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업경영 사 책형 1 쪽 임업경영 문 1. 우리나라 산림기본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계획 목표 ① 제1차 치산녹화 10년계획 국토의 속성녹화 기반 구축 ② 제2차 치산녹화 10년계획 장기수 위주의 경제림 조성과 국토녹화 완성 ③ 제3차 산림기본계획 (산지자원화계획) 녹화의 바탕위에 산지자원화 기반조성 ④ 제4차 산림기본계획 숲을 활력 있는 일터, 삶터, 쉼터로 재창조 문 2. 산지관리법 상 임업용산지의 대상이 아닌 것은? ① 국유림의 경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요존국유림의 산지 ②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채종림 및 시험림의 산지 ③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자연휴양림의 산지 ④ 임업 및 산촌 진흥촉진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임업진흥권역의 산지 문 3. 임업경영 보속성의 원칙 중에서 공공경제적 입장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산물의 판매상: 매년 지속적으로 임산물을 시장에 공급하므로 항상 확실한 매주(賣主)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시황(市況)의 파악이 유리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사업의 안정상 유익하다. ② 사회정책상 : 보속생산은 지방 주민에게 지속적인 노동기회를 줌으로써 생활보장의 안정성을 준다. ③ 산업보호상: 목재를 원료로 하는 관련 산업의 발전에 기여한다. ④ 목재수요의 공급상: 국민 또는 지방 주민의 목재수요량은 매년 균등적으로 또는 점차 증가경향을 보이므로 보속생산에 의하여 목재공급을 지속하여야 한다. 문 4. 산림의 생산기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벌기령은 임목 그 자체의 생산기간을 나타내는 예상적 연령 개념이다. ② 개량기는 개량을 요하는 노령림이나 불량 임분이 많은 작업급 에서는 윤벌기보다 길고, 유령림의 경우에는 윤벌기보다 짧기 때문에 개량기 종료 후에 수확의 지속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 ③ 택벌림에 윤벌기를 설정하여 계획을 수립할 경우에는 윤벌기가 회귀년의 정수배가 되도록 회귀년을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④ 개벌작업에서의 갱신기는 벌채 후 벌채목이 반출되고 새로이 산림이 성립될 때까지의 연수를 말한다. 문 5. 법정림의 법정축적 계산방법이 아닌 것은? ① 벌기수확에 의한 방법 ② 벌기평균생장량에 의한 방법 ③ 법정수확률에 의한 방법 ④ 수확표에 의한 방법 문 6. 산림생산 중 임분의 생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령림의 경영구조가 회귀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령림의 경영구조는 벌기령에 의하여 결정된다. ② 이령림에 있어서 어느 일정 면적 위의 임목들은 연령뿐만 아니라 크기에 있어서도 다양하다. ③ 동령림이란 한 임분 내의 모든 임목들이 대략 똑같은 시점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성립된 임분을 말한다. ④ 이령림의 임분재적은 회귀년의 한 주기 동안 어느 시점에서든지 측정할 수 있으며 이때 3가지 선택, 즉 주기벌채 직후, 주기 벌채 직전 및 주기의 정중앙의 시기를 생각할 수 있다. 문 7. ha당 재적이 5년 전 150 m 3이었고 현재는 200 m 3이라고 할 때, Pressler식에 의한 재적성장률[%]은? (단, 소수 첫째 자리까지만 표기한다) ① 2.9 ② 4.9 ③ 5.7 ④ 6.7 문 8. 절충평분법을 이용한 산림사업 실행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임반 및 소반 구획 ㄴ. 임분에 관한 상세한 정보 수집 및 일람표 작성 ㄷ. 각 임분의 집단화를 위한 수익성 있는 임목재적과 조림적 상황의 정보수집 ㄹ. 수확할 연간벌채면적과 재적에 대한 지침수립 ㅁ. 더 적합한 분석을 위한 수확할 모든 임분 또는 다음 몇 분기 내에 처리할 모든 임분 선발 ㅂ. 어느 임분이 다음 몇 분기 내에 벌채되는가를 결정 ① ㄱ → ㄷ → ㅁ → ㄴ → ㄹ → ㅂ ② ㄱ → ㄹ → ㄷ → ㄴ → ㅁ → ㅂ ③ ㄷ → ㄱ → ㄴ → ㄹ → ㅁ → ㅂ ④ ㄷ → ㄴ → ㅁ → ㄱ → ㅂ → ㄹ 문 9. 수확표의 벌기임분재적인 법정벌채량이 50 m 3 , 현실임분의 축적이 300 m 3 , 수확표에서 구한 법정축적이 450 m 3인 잣나무 임분의 파울센-훈데스하겐(Paulsen-Hundeshagen)법에 의한 표준 연벌채량[m3/년]은? (단, 소수 첫째 자리까지만 표기한다) ① 23.3 ② 33.3 ③ 43.3 ④ 53.3 임업경영 사 책형 2 쪽 문 10. 