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 출 복 원 2015년 4월 18일(토) 시행 소방직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www.kfs119.co.kr 신설동본원 1577-7674 본 문제는 당 학원에서 실제 응시 후 100% 복원한 것으로, 문제의 저작권은 당 학원과 출제자에게 있습니다. 무단 복사, 판매 시 저작권법에 의거 경고조치 없이 고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Page 1 1. 오전층 파괴지수(O.D.P)가 제일 큰 것은? ① 할론 1301 ② 할론 1211 ③ 할론 2402 ④ 이산화탄소 2. 아세톤과 휘발유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① 제1석유류 ② 제2석유류 ③ 제3석유류 ④ 제4석유류 3. 소방력 3요소가 아닌 것은? ① 소방인력 ② 장비 ③ 소방설비 ④ 물 4. 다음 중 목재건축물 화재 진행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발화 -발염착화 - 무염착화 - 최성기 ② 무염착화 - 발염착화 - 발화 - 최성기 ③ 발염착화 - 무염착화 - 최성기 -발화 ④ 발화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최성기 5. 다음에 해당하는 스프링클러설비는?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 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 배관 내에 유수가 발생하여 작동 하게 되는 설비 ①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②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③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④ 일제 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6.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신기는 화재시 발신기 또는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거쳐 수신하여 건물 관계자에게 표시 및 음향장치로 알려주는 설비이며 P형은 고유신호로 수신 하고 R형은 공통 신호로 수신한다. ② 발신기는 화재말생신고를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수동으로 발신하는 것을 말한다. ③ 경계구역이란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말한다. ④ 자동화재 탐지설비는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설비로 자동화재 속보 설비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7. 다음 중 재난에 대한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 중에 종류 가 다른 하나는? ① 재난 유형별 사전교육 및 훈련 실시 ② 비상방송 시스템구축 ③ 재난 취약 시설 점검 ④ 자원 관리 체계 구축 8. 다음 중 소방에서 행하는 기능이 아닌 것은? ① 주유취급소 시설에 대한 설치허가 ② 화재경계지구 안의 대상물의 위치, 구조 및 설비 등에 대한 특별 조사 ③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건축허가 ④ 이상기상 특보시 화재경계발령 9. 다음 중 화재피해조사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재로 인한 사망자 및 부상자 ② 연소 상황 조사 ③ 열에 의한 파손, 탄화, 융용등의 피해 ④ 소화활동 중 사용된 물로 인한 피해 10. 다음 중 기상폭발이 아닌 것은? ① 분무폭발 ② 분진폭발 ③ 분해폭발 ④ 증기폭발 기 출 복 원 2015년 4월 18일(토) 시행 소방직 소방학개론 기출문제 www.kfs119.co.kr 신설동본원 1577-7674 본 문제는 당 학원에서 실제 응시 후 100% 복원한 것으로, 문제의 저작권은 당 학원과 출제자에게 있습니다. 무단 복사, 판매 시 저작권법에 의거 경고조치 없이 고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Page 2 11. 이다음 중 물분무소화의 주된 작용은? ① 냉각소화 ② 희석소화 ③ 질식소화 ④ 제거소화 12. 감광계수가 0.3 이며 가시거리는5m 일 때 맞는 상황은? ① 어두침침한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②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 ③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할 때 약간 지장을 느낄 정도 ④ 화재 최성기때의 농도로 유도등이 보이지 않을 경우 13. 기름택크 1/2이하 충전되어 있고 화재 진압시 증기 압력 으로 탱크가 파열되었다 다음은 무슨 현상인가? ① 슬롭오버 ② 보일오버 ③ 오일오버 ④ 플래비현상 14. 가연성 증기가 공기와 혼합하여 기체를 형성하였을 때 연 소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은? ① 수소 ② 이황화탄소 ③ 부탄 ④ 아세틸렌 15. 소방활동 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① 제연설비 ② 무선통신보조설비 ③ 연소방지 ④ 비상방송 16. 물이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장점으로 옳은 것은? ① 증발잠열이 커 냉각효과가 크다 ② 압력을 가하면 압축이 가능하다 ③ 경제적이고 초기소화에 적합하다 ④ 17. 소방의 역사 ① 1426년 세종8년에 금화도감 설치 ② 1925년 최초 소방서 경성소방서 설치됨과 동시에 소방법 제정 ③ 1972년 서울과 부산 이원적 소방행정체제가 시행되었다. ④ 2004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을 공포하였다. 18. 다음 중 정전기 방지를 위한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장소에 접지시설 설치 ② 공기를 이온화하여 정전기 발생을 예방 ③ 공기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한다. ④ 전기의 저항이 큰 물질은 대전이 용이하므로 부도체 물질 을 사용 19. 병원으로 이송을 위한 환자의 중증도를 분류가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사망 또는 생존의 가능성이 없는 환자-지연환자-흰색 ②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하는 환자-응급환자-황색 ③ 수시간, 수일 후 치료해도 생명에 지장이 없는 환자-비응급 환자-녹색 ④ 수분, 수시간 이내 응급처치를 요구하는 단계-긴급환자-적색 20. 고체연소 중 맞는 것은? ① 목재,나프탈렌- 증발연소 ② ③ ④ 플라스틱, 석탄, 면- 분해연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