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학개론 A형 1 / 3 ※ 다음 각 물음에 알맞은 답을 골라 답안지의 같은 번호에 컴퓨 터용 수성 사인펜으로 정확히 표기하시오. 교육학개론 1. 다음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것은? ◦ 교육은 학습자와 교육내용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 교육내용의 내재적 가치는 선험적으로 정당화 된다. ◦ 교육은 합리적인 사고와 지적 안목을 도덕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 교육은 인류의 문화유산이라는 공적(公的) 전통 으로 학생을 안내하는 과정이다. ① 주입(注入)으로서의 교육 ② 주형(鑄型)으로서의 교육 ③ 성년식(成年式)으로서의 교육 ④ 행동수정(行動修正)으로서의 교육 2. 조선시대 교육기관인 서원(書院)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관학(官學)인 향교(鄕校)와 대비되는 사학(私學)이다. ② 퇴계 이황은 서원의 교육목적을 위인지학(爲人之學) 에 두었다. ③ 원규(院規) 혹은 학규(學規)라고 불리는 자체의 규약을 갖추고 있었다. ④ 교육의 기능뿐만 아니라 선현(先賢)을 숭상하고 그의 학덕을 기리는 제사의 기능도 겸하였다. 3.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교육철학은? ◦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이론적 성과를 수용하였다. ◦ 교육 현상에 대해 규범적, 평가적, 실천적으로 접근하였다. ◦ 자본주의 사회의 불평등 문제와 교육의 관련성에 주목하였다. ◦ 인간의 의식과 지식이 사회, 정치, 경제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았다. ① 비판적 교육철학 ② 분석적 교육철학 ③ 홀리스틱 교육철학 ④ 프래그머티즘 교육철학 4. 16세기 서양의 인문주의 교육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고대 그리스․로마의 자유교육의 이상을 계승하 였다. ② 자연이나 실재하는 사물을 매개로 하는 실물교육 을 도입하였다. ③ 민족적으로 각성된 관점에서 공동체 의식을 기르 는 데 주력하였다. ④ 고등교육이 아닌 초등교육 수준에서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5.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교육사상가는? 교사는 학생에게 정답을 미리 알려주지 않고 학생이 알고 있는 것이 참인지 거짓인지를 판단 하면서 학생 스스로 진리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 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반어적인 질문을 학생에게 던짐으로써 학생 자신이 무지를 깨닫게 한다. 지적(知的)인 혼란에 빠진 학생은 교사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진리를 성찰하게 되면서 점차 참된 지식에 이를 수 있게 된다. ① 아퀴나스(T. Aquinas) ② 소크라테스(Socrates) ③ 프로타고라스(Protagoras) ④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6. <보기>는 타일러(R. Tyler)의 교육목표 설정 절차 에 대한 것이다. 그 순서가 올바른 것은? <보기> ㉠ 잠정적인 교육목표를 진술한다. ㉡ 교육철학과 학습심리학이라는 체에 거른다. ㉢ 학습자, 사회, 교과의 세 자원을 조사․연구한다. ㉣ 행동의 변화를 명시한 최종 교육목표를 진술 한다. ① ㉠→㉡→㉢→㉣ ② ㉠→㉢→㉡→㉣ ③ ㉢→㉠→㉡→㉣ ④ ㉢→㉡→㉠→㉣ 2017년도 지방공무원 공개(경력)경쟁임용시험 교육학개론 A형 교육학개론 A형 2 / 3 7. (가)~(다)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의 개념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교육적 가치가 있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과정에서 배제하여 가르치지 않았다. (나) 국가 교육과정과 시․도 교육청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에 의거해 학교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다) 학교교육과정에서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교육과정이 전개되는 동안 학생들은 바람직하지 못한 가치와 태도도 은연중에 배우게 되었다. (가) (나) (다) ① 잠재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②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③ 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④ 영 교육과정 공식적 교육과정 잠재적 교육과정 8. 다음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 거꾸로 학습이나 거꾸로 교실로 알려져 있다. ◦ 학습할 내용을 수업 이전에 온라인으로 미리 공부한다. ◦ 일종의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으로서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다. ◦ 학교 수업에서 학습자는 질문, 토론, 모둠활동 과 같은 형태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①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②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③ 자원기반학습(resource-based learning) ④ 교사주도학습(teacher-directed learning) 9.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가네(R. Gagné)의 학습 성과 (learning outcomes) 영역은? ◦ 방법적 지식 혹은 절차적 지식에 해당한다. ◦ 여러 가지 기호나 상징을 규칙에 따라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 변별학습, 구체적 개념학습, 정의된 개념학습, 원 리학습, 고차원리학습으로 세분되며, 이들은 위 계적 관계에 있다. ① 언어정보 ② 운동기능 ③ 인지전략 ④ 지적기능 10. 