임목자산의 성장성분석에 이용하는 지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매각액은 매각한 임목의 실제 판매가격이다. ② 연내증가액은 성장액과 매각액을 더한 것이다. ③ 자가 소비한 임목이 있으면 그에 대한 평가액은 성장액에 포함한다. ④ 성장액은 한 해에 자란 모든 임목의 가치를 원가방법에 의하여 평가한 것이다. 문 11.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 (UNCED)에서 채택된 협약이 아닌 것은? ① 국제열대목재협약(ITTA) ② 생물다양성협약(UNCBD) ③ 사막화방지협약(UNCCD) ④ 기후변화협약(UNFCCC) 문 12.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위해 0.08 ha 크기의 원형(圓形)표본점을 설치하고자 할 때, 표본점의 지름[m]은? ① 8.0 ② 16.0 ③ 24.0 ④ 32.0 문 13. 임지기망가(A)에 영향을 주는 계산인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어떤 인자의 값이 변하면 동시에 다른 인자의 크기도 변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여기에서는 다른 인자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① 주벌수확과 간벌수확은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A가 커진다. ② 조림비는 한 벌기 동안 복리로 계산되기 때문에 적은 차이라도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③ 일반적으로 벌기 n이 작아지면 처음에는 A가 증대하다가 어느 시점에서 최대가 된 다음 점차 작아진다. ④ 무육비와 관리비가 클수록 A가 작아진다. 문 14.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기준 및 지표의 명칭과 대상산림이 옳게 짝지어진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CAPL - 아프리카 건조지역 ㄴ. 건조대 아프리카 initiative - 사하라 북부아프리카 ㄷ. 아프리카 목재기관 initiative - 아프리카 중․남부지역 ㄹ. 헬싱키프로세스 - 비유럽 온․한대 ㅁ. 몬트리올프로세스 - 유럽 온․한대 ㅂ. 타라포토프로세스 - 아마존 산림 ㅅ. 북아프리카․근동 initiative -사하라 이남․건조․반건조 ① ㄱ, ㄴ, ㄷ, ㅂ ② ㄱ, ㄷ, ㅂ, ㅅ ③ ㄴ, ㄷ, ㅁ, ㅅ ④ ㄹ, ㅁ, ㅂ, ㅅ 문 15. 단목차원의 거리종속경쟁지수가 아닌 것은? ① 수관면적중첩지수 ② 크기비율지수 ③ 상대공간지수 ④ 생육공간지수 문 16. 산림생장모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임분생장모델 : 생장정보의 범위에 따라 평균값을 이용하고 모델 구축 및 활용면에서 가장 간단하다. ② 생리적모델: 환경 및 기상의 변화에 따른 산림생장의 반응을 정확히 설명하며, 입력인자의 조사가 쉽고 모델이 단순하여 산림시업 현장에 적용이 용이하다. ③ 직경분포모델 : 직경급별 평균값에 기반하고 직경급을 하나로 하면 임분생장모델이 되고, 직경급을 세분하여 입목본수만큼 하면 단목생장모델이 된다. ④ 단목생장모델: 개체목의 고유한 생장값을 기초로 하며, 임분의 구조를 가장 잘 나타낼 수 있다. 문 17. 다음은 10년 주기로 조사된 어느 영구표준지의 생장량 자료이다. 진계생장량을 포함하는 총생장량[m3]은? (단위 : m 3) 제1차 산림조사 제2차 산림조사 잔존목 생장량 고사량 벌채량 진계 생장량 순수 생장량 75 70 30 10 30 5 25 ① 5 ② 25 ③ 30 ④ 35 문 18. GIS의 공간자료 중 벡터자료로만 묶인 것은? ① 임상도, 산지이용기본도, 지질도 ② 행정경계도, 수치표고모델(DEM), 간이산림토양도 ③ 산지이용기본도, 위성영상, 수치표고모델(DEM) ④ 임상도, 간이산림토양도, 디지털항공사진 문 19. 임지의 평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임지의 평가에는 매매가, 비용가 및 기망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그것들을 병용하여 평정한다. ② 임지기망가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치는 네 가지 요소는 지위, 경영방법과 집약도 및 비용, 생산물의 가치, 이율과 기간이다. ③ 임지매매가는 현재 거래되고 있는 임지의 시가(時價)로서, 평가하려는 임지와 조건이 유사한 다른 임지의 실제거래가격을 비교하여 결정된 가격이다. ④ 임지비용가는 임지를 취득한 후 조림 등 임목 육성에 알맞은 상태로 개량하는 데 소요된 모든 비용의 전가에서 그동안 수입의 전가를 공제한 것이다. 문 20. 매년 말에 200,000원씩 산림수입이 4년간 있을 때, 마지막 연도의 후가는? (단, 연이율 5 %, 1.054 = 1.2155) ① 512,400원 ② 628,000원 ③ 862,000원 ④ 972,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