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9 - 1. ㈜한국은 20×1년 중에 ㈜서울의 주식 10%를 장기투자목 적으로 1주당 ₩13,000에 총10주를 취득하였다. ㈜서울의 1 주당 공정가치가 20×1년 말 ₩15,000이고, 20×2년 말 현재 ₩12,000이라면 20×2년 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표시 될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은 얼마인가? ①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10,000 ②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10,000 ③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실 ₩30,000 ④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이익 ₩30,000 2. ㈜서울은 2015년 2월 1일 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재고자 산의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실사 결과, 화재 후 남은 재고자 산이 ₩100,000으로 평가되었다. 회사는 재고자산 수량파 악을 위해 실지재고조사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2015년 2월 1 일까지 관련 장부기록을 통해 확인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아래의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화재로 인한 재고자산의 손 실금액은 얼마인가? 기초재고자산 재고액 ₩400,000 당기매입액 ₩1,600,000 매입환출 및 에누리액 ₩200,000 매입할인액 ₩100,000 당기매출액 ₩2,150,000 매출환입 및 에누리액 ₩150,000 매출할인액 ₩200,000 매출총이익률 25% ① ₩100,000 ② ₩150,000 ③ ₩200,000 ④ ₩250,000 3. ㈜한국이 발생기준에 따라 회계처리한 결과 2015년 기초와 기말의 계정잔액은 다음과 같다. 2015년 ㈜한국의 현금 기준에 의한 당기순이익이 ₩50,000일 경우 2015년 발생 주의에 의한 당기순이익은 얼마인가? 2015년 초 2015년 말 매출채권 ₩36,500 ₩43,500 재고자산 ₩27,000 ₩21,000 매입채무 ₩45,000 ₩54,000 ① ₩40,000 ② ₩42,000 ③ ₩58,000 ④ ₩60,000 4. ㈜서울은 외상매출의 결제대금으로 받은 60일 만기 액면 가액 ₩10,000,000의 무이자부어음을 자금사정이 어려워 발행일로부터 30일이 지난 후인 10월 5일에 주거래은행에 연이자율 10%로 할인하여 현금으로 수령하고 다음과 같이 분개하였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차) 현금 9,917,809 (대) 받을어음 10,000,000 매출채권처분손실 82,191 ① 어음할인을 양도거래로 보고 회계처리하였다. ② 이 거래는 회사의 주거래인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 거래에 해당한다. ③ 은행에 받을어음을 맡기고 돈을 차입한 경우에 해당한다. ④ 결산 시에 결산조정분개가 필요한 거래이다. 5. ㈜한국의 20×1년 기초(1/1)의 선수금과 매출채권 잔액은 각각 ₩20억, ₩25억이고, 기말(12/31)의 선수금과 매출채권 잔액은 각각 ₩50억과 ₩40억이다. 또한 20×1년 거래처로 부터의 현금수입액이 ₩160억이라면 20×1년의 매출액은 얼마인가? ① ₩110억 ② ₩125억 ③ ₩130억 ④ ₩145억 6. 다음 자료에서 ㈜서울이 2015년에 계상해야 할 법인세 비용과 이연법인세자산 또는 이연법인세부채는 각각 얼마 인가? (단, ㈜서울은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법인세율은 10% 단일세율로 미래에도 일정하고, 지방소득세는 없는 것 으로 가정한다.) ㈜서울은 2015년 3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정관상 회계 기간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2015년 법인세 비용차감전순이익은 ₩10,000,000이다. 여기에는 당기손익인 식금융자산으로 분류한 상장주식평가이익 ₩100,000이 포 함되어 있으며, 그 외 세무조정사항은 없다. 법인세비용 이연법인세자산 이연법인세부채 ① ₩990,000 ₩10,000 ② ₩990,000 ₩10,000 ③ ₩1,000,000 ₩10,000 ④ ₩1,000,000 ₩10,000 7.