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형 1 쪽 국 어 문 1. 다음 중 로마자 표기법이 옳지 않은 것은? ① 백령도 Baengnyeongdo ② 울릉도 Ulleungdo ③ 북한산 Bukhansan ④ 압록강 Amrokgang 문 2. 다음 중 어휘의 사용이 정확한 것은? ① 박 교수님은 대증 요법을 통해 난치병을 극복하셨다. ② 이 선생님은 학생들과 일 년 동안 동거동락하였다. ③ 부모님들은 주구장창 자식 걱정뿐이다. ④ 최 과장님은 오곡백화가 무르익는 가을에 결혼을 하셨다. 문 3. ㉠∼㉣ 중 다음 밑줄 친 ‘먹기’와 품사가 같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나는 배가 고파 더 많이 먹기 시작했다. ․그는 밤새 믿기지 않는 ㉠꿈을 꾸었다. ․그는 ‘초상화를 잘 ㉡그림’이라고 썼다. ․그의 ㉢바람은 내가 건강해지는 것이었다. ․그는 빙그레 ㉣웃음으로써 마음을 전했다. ① ㉠, ㉡ ② ㉠, ㉣ ③ ㉡, ㉢ ④ ㉡, ㉣ 문 4. 다음 문장 중 띄어쓰기가 잘못된 것은? (‘∨’는 띄어쓰기 표시임) ① 이번∨올림픽에서∨메달을∨몇∨개나∨딸∨수∨ 있을∨지∨궁금하다. ② 오늘은∨자동차를∨수리하는∨데∨필요한∨공구를∨ 사야겠다. ③ 식사를∨할∨때에는∨먹을∨만큼만∨덜어∨먹도록∨ 하여라. ④ 우리는∨수험생이므로∨열심히∨공부할∨수밖에∨없다. 문 5. <보기>와 같은 유형의 잘못된 표현을 하고 있는 문장은? <보 기> 참석자의 과반수 이상이 그 안건에 찬성하였다. ① 옛날 선비들은 자연 속에서 여생을 즐겼다. ② 가족과 함께 여행을 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③ 바른 사회를 구현하려면 사회악부터 완전히 근절해야 한다. ④ 우리의 후손들을 위해서라도 절대로 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 문 6. 다음 중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나․랏:말․미 中國․귁․에 달․아, 文문字․ ․와․로 서르 ․디 아․니․,․이런 젼․ ․로 어 ․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 ․:내 제․․들 시․러 펴․디 :몯 ․노․미 하․니․라.․내․이․ 爲․윙․하․야 :어엿․비 너․겨,․새․로 ㉠․스․ 믈 여․듧 字․․ ․ 노․니, :사 :마․다 :․ :수․ 니․겨․날․로 ․․메 便뼌安 ․킈 하․고․져 ․미니․라. ① ㅿ ② ③ ᅙ ④ ․ 문 7. 제시된 단어의 의미를 살려 문장을 만드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어 의미 문장 만들기 놀다 일정하게 하는 일이 없이 지내다. ⇒ ① 그는 직장을 그만두고 놀고 있다. 재미있는 일을 하며 즐겁게 지내다. ⇒ ② 우리 회사는 매주 월요일에 논다. 신체부위가일정하게 움직이다. ⇒ ③손이곱아서손가락이제대로놀지않는다. 물자나 시설 따위를 쓰지 않다. ⇒ ④ 부품 공장마다 노는 기계가 없다. 문 8. <보기>와 관련하여, 중세 국어의 어법에 맞지 않는 것은? <보 기> 중세 국어에서 의문은 물음말의 존재 여부에 따라 ‘-ㄴ가’, ‘-ㄹ가’와 같은 ‘아’형 어미와 ‘-ㄴ고’, ‘-ㄹ고’와 같은 ‘오’형 어미를 구별하여 사용하였다. ‘아’형은 물음말이 없는 의문문에 사용되고, ‘오’형은 물음말이 있는 의문문에 사용되었다. 그리고 주어가 2인칭인 의문문에는 물음말의 존재와 관계없이 ‘-ㄴ다’가 사용 되었다. ① 西京(서경)은 편안가 몯가 ② 이도곤 어듸 잇닷 말고 ③ 너 천고 흥망을 아다, 몰다 ④ 쇼양강 린 믈이 어드러로 든단 말가 A형 2 쪽 문 9. <보기>의 밑줄 친 것과 같은 현상을 비판하기에 가장 적절한 말은? <보 기> 근대화라고 불리는 사회의 구조 변화가 충분히 진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당한 부분의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아직도 많이 보존되고 있는 상태에서 외래적인 행위 양식도 적지 않게 확산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중간적인 단계에서의 문화는 일종의 혼합 문화(混合文化)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의 문화적 특징은 생활양식과 가치관 등에서 계층 간, 세대 간,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가 심하고, 소위 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적인 혼재(混在)가 일어나는 상황이다. 사회 성원들은 상황에 따라 이중적인 가치와 규범을 따르지 않을 수 없는 문화의 이중 구조에 속하게 되고, 일반적인 적합성을 가지는 행위 양식을 발견 하기 어려운 아노미(anomie)를 경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아노미 상황에서는 일탈적(逸脫的)인 적응기제 (適應機制)들이 많이 나타나기도 하고, 소위 가치관의 혼란과 왜곡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사회 성원들은 관념적으로는 민주주의적 가치를 받아들이고 있으면서도, 실제의 행위 양식에서는 권위주의적 규범에 더 가깝게 행동하는 등 가치와 가치, 가치와 규범, 규범과 규범 간의 갈등과 혼란이 일어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과도적인 가치와 규범은 흔히 외래적인 가치의 왜곡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본주의와 함께 도입되는 물질주의는 배금주의(拜金主義)나 황금만능주의로 변질되기 쉽고, 근대적 시민 사회의 중심적 가치의 하나인 개인주의는 이기주의로 전락되기 쉬운 것이다. - 임희섭, 『사회변동과 문화변동』 ① 송충이가 갈잎을 먹으면 죽는다. ②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된다. ③ 개 꼬리 삼 년 묵어도 황모 되지 않는다. ④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가 찢어진다. 문 10. 다음 글에 어울리는 고사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30년 가까이 한 우물을 판 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가 ‘기업인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정○○ 대표가 창업한 △△산업은 1981년 창업 초기부터 염료 한 분야에 전력해 반응성 염료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