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출
공기출
012345678
연도별 :
과목별 :
[장소] 2024 경기도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장소공고

 

국가 7급 2차 헌법-가정답(2023-09-24 / 177.5KB / 4,931회)

 

국가 7급 2차 헌법-가정답(2023-09-24 / 49.5KB / 530회)

 

2023 국가직 7급 헌법 해설 김건호 (2023-09-24 / 358.4KB / 6,353회)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2차 필기시험 헌 법 책형 1쪽 헌 법 지문의 내용에 대해 학설의 대립 등 다툼이 있는 경우 판례에 의함 1. 헌법재판소의 일반심판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당사자는 동일한 사건에 대하여 2명 이상의 재판관을 기피할 수 없다. ② 위헌법률의 심판과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은 구두변론에 의하고, 탄핵의 심판, 정당해산의 심판 및 권한쟁의의 심판은 서면심리에 의한다. ③ 법률의 위헌결정, 탄핵의 결정, 정당해산의 결정 또는 헌법소원에 관한 인용결정을 하는 경우에는 재판관 6명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④ 헌법재판소의 심판절차에 관하여 헌법재판소법 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헌법재판의 성질에 반하지 아니하는 한도에서 민사소송에 관한 법령을 준용하며, 탄핵심판의 경우에는 형사소송에 관한 법령을 준용하고, 권한쟁의심판 및 헌법소원심판의 경우에는 행정소송법 을 함께 준용한다. 2. 법률의 제ㆍ개정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회는 헌법 또는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며, 가부동수인 때에는 가결된 것으로 본다. ② 국회에 제출된 법률안은 회기 중에 의결되지 못한 이유로 폐기되지 않지만, 국회의원의 임기가 만료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법률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공포한 날로부터 20일을 경과함 으로써 효력을 발생한다. ④ 대통령은 법률안의 일부에 대하여 또는 법률안을 수정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없다. 3. 청원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현행 헌법규정에 의하면 청원은 문서 또는 구두(口頭)로 할 수 있다. ② 국민은 지방자치단체와 그 소속 기관에 청원을 제출할 수 있다. ③ 청원서의 일반인에 대한 공개를 위해 30일 이내에 100명 이상의 찬성을 받도록 하고, 청원서가 일반인에게 공개되면 그로부터 30일 이내에 10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도록 한 국회청원심사 규칙 조항은 청원의 요건을 지나치게 까다롭게 설정하여 국민의 청원권을 침해한다. ④ 국민은 공무원의 위법ㆍ부당한 행위에 대한 시정이나 징계의 요구를 청원할 수 없다. 4. 사법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회의원의 자격심사, 징계, 제명은 법원에의 제소가 금지된다. ② 비상계엄하의 군인ㆍ군무원의 범죄에 대한 군사재판은 사형을 선고한 경우에도 단심으로 할 수 있다. ③ 공유수면 관리 및 매립에 관한 법률 에 따른 매립지가 속할 지방자치단체를 정하는 행정안전부장관의 결정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우 관계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그 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대법원에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④ 상급법원 재판에서의 판단은 해당 사건에 관하여 하급심을 기속한다. 5. 국회의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국회의원을 제명하려면 국회재적의원 과반수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② 국회의원이 다른 의원의 자격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30명 이상의 연서로 의장에게 자격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③ 국회의원의 법률안 심의․표결권은 국회의원 각자에게 보장되는 법률상 권한이라는 것 또한 의문의 여지가 없으므로, 이는 국회의원의 개별적 의사에 따라 포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다. ④ 국회의 구성원인 국회의원이 국회를 위하여 국회의 권한침해를 주장하는 권한쟁의심판의 청구는 그 권능이 권력분립원칙과 소수자보호의 이념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므로, 헌법재판소법 에 명문의 규정이 없더라도 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6. 