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요소의 정의로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익은 자산의 유입이나 증가 또는 부채의 감소에 따라 자본의 증가를 초래하는 특정 회계기간 동안에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증가로서, 지분참여자에 의한 출연과 관련 된 것을 포함한다. ② 부채는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이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현재의무이다. ③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다. ④ 자본은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지 분이다. 자본총액은 그 기업이 발행한 주식의 시가총액 또 는 기업순자산을 나누어서 처분하거나 기업 전체로 처분할 때 받을 수 있는 대가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8. ㈜서울은 20×1년에 영업을 개시하여 20×1년 5월 1일 제품을 ₩100,000에 판매하였다. 이 제품은 1년 동안 제품의 하자를 보증하며, 동종업계의 과거의 경험에 의하면 제품보증기간 중에 매출액의 10%에 해당하는 제품보증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20×1년에 실제로 제품보증비용으로 ₩7,000이 지출되었다. 결산일 현재 재무상태표에 계상할 제품보증 충당부채는 얼마인가? ① ₩0 ② ₩3,000 ③ ₩7,000 ④ ₩10,000 9. 유동비율이 300%, 당좌비율이 150%인 기업이 상품을 ₩2,000,000에 구입하고 대금 중 ₩1,000,000은 받을 어음을 배서양도하고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약속어음을 발행하여 지급하였다. 유동비율과 당좌비율에 미치는 영향 으로 맞게 짝지어진 것은? 유동비율 당좌비율 ① 변화없음 변화없음 ② 변화없음 감소함 ③ 감소함 감소함 ④ 증가함 감소함 10. 자본을 구성하는 다음의 항목들을 기초로 자본잉여금을 구하면 얼마인가? 이익준비금 ₩5억, 자기주식 ₩2억, 주식발행초과금 ₩5억, 보통주자본금 ₩5억, 우선주자본금 ₩5억, 미처분이익잉여금 ₩1억, 사업확장적립금 ₩2억, 감자차익 ₩3억, 자기주식처분이익 ₩3억, 토지재평가잉여금 ₩2억 ① ₩3억 ② ₩5억 ③ ₩8억 ④ ₩11억 Ⓐ - 10 - 11. 다음은 20×1년 12월 31일 현재 기계(취득 20×1년 1월 1일, 내용연수 10년, 잔존가치 없음, 정액법 상각) 관련 부 분재무상태표이다. 20×2년 12월 31일의 기계의 회수가능 액이 ₩420억인 경우에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언급된 기계는 원가모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한다고 가정한다.) 기계 ₩500억 감가상각누계액 (₩50억) 손상차손누계액 (₩90억) ₩360억 ① 20×2년 말의 기계 장부금액은 ₩420억이다. ② 20×2년의 감가상각비는 ₩40억이다. ③ 20×2년 말 현재 손상차손을 인식하지 않았다고 가정했 을 경우, 기계의 장부금액은 ₩400억이다. ④ 20×2년에는 손상차손 환입으로 ₩80억을 계상해야 한다. 12. 다음 자료를 기초로 기말자산 금액을 구하면 얼마인가? ∙ 기초자산 ₩3,000 ∙ 기초부채 ₩1,800 ∙ 기말부채 ₩1,900 ∙ 기말자본 ? ∙ 총수익 ₩2,000 ∙ 총비용 ₩1,700 ∙ 주식배당 ₩50 ∙ 현금배당 ₩50 ∙ 감자의 회계처리 (차) 자본금 50 (대) 현금 30 감자차익 20 ① ₩3,200 ② ₩3,270 ③ ₩3,300 ④ ₩3,320 13. 다음은 ㈜한국의 비교재무상태표와 2015년도의 포괄손익 계산서 항목들이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국의 2015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금액을 구하면 얼마인가? <비교재무상태표> 2014년 말 2015년 말 매출채권 선급보험료 매입채무 장기차입금 ₩540,000 ₩70,000 ₩430,000 ₩880,000 ₩650,000 ₩35,000 ₩550,000 ₩920,000 <2015년도 포괄손익계산서 항목> ∙ 당기순이익 ₩200,000 ∙ 건물처분손실 ₩150,000 ∙ 감가상각비 ₩450,000 ∙ 기계장치처분이익 ₩60,000 ① ₩695,000 ② ₩785,000 ③ ₩800,000 ④ ₩825,000 14. ㈜서울은 ㈜인천을 합병하기 위하여 총 ₩4,500,000을 현 금으로 지급하였다. 