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출
012345678
 

 

국어1정답(2023-05-08 / 629.4KB / 3,674회)

 

 2023년도 8급 공개경쟁채용시험 국 어 책형 가- 1 - 국 어 1. 안긴문장의 유형이 다른 것은? ① 아이들은 장난을 좋아하기 마련이에요. ② 이러다가는 버스를 놓치기 십상이다. ③ 공부가 어렵기는 해도 결국 저 하기 나름이에요. ④ 비가 많이 오기 때문에 공사를 할 수 없다. ⑤ 나는 하루도 달리기를 거른 기억이 없다. 2.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은? ① 독감 유행이 지나가는 대로 다시 올게. ② 우리는 서로 걸맞는 짝이 아니라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 ③ 컴퓨터에 익숙지 않으면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데 어려 움이 크다. ④ 돌이켜 생각건대, 김 선생님은 정말 누구에게나 존경받을 만한 분이오. ⑤ 저는 솔직히 기대치도 않은 선물을 받아서 고마웠어요. 3. ㉠과 같은 표현 기법이 활용된 것은? 아아 ㉠광고의 나라에 살고 싶다 사랑하는 여자와 더불어 행복과 희망만 가득찬 절망이 꽃피는, 광고의 나라 - 함민복, 광고의 나라 에서 - ①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② 이 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③ 내 마음은 나그네요 / 그대 피리를 불어주오 ④ 구름에 달 가듯이 / 가는 나그네 ⑤ 어둠은 새를 낳고, 돌을 / 낳고, 꽃을 낳는다 4.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한 것은? 현대에 들어서 성격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은 프로이트를중심으로 하는 정신역동학에서 이루어졌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인간 행동에 미치는 무의식의 영향을 강조하면서 무의식이억압된욕구에 의해 형성된다고 주장했는데 개인이 스스로의 욕구를조절하는 방식을 성격이라고 보았다. 어려서부터 자신의욕구가좌절되고 충족되는 과정을 통해 성격이 형성되고 그중에서충족될 수 없는 욕구와 그를 둘러싼 갈등이 무의식으로 억압된다는것이다. 그런데 정신역동학은 성격의 형성 과정과 성격이개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는 관심이 있었지만, 성격을 유형화하려는시도는 하지 않았다. 융은 다른 정신역동학자와 달리 오랫동안 역사와 문화를공유한 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존재하는 무의식을 강조했다. 이때문에 융은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이라는 개인적 요인보다는집단무의식 수준의 보편적 원리들이 작동하여 성격이 형성된다고보았다. 특히 융은 인간의 정신이 대립원리에 의해 작동한다고주장했는데, 대립원리란 개인 내에 존재하는 대립 혹은 양극적인힘이 갈등을 야기하고, 이 갈등이 정신 에너지를 생성한다는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융의 주장을 근거로 194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