문화국가의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우리나라는 건국헌법 이래 문화국가의 원리를 헌법의 기본원리로 채택하고 있다. ② 헌법은 제9조에서 “문화의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할 것을 선언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에게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을 위하여 노력할 의무를 지우고 있다. ③ 헌법 제9조의 규정취지와 민족문화유산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국가가 민족문화유산을 보호하고자 하는 경우 이에 관한 헌법적 보호법익은 ‘민족문화유산의 존속’ 그 자체를 보장하는 것이고, 원칙적으로 민족문화유산의 훼손등에 관한 가치보상이 있는지 여부는 이러한 헌법적 보호법익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④ 국가는 학교교육에 관한 한, 교육제도의 형성에 관한 폭넓은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학교교육 밖의 사적인 교육영역에서는 원칙적으로 부모의 자녀교육권이 우위를 차지하고, 국가 또한 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이념에 비추어, 학교교육과 같은 제도 교육 외에 사적인 교육의 영역에서도 사인의 교육을 지원하고 장려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사적인 교육영역에 대한 국가의 규율권한에는 한계가 있다. 7. 국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적법 조항 중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국적회복 허가를 받은 사람에 대하여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도록 규정한 부분은 과잉금지원칙에 위배하여 거주ㆍ이전의 자유 및 행복추구권을 침해하지 아니한다. ② 1978. 6. 14.부터 1998. 6. 13. 사이에 태어난 모계출생자(모가 대한민국 국민이거나 모가 사망할 당시에 모가 대한민국 국민 이었던 자)가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할 수 있는 특례를 두면서 2004. 12. 31.까지 국적취득신고를 한 경우에만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도록 한 국적법 조항은, 모계출생자가 권리를 남용할 가능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특례기간을 2004. 12. 31.까지로 한정하고 있는바, 이를 불합리하다고 볼 수 없고 평등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③ 국적법 조항 중 “외국에 주소가 있는 경우”는 입법취지 및 사전적 의미 등을 고려할 때 다른 나라에 생활근거가 있는 경우를 뜻함이 명확하므로 명확성원칙에 위배되지 아니한다. ④ 복수국적자가 외국에 주소가 있는 경우에만 국적이탈을 신고할 수 있도록 정한 국적법 조항은 복수국적자에게 과도한 불이익을 발생시켜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어 국적이탈의 자유를 침해한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2차 필기시험 헌 법 책형 2쪽 8. 정당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80년 제8차 헌법개정에서 국가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정당의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보조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 ② 정당의 법적 지위는 적어도 그 소유재산의 귀속관계에 있어서는 법인격 없는 사단(社團)으로 보아야 하고, 중앙당과 지구당과의 복합적 구조에 비추어 정당의 지구당은 단순한 중앙당의 하부조직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독자성을 가진 단체로서 역시 법인격 없는 사단에 해당한다. ③ 위헌정당해산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헌법재판소의 위헌정당 해산결정에 따라 해산된 정당 소속 비례대표 지방의회 의원은 해산결정 시 의원의 지위를 상실한다. ④ “누구든지 2 이상의 정당의 당원이 되지 못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 정당법 조항은 정당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정당 간의 위법ㆍ부당한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정당정치를 보호ㆍ육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당 당원의 정당 가입ㆍ활동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할 수 없다. 9. 헌법재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툼이 있는 경우 헌법재판소 결정에 의함) ① 한정위헌결정의 기속력을 부인하여 청구인들의 재심청구를 기각한 법원의 재판은 ‘법률에 대한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반하는 재판’으로 이에 대한 헌법소원이 허용될 뿐 아니라 헌법상 보장된 재판 청구권을 침해하였으므로 헌법재판소법 제75조제3항에 따라 취소되어야 한다. ② 법률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한정위헌결정 이전에 그 법률을 적용하여 확정된 유죄판결은 ‘헌법재판소가 위헌으로 결정한 법령을 적용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한 재판’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위헌결정의 기속력에 반하는 재판’이므로 그 판결을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 심판청구는 적법하다. ③ 헌법재판소법 제68조제1항의 헌법소원은 행정처분에 대하여도 청구할 수 있는 것이나, 그것이 법원의 재판을 거쳐 확정된 행정처분인 경우에는 당해 행정처분을 심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법원의 재판이 예외적으로 헌법소원심판의 대상이 되어 그 재판 자체가 취소되는 경우에 한하여 심판이 가능한 것이고, 이와 달리 법원의 재판이 취소될 수 없는 경우에는 당해 행정처분 역시 헌법소원심판청구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④ 헌법소원심판청구인이 심판대상 법률조항의 특정한 해석이나 적용 부분의 위헌성을 주장하는 한정위헌청구는 원칙적으로 적법하지만, 한정위헌청구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개별적ㆍ구체적 사건에서의 법률조항의 단순한 포섭ㆍ적용에 관한 문제를 다투거나 의미 있는 헌법문제를 주장하지 않으면서 법원의 법률해석이나 재판결과를 다투는 심판청구는 부적법하다. 