합병일 현재 ㈜인천의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은 ₩30,000,000(공정가치: ₩35,000,000)이며, 부채총액은 ₩28,000,000(공정가치 : ₩32,000,000)이었 다. ㈜서울은 ㈜인천과의 합병거래에서 영업권을 얼마로 계 상하여야 하는가? ① ₩1,000,000 ② ₩1,500,000 ③ ₩2,000,000 ④ ₩2,500,000 15. ㈜한국은 2015년 1월 1일에 액면금액 ₩1,000,000, 표시 이자율 연 10%, 3년 만기의 사채를 유효이자율이 6개월 간 8%가 되도록 발행하였다. ㈜한국은 사채발행차금을 유효이자율법에 의하여 상각하며 이자지급시기는 6월 30일 과 12월 31일이다. 현재가치표는 다음과 같다. ₩1의 현재가치 연금 ₩1의 현재가치 3기간 6기간 3기간 6기간 5% 8% 10% 16% 0.864 0.794 0.751 0.641 0.746 0.630 0.565 0.410 2.723 2.577 2.487 2.246 5.076 4.623 4.355 3.685 ㈜한국이 2015년 7월 1일 상기 사채 전부를 ₩900,000에 상환하였다고 할 때 사채상환손익은 얼마인가? ① 상환손실 ₩15,152 ② 상환이익 ₩15,152 ③ 상환손실 ₩19,958 ④ 상환이익 ₩19,958 16. 다음 중 가중평균법에 의한 종합원가계산에서 완성품환산량 단위당 원가는 어느 원가를 사용하는가? ① 당기투입원가 ② 당기투입원가 + 기초재공품원가 ③ 당기투입원가 + 기말재공품원가 ④ 당기투입원가 - 기초재공품원가 17. 최근 2년간 생산량과 총제조원가는 아래와 같다. 2년간 고정원가와 단위당 변동원가는 변화가 없었다. 생산량 총제조원가 2013년 2014년 2,000개 3,000개 ₩50,000,000 ₩60,000,000 2015년도에 고정원가가 10% 증가하고 단위당 변동원가가 20% 감소하면 생산량이 4,000개일 때 총제조원가는 얼마 인가? ① ₩60,000,000 ② ₩62,000,000 ③ ₩65,000,000 ④ ₩70,000,000 18. 활동기준원가계산(ABC)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정의 자동화로 인한 제조간접원가의 비중이 커지고 합 리적인 원가배부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 도입 되었다. ② 발생하는 원가의 대부분이 하나의 원가동인에 의해 설명이 되는 경우에는 ABC의 도입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없다. ③ 활동별로 원가를 계산하는 ABC를 활용함으로써 재무제표 정보의 정확성과 신속한 작성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④ ABC의 원가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적정한 가격결정을 할 수 있다. 19. ㈜서울은 제조간접원가를 기계작업시간을 기준으로 예정 배부한다. 다음 자료를 기초로 제조간접원가 실제발생액 을 구하면 얼마인가? ∙ 제조간접원가 예산 ₩200,000 ∙ 예정조업도 100,000시간 ∙ 실제조업도 80,000시간 ∙ 제조간접원가 배부차이 ₩20,000(과소) ① ₩140,000 ② ₩160,000 ③ ₩180,000 ④ ₩200,000 20. 다음은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과 「지방자치단체 회계 기준에 관한 규칙」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 및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재무제표 작성원칙에 따라 재무제표의 과목은 해당 항목의 중요성에 따라 별도의 과목으로 표시 하거나 다른 과목으로 통합하여 표시가능하다고 명시적 으로 규정하고 있다. ②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국가회계 기준에 관한 규칙」과 달리 자산의 분류에 주민편의시설이 포함된다. ③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국가회계 기준에 관한 규칙」과 달리 현금흐름표가 재무제표에 포 함된다. ④ 「국가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순자산은 기본순자산, 적립금 및 잉여금, 순자산조정으로 구분되나, 「지방자치 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고정순자산, 특정순 자산 및 일반순자산으로 분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