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_7급(최종)정답(2023-07-16 / 213.7KB / 353회)
전기기기(7급) 4 - 1 전 기 기 기 ( 7급 ) (과목코드 : 088) 2023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성명 : 1. 권선비 1 : 2인 단상변압기를 1차측(저압측)으로 환산한 정상상태 등가회로는 다음과 같다. 등가회 로의 상수 중 크기 관계를 가장 알맞게 표현한 것은? ① ≫ ≫ ② ≪ ≪ ③ ≈ ≫ ④ ≈ ≪ 2. 1차측 권선수가 100T, 2차측 권선수가 500T인 이상적인 변압기의 1차측에 200[V], 60[Hz]의 전원을, 2차측에는 부하를 연결하였다. 이때 2 차측 전류가 4[A], 부하역률이 0.8, 지상이라 할 때 1차측 전원에서 공급한 무효전력은? ① 480[VAR] ② 640[VAR] ③ 2400[VAR] ④ 3200[VAR] 3. 어떤 6극 파권 직류발전기가 200개의 도체를 가 지고 있다. 회전속도가 1000[rpm], 무부하 단자전 압이 500[V]일 때 이 발전기의 극당 자속[Wb]은? ① 0.015[Wb] ② 0.02[Wb] ③ 0.03[Wb] ④ 0.05[Wb] 4. 다음 중 직류발전기의 정류자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장치로 가장 근접한 것은? ① 전파 다이오드 정류기 ② 반파 다이오드 정류기 ③ 전파 SCR 제어정류기 ④ 반파 SCR 제어정류기 5. 200[V], 1,000[rpm], 8.32[kW] 분권 직류전동기의 전부하효율이 80%라 할 때 전기자 저항손실 ()과 계자손실()의 비( )는? (단, 계자저항은 100[Ω], 전기자 저항은 0.1[Ω]이다.) ① 0.525 ② 0.625 ③ 0.725 ④ 0.825 6. 다음은 회전자 저항이 유도전동기의 주요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무부하특성은 회전자 저항과 무관하다. ② 기동전류는 회전자 저항이 클수록 작아진다. ③ 항복토크(최대토크)는 회전자 저항에 비례한다. ④ 정격전류가 흐르는 정격슬립이 회전자 저항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7. 세개의 코일을 공간적으로 120° 간격을 두고 대 칭적으로 배치한 다음 3상 코일에 시간적으로 120° 위상차를 갖는 같은 크기, 같은 주파수의 전류를 흘렸을 때 발생하는 회전자계에 대한 설 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류가 [Hz] 라면 1초에 바퀴 회전한다. ② 회전방향은 세 상의 자속밀도의 최대치가 나타나는 순서이다. ③ 회전자계의 크기는 각 상 코일이 만들어내는 맥동자속의 중심축 자속밀도 최대치 max의 1.5배이다. ④ 전류의 크기를 10% 증가시키면 회전자계의 속도는 10% 증가한다. 전기기기(7급) 4 - 2 8. 150[kW], [rpm], [V], 3상 동기전동기의 동기리액턴스가 0.5[Ω]이다. 내부 유기기전력 가 200[V]로 고정되어 있다. 60[kW]의 부하를 구동할 때의 부하각은? ① sin ② sin ③ sin ④ sin 9. BLDC 전동기의 정류작용을 위해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① 전력용 반도체 ② 회전자 위치 검출장치 ③ 3상 인버터 ④ 정류자편 10. 단상 유도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2차 저항을 크게 하더라도 최대 토크와 토크를 발생하는 슬립이 일정하다. ② 어떤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그 방향으로 토크가 증가하여 회전한다. ③ 기동 토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기동장치가 필요하다. ④ 정상 토크와 역상 토크의 차로서 단상 유도 전동기의 토크가 얻어진다. 11. 직류 발전기의 부하 포화곡선은 다음 중 어느 것에 관계되는가? ① 단자전압과 부하전류 ② 단자전압과 계자전류 ③ 부하전류와 계자전류 ④ 회전속도와 부하전력 12. 다음 중 직류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류 직권 전동기를 무부하로 운전중 계자 회로가 단선이 되면 정지한다. ② 부하 변동에 대하여 속도 변동이 가장 작은 전동기는 차동복권 전동기이다. ③ 전동기 부하의 속도 토크곡선에서 의 관계일 때 안전운전이 된다. ④ 직류 분권 전동기는 계자전류가 감소하면 회전수가 증가한다. 13. 