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_7급정답(2022-10-29 / 1.75MB / 510회)
전기기기(7급) | A책형 | 1/3쪽 1. 자기회로와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대응 관계를 | 7. 단상 변압기의 2차측 기준 등가회로가 〈보기)와 같이 잘못 짝지은 것은? 주어질 때, 전압변동률(VR)[%]의 표현식으로 가장 1 기자력 - 기전력 2 자속 - 전류 옳은 것은? 3 투자율 - 도전율 4 퍼미언스 - 저항 (보기) Regs jXegs Is=1520° Vpla R$ 3jXm V=V20° 2. 병렬운전 중인 3상 동기 발전기 두 대 사이에 무효 순환 전류가 흐르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1 원동기의 출력 감소 2 여자전류의 변화 3 부하의 증가 4 부하의 감소 eass - 1x0 Vs 1 VV + R. * VRETX, LX100 3. 변압기의 개방회로시험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는 등가회로 요소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자화 리액턴스, 철손 저항 2 자화 리액턴스, 권선 저항 3 누설 리액턴스, 철손 저항 4 누설 리액턴스, 권선 저항 /a- (Rears + jXoaa) I-IV/al .. V,/al -X100 0 - -Lx Ss 4. 1차 전압이 정격값으로 일정하고 정격주파수 50[Hz]인 변압기를 주파수 60[Hz]로 증가시켜 사용할 경우,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1 와전류손은 주파수와 비례 관계이다. 2 철손은 주파수 증가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3 여자전류() 및 1차 전류(A)도 감소한다. 4 누설 리액턴스 강하도 커지고 임피던스와 전압변동률이 증가한다. 8. 어떤 타여자 발전기가 1,000[rpm]으로 회전할 때 200[V] 기전력을 유도하는 데 2[A]의 여자전류를 필요로 한다고 한다. 이 발전기가 800[rpm]으로 회전하여 160[V]의 유도기전력을 얻기 위해 필요한 여자전류의 값[A]은? (단, 자기회로의 포화현상은 무시한다.) 11 22. 33 5. 변압기 정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정격전압은 권선 절연 및 자화 전류의 최대 허용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2 변압기의 정격주파수가 감소될 경우 최대 허용 자속을 초과하지 않도록 정격감소(derating) 한다. 3 변압기의 정격용량은 정격전압, 정격전류 및 위상이 고려된 정격실효전력으로 정의된다. 4 변압기가 정격보다 낮은 전압에서 동작할 때, 정격 용량도 전압의 감소율에 맞추어 낮게 설정되어야 한다. 9. 600[kVA], 3,000[V]인 3상 동기발전기에 대해 <보기>와 같은 시험결과를 얻었다면 이 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와 가장 가까운 값[2]은? (단, V3 = 1.73으로 계산한다.) <보기> 변수 계자전류 | 단락전류 단자전압 시험 | [A] [A] [V] 개방시험 3,464 | 단락시험 | 40 | 125 | 40 6. 출력 4,500[kW]인 비철극형 3상 동기발전기의 동기 리액턴스 X = 10[ ], 유도기전력 E=6,000[V]일 때, 단자 전압의 값[V]은? (단, 부하각은 8 = 30°이며, 전기자 권선저항은 무시한다.) 1 4,300 2 4,500 3 4,800 4 5,000 1 12 3 20 2 16 424 전기기기(7급) | A 책형 || 2/3쪽 10. <보기>와 같이 단자 전압 12[kV], 계통 주파수 60[Hz]인 | 14. 4극, 60[Hz]인 3상 유도전동기가 1,620[rpm]으로 무한모선(infinite bus)에 동기발전기가 병렬 연결되어 회전하고 있을 때, 전원의 a상, b상, c상 중에서 a상과 부하에 총 500[MW]의 전력을 공급할 때, 무한모선이 b상을 서로 바꾸어 접속할 때의 슬립은? 부하에 공급하는 실효전력(P)의 값[MW]은? (단, 1 1.80 2 1.85 동기발전기의 무부하 주파수는 61[Hz]이고 주파수당 3 1.90 4 1.95 실효전력 변화율은 100[MW/Hz]이다.) <보기> B 무한모선 부하 동기발전기 15. <보기>와 같이 계자 자속을 고정한 상태로 정속 운전 중인 동기발전기의 상당 등가회로에서, 유도성 부하 (Z)의 크기가 감소할 때 동기발전기의 부하각(6)과 상전압(V)의 특성 변동으로 옳은 것은? (단, Z.의 임피던스 각은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1 250 2 300 (4) 400 3 350 ᄉ보기> 11. 3상 권선형 유도전동기가 전부하 토크로 기동하도록 하는 회전자 1상의 저항값이 4[2]일 때, 전부하 슬립이 6[%]라면 기동 시 추가한 회전자 저항 R의 값[2]은? 1 1.96 2 2.56 3 3.16 4 3.76 | EEE = 16012 12. <보기> 회로의 단상 유도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보기> i 원심력 1 증가 감소 @ 증가증가 3 감소 감소 4 감소 | 증가 심위s CN(주권선) 1000 NA(보조권선) 1 커패시터 기동형이다. 2 기동 시 주권선과 보조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차를 90°가 되도록 한다. 3 기동토크가 큰 장점이 있다. 4 효율 향상을 위해 운전 시 보조권선을 사용한다. 16. <보기>의 등가회로로 표현되는 타여자 직류전동기에서 측정될 수 있는 토크(Tind)[N•m]와 속도(m)[rad/s]의 값을 옳게 짝지은 것은? (단, 전동기의 기기 상수와 극당 자속의 곱 Ko=2.0[N·m/A]으로 일정하며,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보기> | IP Ra=0.2[2] + 13. 유도전동기의 회전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 | RF (FE AW 것은? 네 + = 250[V] QOO || Wm 1 강자성체 코어상에 단락된 도체 또는 권선으로 구성 되어 있다. 2 권선형 회전자의 경우 회전자 저항 조절에 의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다. 3 회전자 전류는 슬립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4 이중 농형 회전자의 저항은 슬립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1 2 0 100 130 123. 112.5 108 14 320 | 전기기기(7급) || A 책형 | 3/3쪽 | 17. 직류 분권전동기가 있다. 단자전압이 200[V]이고 전기자 전류는 20[A]이며 전기자저항은 0.2[2]이다. 이때 발생 토크가 20[N·m]라고 한다면 1분간의 회전수에 가장 가까운 값[rpm]은? (단, T = 3.14로 계산한다.) 1 1,573 2 1,873 3 2,173 4 2,473 18. 정격전압이 동일한 변압기를 2권선 변압기로 사용할 경우와 비교하여 단권변압기로 사용하였을 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권선을 적게 사용하여 크기와 중량을 줄일 수 있다. 2 동손이 작고 효율이 높다. 3 %임피던스가 커서 단락전류가 작다. 4 승압비가 작을수록 경제적이다. 19. 전기자 저항 0.06[ ]인 직류 분권전동기가 있다. 단자 전압이 220[V], 전기자 전류가 60[A]일 때, 회전수는 871[rpm]이다. 단자 전압과 전기자 전류를 전동기일 때와 같은 값으로 사용하는 발전기로 운영하기 위한 회전수로 가장 가까운 값[rpm]은? (단,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1 850 2 900 3 950 4 1,000 20. 직류기가 병렬운전을 하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예비기의 운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2 경부하 시에 고효율화를 하기 위함이다. 3 예비기의 용량을 많게 하기 위함이다. 4 부족 용량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이 면은 여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