기총포괄이익을 계산하면? (단, 법인세는 무시한다) <재무상태표> 기 초 기 말 자 산 ₩ 15,000 ₩ 25,000 부 채 ₩ 7,000 ₩ 10,000 <기중변동내역> 당기발생액 유상증자 ₩ 3,000 현금배당 ₩ 500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 1,500 ① ₩ 1,500 ② ₩ 3,000 ③ ₩ 4,500 ④ ₩ 6,000 문 7. (주)한국은 다음과 같이 1개월 동안의 경영성과에 대해 현금기준 포괄손익계산서를 작성하였다. 발생기준 포괄손익계산서로 작성할 경우 당기순이익은? (단, 법인세는 무시한다) ○ 현금기준 포괄손익계산서 (3월 1일 ~ 3월 31일) 매출 관련 현금수입 ₩ 1,820,000 급료 및 일반관리비 관련 현금지출 ₩ 1,220,000 당기순이익 ₩ 600,000 ○ 3월 1일과 3월 31일의 매출채권, 매입채무, 미지급비용, 선급비용 내역 3월 1일 3월 31일 ∙매출채권 ₩ 35,000 ₩ 43,000 ∙매입채무 ₩ 48,000 ₩ 54,000 ∙미지급비용 ₩ 42,000 ₩ 35,000 ∙선급비용 ₩ 21,000 ₩ 26,000 ① ₩ 590,000 ② ₩ 600,000 ③ ₩ 610,000 ④ ₩ 614,000 회계원리 사 책형 2 쪽 문 8. (주)한국의 최고재무책임자(CFO)인 홍길동 전무가 2014년 12월 31일 결산 후 추가성과급을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단, 법인세는 무시한다) ○ 홍길동 전무는 2014년 12월 31일 결산 후 (주)한국의 주당순이익이 ₩500 이상이면 추가성과급을 받는 조건의 근로계약이 체결되어 있다. ○ (주)한국의 2014년 12월 31일 장부 마감 전 당기순이익은 ₩ 6,000,000이다. ○ 비참가적우선주에 대한 우선주배당금은 ₩ 240,000이다. ○ (주)한국의 보통주 관련 자료는 다음과 같다. ∙2014년 1월 1일 : 10,000주 ∙2014년 7월 1일 (납입기일) : 유상증자 5,000주 ∙2014년 10월 1일 : 자기주식 2,000주 취득 ① 주당순이익이 ₩500 이상이므로 아무런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 ② 재고자산의 평가방법을 변경하여 기말재고자산 잔액을 ₩ 200,000 증가시킨다. ③ 유형자산의 내용연수를 변경하여 당해연도 감가상각액을 ₩ 230,000 감소시킨다. ④ 장부가액이 ₩ 500,000인 유형자산을 현금 ₩ 750,000을 받고 장부마감 전 매각처분한다. 문 9. (주)한국은 2012년에 (주)민국과 컨설팅용역을 3년간 제공하기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총계약금액은 ₩5,000,000이다. (주)한국의 용역수익 인식은 진행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3년 동안의 컨설팅 용역과 관련된 원가 자료는 다음과 같다. (주)한국의 2013년 용역이익은? 2012년 2013년 2014년 당기발생 용역원가 ₩ 600,000 ₩ 900,000 ₩ 1,700,000 용역완료 시까지 추가소요 용역원가 ₩ 2,400,000 ₩ 1,500,000 ① ₩ 600,000 ② ₩ 975,000 ③ ₩ 1,000,000 ④ ₩ 1,600,000 문 10. (주)한국은 2013년 1월 1일 자금조달을 위해 액면가액 ₩ 10,000, 표시이자율 6 %, 만기 3년, 매년 말 이자지급 조건의 사채를 발행하였다. 사채를 발행할 당시 시장이자율이 12 %였다면, 2014년도에 인식할 사채 관련 이자비용은? (단, 사채발행 시 사채의 현재가치는 아래의 현재가치표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계산과정에서 현가계수 외의 소수점 이하는 소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다) 기간 6 % 12 % 단일금액 연금 단일금액 연금 3년 0.84 2.67 0.71 2.40 ① ₩ 696 ② ₩ 1,025 ③ ₩ 1,076 ④ ₩ 1,198 문 11. 시산표를 작성함으로써 발견할 수 있는 오류는? ① 상품을 판매한 거래에 대하여 두 번 분개한 경우 ② 거래를 분개함에 있어서 차입금 계정의 차변에 기록하여야 하는데 대여금 계정의 차변에 기록한 경우 ③ 실제 거래한 금액과 다르게 대변과 차변에 동일한 금액을 전기한 경우 ④ 매출채권 계정의 차변에 전기해야 하는데 대변으로 전기한 경우 문 12. 이자와 배당금의 현금흐름표 표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금융기관이 아닌 경우 배당금 지급은 재무활동현금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② 금융기관이 지급이자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하고, 지급이자를 자본화하는 경우에는 주석으로 공시한다. ③ 금융기관이 아닌 경우 이자수입은 당기순손익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할 수 있다. ④ 금융기관의 경우 배당금수입은 일반적으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으로 분류한다. 문 13. 무형자산의 인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내부 프로젝트의 연구 단계에 대한 지출은 자산의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있다. ② 개발 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모두 무형자산으로 인식한다. ③ 사업결합으로 취득하는 무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무형자산 으로 인식하지 아니한다. ④ 내부적으로 창출한 브랜드, 출판표제, 고객 목록과 이와 실질이 유사한 항목은 무형자산으로 인식한다. 문 14. (주)한국의 기말수정사항이 다음과 같을 때, 기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