10. 역대 헌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헌헌법에서 모든 국민은 국가 각기관에 대하여 문서로써 청원을 할 권리가 있으며, 청원에 대하여 국가는 심사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였다. ② 1952년 제1차 헌법개정에서 단원제 국회가 규정되었고, 국무위원은 국무총리의 제청에 의하여 대통령이 임면한다고 규정하였다. ③ 1962년 제5차 헌법개정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통령이 임명하는 2인, 국회에서 선출하는 2인과 대법원 판사회의에서 선출하는 5인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 한다고 규정하였다. ④ 1980년 제8차 헌법개정에서 모든 국민은 깨끗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11. 탄핵심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헌법 제65조제1항은 탄핵사유를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로 규정하고 있는데, ‘헌법’에는 명문의 헌법규정만이 포함되고,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의하여 형성되어 확립된 불문헌법은 포함되지 않는다. ② 탄핵심판에서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이 소추위원이 되고, 소추위원은 헌법재판소에 소추의결서 정본을 제출하여 탄핵심판을 청구하며, 심판의 변론에서 피청구인을 신문할 수 있다. ③ 헌법 제65조제1항은 ‘직무집행에 있어서’라고 하여, 탄핵사유의 요건을 ‘직무’ 집행으로 한정하고 있으므로, 대통령의 직위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범한 법위반행위만 소추사유가 될 수 있다. ④ 국회의 탄핵소추절차는 국회와 대통령이라는 헌법기관 사이의 문제이고, 국회의 탄핵소추의결에 의하여 사인으로서의 대통령의 기본권이 침해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기관으로서의 대통령의 권한 행사가 정지되는 것이므로, 국가기관이 국민과의 관계에서 공권력을 행사함에 있어서 준수해야 할 법원칙으로서 형성된 적법절차의 원칙을 국가기관에 대하여 헌법을 수호하고자 하는 탄핵소추 절차에는 직접 적용할 수 없다. 12. 대통령 선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통령 후보자가 1인일 때에는 그 득표수가 선거권자 총수의 과반수가 아니면 대통령으로 당선될 수 없다. ② 대통령선거 예비후보자등록을 신청하는 사람에게 대통령선거 기탁금의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인 6,000만 원을 기탁금으로 납부하도록 한 공직선거법 조항 중 해당부분은 경제력이나 조직력이 약한 사람의 예비후보자등록을 억제하거나 예비후보자로 나서는 것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대통령선거 예비 후보자의 공무담임권을 침해한다. ③ 헌법은 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에는 임기만료 70일 내지 40일 전에 후임자를 선거하고,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자가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고 규정한다. ④ 전임자의 임기가 만료된 후에 실시하는 선거와 궐위로 인한 선거에 의한 대통령의 임기는 선거일의 다음날 0시부터 개시된다. 13. 국회와 대통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통령은 국회 임시회의 집회를 요구할 수 있으며, 집회를 요구할 때 집회기간을 명시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② 계엄을 선포한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없이 국회에 보고하여 승인을 얻어야 하며, 국회의 승인을 얻지 못한 때에는 계엄은 그때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③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하여 발언하거나 서한으로 의견을 표시할 수 있으나, 국회의 요구가 있을 때 국회에 출석ㆍ답변할 헌법상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니다. ④ 대통령의 임기연장 또는 중임변경을 위한 헌법개정은 그 헌법개정 제안 당시의 대통령에 대하여 효력이 있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2차 필기시험 헌 법 책형 3쪽 14. 국무회의 및 국무위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국무회의는 의장인 대통령과 부의장인 국무총리, 그리고 15인 이상 30인 이하의 국무위원으로 구성된다. ㄴ. 국무회의는 구성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 구성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ㄷ. 