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 학 사 책형 1 쪽 과 학 문 1. 사람의 혈액 중 혈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에는 모두 핵이 있다. ㄴ. 세균에 감염되면 백혈구의 수가 증가한다. ㄷ. 혈구 중 백혈구의 수가 가장 많다. ㄹ. 혈소판은 혈액응고에 관여한다. ① ㄱ, ㄴ ②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문 2. 다음 그림은 세포막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B ① A는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이다. ② B는 물질 수송을 담당하는 인지질이다. ③ A와 B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유동성이 없다. ④ A는 친수성 부분과 소수성 부분이 있다. 문 3. 다음 표는 세포 소기관 A ~ D의 기능과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세포 소기관 기능과 특징 A 세포 내 소화를 담당한다. B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전환한다. C 효소의 주성분이 만들어지는 장소이며 알갱이 모양이다. D 유기물 속의 화학에너지를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로 전환한다. ① A에서는 물질 대사의 결과로 ATP가 생성된다. ② B는 동화 작용을, C는 이화 작용을 주로 한다. ③ B가 발달된 식물 세포에는 D가 존재하지 않는다. ④ D는 근육세포와 같이 활발한 활동을 하는 세포일수록 그 수가 많다. 문 4. 다음 그림은 티록신의 분비 조절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단, A와 B는 내분비샘이다) 시상하부 표적 기관 TRH TSH 티록신 A B <보 기> ㄱ. A는 뇌하수체 후엽이다. ㄴ. TRH는 A에 작용하여 TSH의 분비를 촉진한다. ㄷ. B를 제거하면 혈중 TSH의 농도는 제거 전보다 감소 한다. ㄹ. 티록신은 음성 피드백에 의해 분비량이 조절된다. ① ㄱ, ㄷ ② ㄴ, ㄹ ③ ㄱ, ㄴ, ㄷ ④ ㄴ, ㄷ, ㄹ 문 5. 다음 그림은 어떤 생태계에서 천이가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용암대지 지의류 이끼류 초본류 관목림 A 혼합림 B ① 2차 천이를 나타낸 것이다. ② A에서는 소나무와 같은 음수림이 형성된다. ③ 혼합림에서 음수묘목이 양수묘목보다 더 빨리 자란다. ④ A보다 B에서 광포화점의 평균값이 더 크다. 문 6. 다음 그림은 빛의 삼원색 A, B, C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비추었을 때, 겹쳐진 영역의 색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 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빛 A, B, C의 세기는 모두 같다) A B C 노랑 자홍 ① A는 빨강이다. ② B의 세기만을 반으로 줄이면 노랑이 주황으로 바뀐다. ③ A, B, C 중에서 빛의 파장은 C가 가장 길다. ④ A, B, C 중에서 빛의 진동수는 A가 가장 작다. 과 학 사 책형 2 쪽 문 7. 어떤 열기관이 시간당 150 kJ의 일을 하면서 낮은 온도의 열원 으로 시간당 350 kJ의 열을 방출한다. 이 열기관의 열효율[%]은? ① 20 ② 30 ③ 40 ④ 50 문 8. 동일한 두 도체구 A와 B가 각각 전하량 +3Q와 -Q로 대전되어 그림과 같이 만큼 떨어져 있을 때, A와 B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는 F이다. A와 B를 접촉시켰다가 다시 만큼 분리 했을 때, A와 B 사이에 작용하는 전기력의 크기는 F의 몇 배인가? A B +3Q -Q ① 1 3 ② 1 2 ③ 2 ④ 3 문 9. 다음 그림과 같은 교류 발전기에서 코일이 일정한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과 ㉡은 유도전류의 방향을 나타낸다) R ㉡ ㉠ ① 코일의 감은 수가 두 배가 되면 유도전류의 세기는 네 배가 된다. ② 영구자석의 세기가 두 배가 되면 저항 R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네 배가 된다. ③ 코일이 더 빠르게 회전할수록 더 센 유도전류가 흐른다. ④ 그림과 같은 순간에 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방향은 ㉡이다. 문 10. 다음 그림과 같이 마찰이 없는 수평면에 질량이 각각 , , 인 세 물체 A, B, C가 놓여 있다. 수평 방향으로 크기가 F인 힘이 A에 작용할 때, 세 물체가 동일한 가속도로 함께 운동한다면 A와 B 사이의 마찰력은 F의 몇 배인가? B A F C ① 1 4 ② 1 3 ③ 1 2 ④ 3 4 문 11. 