정격 전압 200[V], 전기자 전류 100[A]일 때 1,000[rpm]으로 회전하는 직류 분권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무부하 속도[rpm]은? (단, 전기자 저항은 0.4[Ω],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① 800 ② 1,000 ③ 1,250 ④ 2,050 14. 출력 100[kW], 전압 500[V], 철손 2.6[kW], 마찰손 1.4[kW], 여자전류 2[A]인 직류 분권 발전기의 전기자 회로 저항이 2[Ω]인 경우, 최고 효율일 때의 최대 부하는 몇 [kW]인가? ① 20 ② 24 ③ 28 ④ 48 15. 다음 직류기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계자에 의해 형성되는 공극의 균일한 자속분 포가 전기자전류에 의해 방해받는 현상을 전 기자 반작용이라 한다. ② 직류발전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하면 발전전압도 감소한다. ③ 전기자 반작용은 직류발전기나 직류전동기나 동일하게 브러쉬에 아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④ 직류전동기에서 전기자 반작용이 발생하면 전동기 회전속도도 감소한다. 전기기기(7급) 4 - 3 16. 3상 100[hp], 380[V], 60[Hz], 4극 유도전동기가 정격전압, 정격주파수, 정격부하에서 1750[rpm]으 로 운전 중일 때, 갑자기 전압이 정격의 90%로 감소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부하 토크를 감소시켜야 한다. ② 속도가 그대로 유지되면 공극자속의 크기 또한 일정하게 유지된다. ③ 철손은 약간 감소한다. ④ 최소 기동토크도 감소한다. 17. 150[kVA], 2,200/220[V] 인 변압기(A)와 300[kVA], 2,200/220[V]의 변압기(B)를 병렬운전하여 240[kVA]의 부하용량을 분담한다고 할 때 A, B 변압기의 피상 전력 [VA]는 각각 얼마인가? (A변압기의 리액턴스는 1[Ω], B변압기의 리액턴스는 1.5[Ω]이 고, 직렬저항은 무시한다.) ① ② ③ ④ 18. V결선의 단권 변압기를 사용하여 선로 전압 에서 로 강압하여 전력 [kVA]를 송전하 는 경우, 단권 변압기의 자기 용량 [kVA]는 얼마인가? (단, 손실은 무시한다.) ① ② ③ ④ 19.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에서 기계적 출력을 나타내는 정수는? ① ′ ′ ② ′ ′ ③ ′ ′ ④ ′ ′ 20. 3상 변압기의 용량 P[kVA], 단자 전압 V[V] 퍼센트 임피던스 %Z이다. 저압측을 3상 단락 했을 때 단락전류[A]는? ① × ② ③ × ④ 21. 유도 전동기로 구동하는 전기자동차의 현재 속 도를 감속하기 위하여 현재 주행속도의 동기속 도보다 큰 속도로 회전시켜 유도 발전기가 되게 함으로서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에 전원을 재충 전하는 제동 방법은? ① 발전 제동 ② 회생 제동 ③ 역상 제동 ④ 플러깅 법 22. 다음 중 변압기 등가회로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이상적인 변압기 부분의 전압비는 무부하시에만 권선비와 동일하다. ② 철손전류는 여자전류에 포함된다. ③ 일반적으로 누설인덕턴스는 자화인덕턴스보다 매우 작다. ④ 1차측과 2차측의 권선저항은 동손과 관련이 있다. 전기기기(7급) 4 - 4 23. 정격 출력 12,000[kVA], 정격 전압 6,000[V], 동기 임피던스가 매상 3[Ω]인 3상 동기 발전기의 단락 비는? ① 1.0 ② 1.2 ③ 1.3 ④ 1.4 24. 다음 회로와 같은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정상 상태 특성은 에너지 보존 법칙, 인덕터 자속 평형 조건, 커패시터 전하 평형 조건을 적용함 으로 쉽게 해석할 수 있다. 스위칭 주기 T동안 온상태 로 듀티 사이클 으로 표현한다. 이 회로의 입출력의 비( )는? ① D ② ③ ④ 1-D 25. 3상 6극 60[Hz] 3상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상태 에서 1,140[rpm]으로 회전하고 있고, 이때 토크가 [Nㆍm]이라고 할 때 이때의 회전자 동손 [W]는? ① 450[W] ② 500[W] ③ 550[W] ④ 600[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