검찰총장ㆍ합동참모의장ㆍ각군참모총장ㆍ국립대학교총장ㆍ 대사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과 국영기업체관리자의 임명은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ㄱ, ㄴ, ㄷ 15. 경제질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헌법 제119조는 헌법상 경제질서에 관한 일반조항으로서 국가의 경제정책에 대한 하나의 헌법적 지침일 뿐, 그 자체가 기본권의 성질을 가진다거나 독자적인 위헌심사의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없다. ② 헌법 제119조제2항은 독과점규제라는 경제정책적 목표를 개인의 경제적 자유를 제한할 수 있는 정당한 공익의 하나로 명문화하고 있는데, 독과점규제의 목적이 경쟁의 회복에 있다면 이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 또한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어야 한다. ③ ‘사영기업의 국유 또는 공유로의 이전’은 일반적으로 공법적 수단에 의하여 사기업에 대한 소유권을 국가나 기타 공법인에 귀속시키고 사회정책적ㆍ국민경제적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재산권의 내용을 변형하는 것을 말하며, 또 사기업의 ‘경영에 대한 통제 또는 관리’라 함은 비록 기업에 대한 소유권의 보유 주체에 대한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사기업 경영에 대한 국가의 광범위하고 강력한 감독과 통제 또는 관리의 체계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④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3제1항은 이른바 일감 몰아주기로 수혜법인의 지배주주 등에게 발생한 이익에 대하여 증여세를 부과함으로써 적정한 소득의 재분배를 촉진하고, 시장의 지배와 경제력의 남용 우려가 있는 일감 몰아주기를 억제하려는 것이지만, 거래의 필요성, 영업외손실의 비중, 손익변동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지 않은 채, 특수관계법인과 수혜법인의 거래가 있으면 획일적 기준에 의하여 산정된 미실현 이익을 수혜법인의 지배주주가 증여받은 것으로 보아 수혜법인의 지배주주의 재산권을 침해한다. 16. 재산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환매권의 발생기간을 제한하고 있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조항 중 ‘토지의 협의취득일 또는 수용의 개시일부터 10년 이내에’ 부분의 위헌성은 헌법상 재산권인 환매권의 발생기간을 제한한 것 자체에 있다. ② 유언자가 생전에 최종적으로 자신의 재산권에 대하여 처분할 수 있는 법적 가능성을 의미하는 유언의 자유는 생전증여에 의한 처분과 마찬가지로 헌법상 재산권의 보호를 받는다. ③ 지방의회의원으로 선출되어 받게 되는 보수가 기존의 연금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도 연금 전액의 지급을 정지하도록 정한 구 공무원연금법 조항은, 연금을 대체할 만한 적정한 소득이 있다고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연금전액의 지급을 정지하여 지급정지제도의 본질 및 취지에 어긋나 과잉금지원칙에 위배되어 재산권을 침해한다. ④ 제1차 투표에서 유효투표수의 100분의 10 이상 100분의 15 미만을 득표한 경우에는 기탁금 반액을 반환하고, 반환되지 않은 기탁금은 국립대학교발전기금에 귀속하도록 정한 국립대학 총장 임용후보자 선정 규정은, 후보자의 진지성과 성실성을 담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제한이므로 총장임용후보자선거의 후보자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17.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접촉차단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서의 수용자 접견 대상을 소송사건의 대리인인 변호사로 한정한 구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시행령 조항은, 그로 인해 접견의 상대방인 수용자의 재판청구권이 제한되는 효과도 함께 고려하면 수용자의 대리인이 되려는 변호사의 직업수행의 자유와 수용자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다. ② ‘변호인이 되려는 자’의 접견교통권은 피의자 등을 조력하기 위한 핵심적인 부분으로서, 피의자 등이 가지는 헌법상의 기본권인 ‘변호인이 되려는 자’와의 접견교통권과 표리의 관계에 있어, 피의자 등이 가지는 ‘변호인이 되려는 자’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실질적으로 확보되기 위해서는 ‘변호인이 되려는 자’의 접견교통권 역시 헌법상 기본권으로서 보장되어야 한다. ③ 수사서류에 대한 법원의 열람ㆍ등사 허용 결정이 있음에도 검사가 열람ㆍ등사를 거부하는 경우 수사서류 각각에 대하여 검사가 열람ㆍ등사를 거부할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를 심사할 필요 없이 그 거부행위 자체로써 청구인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 되고, 이는 법원의 수사서류에 대한 열람ㆍ등사 허용 결정이 있음에도 검사가 해당 서류에 대한 열람만을 허용하고 등사를 거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④ 교도소장이 금지물품 동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결수용자와 같은 지위에 있는 수형자의 변호인이 위 수형자에게 보낸 서신을 개봉한 후 교부한 행위는 교정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교정시설의 안전과 질서 유지를 위한 것으로, 금지물품이 들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신을 개봉하는 것만으로는 미결수용자와 같은 지위에 있는 수형자의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2차 필기시험 헌 법 책형 4쪽 18. 