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08 국가 9급 건축구조-나정답(2023-04-08 / 271.0KB / 285회)
230408 국가 9급 건축구조-나정답(2023-04-08 / 508.0KB / 54회)
2023 국가직 9급 건축구조 해설 안병관 (2023-04-12 / 955.3KB / 182회)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건축구조 나 책형 1쪽 건축구조 본 문제는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기준코드(구조설계기준: KDS 14 00 00, 건축구조기준: KDS 41 00 00, 특수목적 건축기준: KDS 43 00 00)에 부합하도록 출제함 1. 건축물 내진설계에 대한 용어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감쇠는 점성, 소성 또는 마찰에 의해 구조물에 입력된 동적 에너지가 소산되어 구조물의 진동이 감소하는 현상이다. ② 중간모멘트골조는 지진력의 25 % 이상을 부담하는 연성모멘트 골조가 전단벽이나 가새골조와 조합되어 있는 구조방식이다. ③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진에 의한 진동으로 특정위치에서의 지반이 수평 2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움직인 가속도의 절대값의 최댓값이다. ④ 내진성능수준은 설계지진에 대해 시설물에 요구되는 성능수준으로 기능수행수준, 즉시복구수준, 장기복구/인명보호수준과 붕괴방지 수준으로 구분된다. 2.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 적용되는 강도감소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① 인장지배단면 ② 포스트텐션 정착구역 ③ 스트럿-타이모델에서 스트럿, 절점부 및 지압부 ④ 무근콘크리트의 휨모멘트, 압축력, 전단력, 지압력 3. 철근콘크리트 설계에서 인장이형철근의 정착길이 산정에 사용되는 보정계수가 아닌 것은? (단, 정착길이는 기본정착길이에 보정계수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구한다) ① 마찰계수 ② 도막계수 ③ 경량콘크리트계수 ④ 철근배치 위치계수 4. 그림과 같은 양단 지지조건을 가지는 강구조 압축재에 대한 탄성 좌굴하중의 비 (a) : (b) : (c)는? (단, 압축재의 길이, 재질 및 단면은 모두 동일하며, 자중은 무시하고 유효좌굴길이계수는 이론값을 적용한다) ① 4 : 2 : 1 ② 1 : 2 : 4 ③ 16 : 4 : 1 ④ 1 : 4 : 16 5. 건축구조기준에서 강도설계법 또는 한계상태설계법으로 구조물을 설계하는 경우 하중조합으로 옳은 것은? (단, 고정하중(D), 활하중(L), 지진하중(E), 풍하중(W), 적설하중(S)만 고려하며, 활하중에 대한 하중계수 저감은 고려하지 않는다) ① 1.4D + 1.0W ② 1.2D + 1.6L + 0.5S ③ 1.2D + 1.0E + 1.0L + 0.5S ④ 0.9D + 1.3W + 1.0L + 0.2S 6. 그림과 같이 도심을 지나는 축, 축에 대한 직사각형 단면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축에 대한 단면1차모멘트는 0이다. ② 축, 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는 0이다. ③ 주축은 서로 직교하지 않고 45 °의 각도를 이룬다. ④ 주축에 대한 단면상승모멘트는 0이다. 7.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하며, 보의 길이는 일정하고, 보의 전 길이에 걸쳐 재질 및 단면은 동일하며, 부재는 선형 탄성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① 하중 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폭()이 2배가 되면 부재의 최대 처짐은 2배가 된다. ② 하중 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높이()가 2배가 되면 부재의 최대 처짐은 1/4배가 된다. ③ 하중 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폭()이 2배가 되면 부재의 축방향 변위는 1/4배가 된다. ④ 하중 만 작용할 경우, 단면의 높이()가 2배가 되면 부재의 축방향 변위는 1/2배가 된다. 8. 그림과 같은 캔틸레버 보에서 b점과 c점의 처짐을 각각 와 라고 할 때, 두 처짐의 비 는? (단, 보의 자중은 무시하며, 보의 전 길이에 걸쳐 재질 및 단면은 동일하고, 부재는 선형 탄성으로 거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① ② ③ ④ 9. 조적구조의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적허리벽이 모멘트골조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허리벽에 의한 기둥길이의 감소효과를 구조해석과 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② 조적채움벽이 모멘트골조로부터 이격되지 않아서 구조요소로 역할을 할 경우에는 채움벽의 영향을 구조해석에서 고려해야 한다. ③ 철근콘크리트모멘트골조 또는 철골모멘트골조의 내부에 밀착하여 채움벽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채움벽의 강성 및 강도 기여도를 고려해야 한다. ④ 철근콘크리트모멘트골조 또는 철골모멘트골조의 내부에 밀착된 채움벽체의 대각방향 압축대의 강도는 골조의 강성을 고려한 유효폭을 산정하여 골조의 강도 및 강성 증가 효과를 고려한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건축구조 나 책형 2쪽 10. 목구조 부재설계기준에서 수평하중저항구조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바닥격막구조는 콘크리트구조 및 조적조에 따라 유발되는 지진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② 모든 격막구조는 인장 및 압축 하중을 전달하도록 가장자리에 경계부재를 설치하여야 한다. ③ 개구부 주변의 경계부재는 전단응력을 분산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④ 격막의 덮개용 목질판상재를 경계부재의 이음에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11. 