아동의 혼잣말(private speech)에 대한 비고츠키 (L. Vygotsky)의 견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중심적 언어로서 미성숙한 사고를 보여준다. ② 자신의 사고과정과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고 주도 한다. ③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줄어들면서 내적 언어 로 바뀐다. ④ 쉬운 과제보다 어려운 과제를 해결할 때 더 많이 사용한다. 11. 프로이트(S. Freud)의 정신분석학적 상담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는 합리적으로 불안을 조절할 수 없을 때 자아방어기제에 의존한다. ② 상담자는 내담자의 불안을 초래한 행동자극을 분석 하고 체계적 둔감법을 활용한다. ③ 상담자는 내담자의 저항과 전이 감정을 분석하여 무의식적 갈등을 해결하도록 돕는다. ④ 내담자의 행동은 무의식 속에 억압된 과거의 경험과 심리성적인 에너지에 의해서 결정된다. 12. 다음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평가 유형은? ◦ 교과내용 및 평가 전문가가 제작한 검사를 주로 사용한다. ◦ 서열화, 자격증 부여, 프로그램 시행 여부 결정 의 목적을 위해 시행한다. ◦ 교수・학습이 완료된 시점에서 교육목표의 달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판정한다. ①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②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③ 능력참조평가(ability-referenced evaluation) ④ 성장참조평가(growth-referenced evaluation) 13. 검사도구의 타당도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 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 검사점수가 사용 목적에 얼마나 부합하는가를 의미한다. ㄴ. 검사대상을 얼마나 정확하게 무선오차(random error) 없이 측정하는지를 의미한다. ㄷ. 동일한 검사에 대한 채점자들 간 채점 결과의 일치 정도를 의미한다. ㄹ. 측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검사점수가 얼마나 잘 나타내 주는지를 의미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교육학개론 A형 3 / 3 14. 다음은 정보처리이론에서 부호화(encoding)를 촉진 하기 위한 전략을 설명한 것이다. (가)~(다)에 해당 하는 전략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개별적 정보를 범주나 유형으로 묶는다. 도표 나 그래프, 위계도를 작성하는 것이 그 예이다. (나)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인 그림으로 저장한다. 자동차를 언어적 서술 대신에 그림으로 기억 하는 것이 그 예이다. (다)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지식과 관련짓는다. 학습한 정보를 자신의 말로 바꾸어 보거나 또래에게 설명해 보는 것이 그 예이다. (가) (나) (다) ① 정교화 심상 조직화 ② 정교화 조직화 심상 ③ 조직화 정교화 심상 ④ 조직화 심상 정교화 15. 보상적(補償的) 교육평등관에 해당하는 내용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 성별이나 인종의 차별 없이 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 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으로 사회적 취약 계층 의 교육결과를 제고한다. ㄷ. 대학 입시에서 농어촌지역 학생들을 배려하기 위한 특별전형을 실시한다. ㄹ. 학교의 시설 및 여건, 교사의 전문성, 교육과정 에서 학교 간 차이를 줄인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16. 학교교육의 측면에서, 콜만(J. Coleman)의 사회 자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기술에 따라 개인의 노동력 에 차이가 발생한다. ② 학교교육과 경제생산체제 간의 상응관계를 통해 학교가 자본주의 경제구조를 재생산한다. ③ 교사, 학생, 학부모 간의 친밀한 관계 형성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④ 학교가 특정 계층의 문화를 보편적 가치로 가르치기 때문에 학업에서 상위 계층의 자녀가 유리하다. 17. 다음 내용과 관련이 있는 학자는? ◦ 문해교육에서는 성인 각자의 삶이 반영된 일상 용어를 활용해야 효과적이다. ◦ 진정한 교육은 학습자가 탐구(inquiry)와 의식적 실천(praxis) 활동을 하는 것이다. ◦ 교육은 주어진 지식을 전달하는 은행저금식이 아니라 문제제기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① 일리치(I. Illich) ② 프레이리(P. Freire) ③ 노울즈(M. Knowles) ④ 메지로우(J. Mezirow) 18. 현행 교육공무원법에 규정된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위란 1명의 교육공무원에게 부여할 수 있는 직무와 책임을 말한다. ② 전직이란 교육공무원의 종류와 자격을 달리하여 임용하는 것을 말한다. ③ 강임이란 교육공무원의 직렬을 달리하여 하위 직위에 임용하는 것을 말한다. ④ 전보란 교육공무원을 같은 직위 및 자격에서 근무 기관이나 부서를 달리하여 임용하는 것을 말한다. 19.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교육행정의 원리는? ◦ 이 원리를 지나치게 강조하면 교육행정의 전문성 이 경시될 수 있다. ◦ 이 원리로 공무원의 부당한 직무수행과 행정 재량권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 이 원리에 따라 교육공무원으로서의 신분을 보장 받아서 업무를 소신 있게 수행할 수 있다. ① 수월성 ② 능률성 ③ 효과성 ④ 합법성 20. 국・공립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옳은 설명 만을 <보기>에서 있는 대로 고른 것은? <보기> ㄱ. 학칙의 제정 또는 개정 사항을 심의한다. ㄴ. 학교운동부의 구성․운영 사항을 심의한다. ㄷ. 학부모위원은 교직원전체회의에서 선출한다. ㄹ. 학교의 장은 운영위원회의 당연직 교원위원이다. ① ㄱ, ㄷ ② ㄱ, ㄴ, ㄹ ③ ㄴ, ㄷ, ㄹ ④ ㄱ, ㄴ,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