헌법기관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은 모두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위원 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 ②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모두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재판관 중 3인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3인은 대법원장이 지명하는 자를 임명한다. ③ 대법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고, 대법관은 대법원장의 제청으로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한다. ④ 감사원장은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고, 감사위원은 감사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19. 적법절차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등 관련 국가기관이 국민의 생명ㆍ신체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고시 등의 내용을 결정함에 있어서 이해 관계인의 의견을 사전에 충분히 수렴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헌법의 적법절차 원칙상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② 강제퇴거명령을 받은 사람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호기간의 상한을 마련하지 아니한 출입국관리법 조항에 의한 보호는 형사절차상 ‘체포 또는 구속’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점을 고려하면, 보호의 개시 또는 연장 단계에서 그 집행기관인 출입국 관리공무원으로부터 독립되고 중립적인 지위에 있는 기관이 보호의 타당성을 심사하여 이를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③ 형사재판에 계속 중인 사람에 대하여 출국을 금지할 수 있다고 규정한 출입국관리법 에 따른 법무부장관의 출국금지결정은 성질상 신속성과 밀행성을 요하므로, 출국금지 대상자에게 사전 통지를 하거나 청문을 실시하도록 한다면 국가 형벌권 확보라는 출국금지제도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며, 출국금지 후 즉시 서면으로 통지하도록 하고 있고, 이의신청이나 행정소송을 통하여 출국금지결정에 대해 사후적으로 다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절차적 참여를 보장해 주고 있으므로 적법절차 원칙에 위배된다고 보기 어렵다. ④ 효율적인 수사와 정보수집의 신속성, 밀행성 등을 고려하여 사전에 정보주체인 이용자에게 그 내역을 통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기 때문에, 수사기관 등이 통신자료를 취득한 이후에도 수사 등 정보수집의 목적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전기통신사업법 조항이 통신자료 취득에 대한 사후 통지절차를 두지 않은 것은 적법 절차원칙에 위배되지 아니한다. 20. 권한쟁의심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회가 제정한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에 의하여 설립된 국가경찰위원회는 국가기관 상호간의 권한쟁의심판의 당사자능력이 있다. ② 권한쟁의의 심판은 그 사유가 있음을 안 날부터 60일 이내에, 그 사유가 있은 날부터 180일 이내에 청구하여야 한다. ③ 헌법재판소의 권한쟁의심판의 결정은 모든 국가기관과 지방자치 단체를 기속한다. ④ 헌법재판소가 권한쟁의심판의 청구를 받았을 때에는 직권 또는 청구인의 신청에 의하여 종국결정의 선고 시까지 심판 대상이 된 피청구인의 처분의 효력을 정지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21. 다음 사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직선거법 조항이 한국철도공사와 같이 정부가 100분의 50 이상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기관의 상근직원은 선거운동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甲은 한국철도공사 상근 직원으로서, 특정 정당과 그 정당의 후보자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내용의 메일을 한국철도공사 경기지부 소속 노조원에게 발송하였다는 이유로 기소되었다. 