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_7급_B형정답(2021-05-19 / 244.3KB / 368회)
전기기기(7급) B책형 1/2쪽 1. 3상 동기 발전기의 자극 면에 제동권선을 설치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출력증가 ② 역률개선 ③ 난조방지 ④ 효율개선 2. 정격이 같은 2대의 단상 변압기 1,000[kVA]의 백분율 임피던스 강하가 각각 4[%], 5[%]이다. 이것을 병렬로 하면 걸 수 있는 최대 부하[kVA] 값은? ① 1,800 ② 1,850 ③ 1,889 ④ 2,250 3. 60[Hz], 4극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이다. 전부하에서의 회전수[rpm]는? ① 1,700 ② 1,710 ③ 1,728 ④ 1,800 4. 어떤 공장에서 사용전력이 5,000[kVA]이고 역률은 지상 0.6이다. 여기에 500[kW]를 소비하는 동기 전동기를 병렬로 접속하여 공장 전체의 역률을 높이 고자 한다. 동기 전동기의 역률을 진상 0.8로 운전할 때 공장 전체의 전력[kVA]은? ① 3,250+4,375 ② 3,500+3,250 ③ 3,500+3,625 ④ 3,625+3,500 5. 변압기의 결선방식 중 V결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변압기 1개당의 이용률은 약 0.577이다. ② 단상변압기 2대로 3상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③ 부하의 상태에 따라서 2차 단자전압이 불평형으로 된다. ④ 3상 출력은 각 변압기 단상 출력의 배이다. 6. 정격전압 6,600[V], 정격전류 600[A]의 3상 동기 발전기에서 계자전류 300[A]일 때, 무부하 단자전압이 6,600[V]이고 3상 단락전류는 800[A]이면 이 발전기의 단락비로 가장 옳은 것은? ① 1.1 ② 1.25 ③ 1.33 ④ 1.5 7.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법 중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가능 하고 운전효율이 좋은 제어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계자제어법 ② 직렬저항제어법 ③ 전압제어법 ④ 병렬저항제어법 8. Buck-Boost 컨버터의 인덕터 전류 이 와 같이 불연속인 경우, 출력전압 [V]는? (단, 입력전압은 [V]이고, 출력전압은 [V], 듀티비는 이다. 전류가 불연속이 되는 시점의 듀티비는 이다.) ① ② ③ ④ 9. 단중 파권으로 권선된 직류 발전기의 자극수가 10, 전기자 총도체수가 400, 각 자극의 자속은 0.01[Wb], 회전수가 600[rpm]일 때, 유도기전력[V] 값은? ① 40 ② 200 ③ 2,400 ④ 12,000 10. 3상 유도전동기 속도제어법 중 주파수제어법(frequency contro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전압을 일정하게 하고 전원주파수를 크게 하면 여자 전류가 감소하고 공극자속이 줄어든다. ② 역기전력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③ 최대토크는 전원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④ 주파수를 작게 하면 효율, 역률, 토크특성이 좋아진다. 전기기기(7급) B책형 2/2쪽 11. 단상 변압기의 2차측에서의 무부하 전압이 240[V] 이고 정격 부하 시의 2차 단자 전압이 220[V]이다. 전압 변동률[%] 값은? (단, 소수점 이하는 무시한다.) ①6 ②7 ③8 ④9 12. 직류 분권발전기의 전기자 저항이 0.5[Ω]이며 단자 전압이 120[V], 부하전류가 18[A], 계자전류가 2[A]인 직류 분권발전기의 유도기전력[V]과 전기자전류[A] 값은? 유도기전력 전기자전류 ① 100 10 ② 110 20 ③ 120 10 ④ 130 20 13. 유도발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농형 회전자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다. ② 여자 전류를 필요로 하므로 단독으로 발전할 수 없다. ③ 동기발전기와 병렬로 운전할 수도 있다. ④ 단락 시 동기발전기에 비해 단락전류는 적고 지속 시간은 길다. 14. 원통형(비돌극기) 동기발전기의 전기자반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전기자 전류와 무부하 유도기전력이 동상일 때 역률은 1이다. ② 전기자 전류가 무부하 유도기전력보다 90° 앞설 때는 증자 작용을 한다. ③ 전기자 전류가 무부하 유도기전력보다 90° 뒤질 때는 감자 작용을 한다. ④ 전기자 전류와 무부하 유도기전력의 위상각의 차이가 90°일 때 횡축반작용이라 한다. 15. 3상 직권정류자전동기에 중간(직렬)변압기를 사용 하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전원전압의 크기에 관계없이, 정류에 알맞은 회전자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② 중간변압기의 권수비를 바꾸어, 전동기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③ 중간변압기를 사용하여 속도를 광범위하게 연속적 으로 제어할 수 있다. ④ 중간변압기의 자기포화를 이용하여 경부하에서 속도의 급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16. 3상, 460[V], 60[Hz], 6극의 권선형 회전자 유도 전동기에서 회전자 회로를 단락하고 100[N ․ m]의 일정 부하를 걸었을 때 1,140[rpm]의 속도로 회전 한다. 회전자 회로에 저항을 삽입하여 1,020[rpm]의 속도로 감소시키고자 한다. 현재 상당 회전자 권선 저항이 0.2[Ω]일 때 삽입 저항[Ω/상] 값은? (단, 회전 손실은 무시하며 고정자 대 회전자의 권선비는 1이다.) ① 0.2 ② 0.4 ③ 0.6 ④ 0.8 17. 정격용량이 100[kVA]인 단상변압기를 역률 0.8로 운전할 때, 철손이 2[kW], 전부하손이 3[kW]이다. 효율[%]은 약 얼마인가? ① 94.1 ② 95.2 ③ 97.6 ④ 98.0 18. 직류 전동기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타여자 전동기의 속도는 부하전류가 작을 때 전류의 증가에 따라 저하한다. ② 분권전동기의 속도는 역기전력에 비례하고 1극당 자속에 반비례한다. ③ 분권전동기의 토크는 부하가 현저하게 증가하면 전기자반작용이 감소하여 자속이 증가하므로 부하 전류에 비례한다. ④ 직권전동기의 토크는 자기회로가 불포화 시에는 부하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나 자기포화 시에는 부하 전류에 비례한다. 19. 900[kVA], 역률 0.85, 효율 90[%]로 운전하고 있는 동기발전기가 있다. 이 동기발전기와 연결된 원동기의 효율은 0.85일 때, 원동기의 입력[kW] 값은? ① 700 ② 800 ③ 900 ④ 1,000 20. 3상 유도 전동기에서 공간 제5고조파에 의한 회전자계의 회전 방향 및 속도를 기본파 회전자계와 비교한 내용 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기본파와 같은 방향이고 5배의 속도 ② 기본파와 같은 방향이고 1/5배의 속도 ③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5배의 속도 ④ 기본파와 역방향이고 1/5배의 속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