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포렌식개론정답(2023-09-10 / 679.5KB / 29회)
- 11 - 1. 디지털 증거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디지털 증거의 경우 해당 증거의 내용을 수사관의 지각으로 바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증거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절차(가독화)를 거쳐야 하는 특징이 있다. ② 디지털 증거는 복제를 통해 원본과 동일한 사본을 만들 수 있으나 속성정보(메타데이터)가 변경되기 때문에 해시값도 변경된다. ③ 증거수집분석 등 일련의 취급과정에서 프로그램 조작자의 부주의로 인해 의도치 않게 증거물 파일의 내용이 쉽게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④ 압수대상이 되는 디지털 증거는 단독으로 존재하기 보다는 사건과 관련 없는 개인적인 자료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2. 디지털 증거의 동일성・무결성・신뢰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① 무결성과 동일성, 신뢰성이 인정되지 않으면 증거능력이 부정되어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② 무결성은 디지털 증거가 수집 및 분석과정을 거쳐 법정에 제출 되기까지 변경이나 훼손 없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 동일성과 무결성을 증명하는 방법은 원본과 해시값이 동일하다는 피압수자의 확인서면에 의해 증명할 수 있다. ④ 컴퓨터의 기계적 정확성,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되, 수사 기밀 유지를 위하여 결과보고서에는 사용한 하드웨어 장비나 소프트웨어 도구를 기재해서는 안 된다. 3. 세계의 다양한 언어와 문자를 지원하는 국제코드 규약인 유니코드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영문은 1바이트, 한글은 3바이트로 표현하는 코드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ASCII ② EBCDIC ③ BASE64 ④ UTF-8 4. 다음 그림에서 설명하는 구조를 사용하여 USB, 디지털카메라, 메모리카드에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Reserved Area FAT Area Data Area Root Directory File Data Sub Directory File Data ① Boot 섹터는 파일시스템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한다. ② FAT Area는 클러스터의 할당 상태를 판단하며 백업용 FAT는 없다. ③ Data Area에는 실제 파일의 데이터가 존재한다. ④ Directory Entry는 파일과 디렉터리마다 할당된 데이터 구조체 이며, 메타데이터가 포함된다. 5. 「디지털 증거의 처리 등에 관한 규칙」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디지털 증거의 수집은 수사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형사소송법」 등 관계 법령에 따른 적법절차를 준수하여야 한다. ② 디지털 증거 처리의 각 단계에서 업무처리자 변동 등의 이력이 관리되어야 한다. ③ 증거분석관은 신속한 분석과 결과보고서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분석의뢰물 원본을 대상으로 직접 분석하여야 한다. ④ 전자정보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