다음 그림은 고도에 따른 기권의 평균 기온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100 -80 -60 -40 -20 0 20 40 10 30 50 70 90 110 기온(°C) 고도 (km) C B A <보 기> ㄱ. A층에서는 눈,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ㄴ. B층에는 오존층이 존재하여 자외선을 흡수한다. ㄷ. C층의 공기 밀도는 A층보다 높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ㄴ, ㄷ 문 12. 다음은 우리나라 경상도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지층 A에 대한 지질학적 특징이다. 이 지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발견된다. ○ 건열과 같은 퇴적 구조를 볼 수 있다. ○ 셰일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① 지층 A는 중생대에 퇴적되었다. ② 지층 A가 생성될 당시 이 지역은 수심이 깊은 바다였다. ③ 지층 A에는 새의 발자국 화석과 삼엽충 화석이 함께 발견된다. ④ 지층 A가 발견되는 지역에는 대규모의 석회암 동굴이 발달 되어 있다. 문 13. 암석의 기계적 풍화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산성을 띤 물에 의해 암석이 용해된다. ㄴ. 물의 동결 작용에 의해 암석이 부서진다. ㄷ. 암석을 누르고 있던 외부 압력이 감소하여 암석에 균열이 생긴다. ㄹ. 암석에 포함된 철이 대기 중의 산소나 물과 반응하여 산화된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과 학 사 책형 3 쪽 문 14. 다음 그림은 우리나라의 어느 지점(37 °N)에서 관측한 별의 일주 운동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때 관측한 별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 A B C 서 북 동 ① 약 2시간의 노출 시간으로 촬영한 것이다. ② 천정에 위치한 별의 적위는 53 °이다. ③ 별 A의 고도는 별 B의 고도보다 낮다. ④ 별 C는 촬영 시간 동안 반시계 방향으로 일주 운동하였다. 문 15. 다음은 우리나라에서 촬영한 금성의 사진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사진 A, B, C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이 사진의 왼쪽이 천구 상의 동(E)쪽이고 위쪽이 북(N)쪽을 가리킨다) A B C E N E N E N ① A일 때 금성의 역행 현상이 관측된다. ② B일 때 금성은 해 뜰 무렵 지평선 아래에 있다. ③ B일 때 금성은 다음 날 지구와 더 가까워진다. ④ C일 때 금성을 초저녁에 관측할 수 있다. 문 16. 다음 그림은 산 HA와 HB를 각각 25 °C의 물 1 L에 녹였을 때, 수용액에 존재하는 몰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A, B는 임의의 원소이다) 10 8 6 4 2 0 HA(aq) HB(aq) HA HB B - A - ① HA가 HB보다 더 강한 산이다. ② HA가 HB보다 이온화가 잘된다. ③ HA수용액은 HB수용액보다 pH가 크다. ④ HA수용액의 전류의 세기가 HB수용액보다 강하다. 문 17. 산화-환원 반응이 아닌 것은? ① NaCl() + AgNO3() → NaNO3() + AgCl() ② 2KI() + Cl2() → 2KCl() + I2() ③ CuO() + H2() → Cu() + H2O() ④ Mg() + 2HCl() → MgCl2() + H2() 문 18. 다음 그림은 5가지 물질을 주어진 기준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aCl H2O CH4 KCl NH3 중심원자에 비공유전자쌍이 있는가? 예 아니오 (가) 예 아니오 예 아니오 불꽃색이 노란색인가? 입체구조인가? 이온 결합을 하고 있는가? 예 아니오 (나) (다) (라) (마) ① (가)는 NaCl이다. ② (마)는 무극성 분자이다. ③ 이온 사이의 거리는 (가) < (나)이다. ④ 결합각의 크기는 (다) < (라)이다. 문 19. 다음은 암모니아(NH3)와 물(H2O)의 화학 반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H3() + H2O() → NH4+() + OH -() ① NH3는 아레니우스 염기이다. ② NH4+의 N은 옥텟 규칙을 만족한다. ③ 결합각(∠HNH)은 NH3가 NH4+보다 크다. ④ N의 산화수는 NH3가 NH4+보다 크다. 문 20. 다음 그림은 각각 A +와 B 2-의 전자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 ↑↓ ↑↓ ↑↓ ↑↓ ↑↓ ↑↓ ↑↓ A + : B 2- : ① A와 B는 같은 주기 원소이다. ② 이온화 에너지는 A가 B보다 크다. ③ A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는 이다. ④ B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에서 홀전자 수는 2개이다.
첫번째 해설인 김헌준 선생님 해설과 박기웅 선생님 해설은 2015년이 아니라 2014년께 잘못 올라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