지반개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반의 지지력 증대, 기초의 부등침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실시한다. ② 주입공법은 시멘트, 약액 등을 주입하여 고결시키는 공법이다. ③ 웰포인트 공법은 주로 연약 점토질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치환공법이다. ④ 바이브로 플로테이션 공법은 주로 사질지반 개량에 사용되는 다짐공법이다. 12. 건축물 내진설계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건물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내진등급과 내진설계 중요도계수를 결정한다. ② 내진등급은 내진특등급, 내진Ⅰ등급, 내진Ⅱ등급, 내진Ⅲ등급으로 구분된다. ③ 평면비정형성의 유형에는 비틀림비정형, 요철형평면, 격막의 불연속, 면외 어긋남, 비평행시스템이 있다. ④ 수직비정형성의 유형에는 강성비정형-연층, 중량비정형, 기하학적 비정형, 횡력저항 수직저항 요소의 비정형, 강도의 불연속-약층이 있다. 13. 특수목적 건축기준에서 케이블구조 및 막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케이블구조는 주로 휨응력과 전단응력을 받을 목적으로 케이블 부재로 시공되는 구조이다. ② 케이블구조의 형상은 케이블의 장력분포와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초기형상해석을 수행한다. ③ 막구조는 자중을 포함하는 외력이 막응력에 따라 저항되는 구조물로서, 휨 또는 비틀림에 대한 저항이 작거나 또는 전혀 없는 구조이다. ④ 공기막구조는 공기막 내외부의 압력차에 따라 막면에 강성을 주어 형태를 안정시켜 구성되는 구조이다. 14.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에서 수축ㆍ온도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슬래브에서 휨철근이 1방향으로만 배치되는 경우, 이 휨철근에 직각방향으로 수축ㆍ온도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②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ㆍ온도철근비는 콘크리트 전체 단면적에 대한 수축ㆍ온도철근 단면적의 비로 한다. ③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배치되는 수축ㆍ온도철근의 간격은 슬래브 두께의 6배 이하, 또한 500 mm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④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수축ㆍ온도철근은 설계기준항복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정착되어야 한다. 15. 그림과 같은 2방향 직사각형 독립 기초판의 단변방향으로 배근할 전체 철근량이 15,000 mm2이면, 유효폭 내에 배근해야 하는 단변방향 철근량[mm2]은? ① 10,000 ② 12,000 ③ 12,500 ④ 13,500 16. 다음 그림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P-M 상관도에 기둥의 세장비에 따른 파괴양상을 표현하였다. (가) ~(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나) (다) ① 재료파괴 재료파괴 좌굴파괴 ② 재료파괴 좌굴파괴 좌굴파괴 ③ 좌굴파괴 재료파괴 재료파괴 ④ 좌굴파괴 좌굴파괴 재료파괴 17. 강구조 설계에서 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필릿용접의 유효면적은 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것으로 한다. ② 필릿용접의 유효길이는 필릿용접의 총길이에서 용접치수의 2배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③ 플러그용접과 슬롯용접의 유효길이는 목두께의 중심을 잇는 용접중심선의 길이로 한다. ④ 강도를 기반으로 하여 설계되는 필릿용접의 최소길이는 공칭용접 치수의 3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18. 다음은 온도변화에 따른 강재의 특성에 관한 내용이다. (가) ~(다)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일반적으로 강재는 저온 상태가 되면 (가) 와/과 (나) 이 급격히 감소하여 (다) 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가) (나) (다) ① 인장강도 전단강성 취성파괴 ② 인장강도 단면수축률 연성파괴 ③ 연신율 전단강성 연성파괴 ④ 연신율 단면수축률 취성파괴 19. 강구조 설계에 대한 용어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자유돌출판은 하중의 방향과 평행하게 양면이 직각방향의 판요소에 의해 연속된 압축을 받는 평판요소이다. ② 스켈럽은 용접선의 단부에 붙인 보조판으로 용접의 시작부나 종단부에서 용착금속의 결함 방지를 위하여 사용한다. ③ 블록전단파단은 접합부에서, 한쪽 방향으로는 인장파단, 다른 방향으로는 전단항복 혹은 전단파단이 발생하는 한계상태이다. ④ 인장역작용은 하중점과 볼트, 접합된 부재의 반력 사이에서 지렛대와 같은 거동에 의해 볼트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증폭되는 작용이다. 20. 건축물 기초구조 설계기준에서 깊은 지하층의 지하외벽 및 바닥구조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하외벽구조는 지상층구조의 횡력 영향과 지하외벽에 직접 작용하는 토압 및 수압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② 지하연속벽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지하외벽이 영구벽체로 사용되는 경우, 지하연속벽의 수직 시공 이음부의 설계전단강도와 전단강성은 소요전단강도와 소요전단강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③ 1층을 포함한 지하층 바닥구조는 연직하중에 의한 영향뿐만 아니라 지상층구조의 횡력 영향과 지하외벽에 직접 작용하는 횡토압 및 횡수압에 의한 면내압축력도 고려하여야 한다. ④ 지반에 접한 바닥구조는 지하외벽으로부터의 면외하중과 지반 으로부터의 상향 수압 및 토압에 의한 면내하중도 고려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