甲은 소송 계속 중 자신의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대하여 위헌 법률심판제청신청을 하였으나 기각되자,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다. ① 선거운동의 자유는 선거권 행사의 전제 내지 선거권의 중요한 내용을 이룬다고 할 수 있으므로, 甲에 대한 선거운동의 제한은 선거권의 제한으로도 파악될 수 있다. ② 위 공직선거법 조항은 한국철도공사 상근직원의 직급이나 직무의 성격에 대한 검토 없이 일률적으로 모든 상근직원의 선거운동을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것으로 선거운동의 자유를 침해한다. ③ 선거운동의 자유는 선거의 공정성이라는 또 다른 가치를 위하여 무제한 허용될 수는 없는 것이고, 선거운동이 허용되거나 금지되는 사람의 인적 범위는 입법자가 재량의 범위 내에서 직무의 성질과 내용 등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정할 사항이므로 제한입법의 위헌여부에 대하여는 다소 완화된 심사기준이 적용 되어야 한다. ④ 선거운동의 자유는 널리 선거과정에서 자유로이 의사를 표현할 자유의 일환이므로 표현의 자유의 한 태양이기도 한데, 이러한 정치적 표현의 자유는 선거과정에서의 선거운동을 통하여 국민이 정치적 의견을 자유로이 발표, 교환함으로써 비로소 그 기능을 다하게 된다 할 것이므로 선거운동의 자유는 헌법이 정한 언론ㆍ 출판ㆍ집회ㆍ결사의 자유 및 보장규정에 의한 보호를 받는다. 22. 경찰이 경찰청예규인 채증활동규칙 에 따라 집회참가자를 촬영한 행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채증활동규칙 은 집회ㆍ시위 현장에서 불법행위의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행정조직의 내부에서 상급행정기관이 하급행정 기관에 대하여 발령한 내부기준으로 행정규칙이지만 직접 집회 참가자들의 기본권을 제한하므로 이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청구는 기본권 침해의 직접성 요건을 충족하였다. ② 경찰의 촬영행위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보호대상이 되는 신체, 특정인의 집회ㆍ시위 참가 여부 및 그 일시ㆍ장소 등의 개인정보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수집하였다는 점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할 수 있다. ③ 근접촬영과 달리 먼 거리에서 집회ㆍ시위 현장을 전체적으로 촬영하는 소위 조망촬영이 기본권을 덜 침해하는 방법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최근 기술의 발달로 조망촬영과 근접촬영 사이에 기본권 침해라는 결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고 보기 어려워, 경찰이 집회ㆍ시위에 대해 조망촬영이 아닌 근접촬영을 하였다는 이유만으로 헌법에 위반되는 것은 아니다. ④ 옥외집회ㆍ시위에 대한 경찰의 촬영행위에 의해 취득한 자료는 ‘개인정보’의 보호에 관한 일반법인 개인정보 보호법 이 적용될 수 있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7급 공채 제2차 필기시험 헌 법 책형 5쪽 23. 명확성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기통신사업법 제83조제3항에 규정된 ‘국가안전보장에 대한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수집’은 국가의 존립이나 헌법의 기본질서에 대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요구되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의 정보수집을 의미하는 것으로 명확성원칙에 위배되지 않는다. ② 선거운동기간 중 당해 홈페이지 게시판 등에 정당ㆍ후보자에 대한 지지ㆍ반대 등의 정보를 게시하는 경우 실명을 확인받는 기술적 조치를 하도록 정한 공직선거법 조항 중 ‘인터넷언론사’는 공직선거법 및 관련 법령이 구체적으로 ‘인터넷언론사’의 범위를 정하고 있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ㆍ운영하는 인터넷선거 보도심의위원회가 심의대상인 인터넷언론사를 결정하여 공개하는 점 등을 종합하면 명확성원칙에 반하지 않는다. ③ 국가공무원법 조항 중 초ㆍ중등교원인 교육공무원의 가입 등이 금지되는 ‘그 밖의 정치단체’에 관한 부분은 ‘특정 정당이나 특정 정치인을 지지ㆍ반대하는 단체로서 그 결성에 관여하거나 가입하는 경우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및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높은 단체’로 한정할 수 있어 명확성원칙에 반하지 않는다. ④ 의료인이 아닌 자의 문신시술업을 금지하고 처벌하는 의료법 조항 중 ‘의료행위’는, 의학적 전문지식을 기초로 하는 경험과 기능으로 진찰, 검안, 처방, 투약 또는 외과적 시술을 시행하여 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행위 이외에도 의료인이 행하지 아니하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로 분명하게 해석되어 명확성원칙에 위배된다고 할 수 없다. 24. 지방자치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기본도에 표시된 해상경계선은 그 자체로 불문법상 해상 경계선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나, 관할 행정청이 국가기본도에 표시된 해상경계선을 기준으로 하여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처분을 내리고, 지방자치단체가 허가, 면허 및 단속 등의 업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다면 국가기본도상의 해상 경계선은 여전히 지방자치단체 관할 경계에 관하여 불문법으로서 그 기준이 될 수 있다. ② 헌법이 감사원을 독립된 외부감사기관으로 정하고 있는 취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서로 행정기능과 행정책임을 분담하면서 중앙행정의 효율성과 지방행정의 자주성을 조화시켜 국민과 주민의 복리증진이라는 공동목표를 추구하는 협력관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대한 합목적성 감사의 근거가 되는 감사원법 조항은 지방자치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 ③ 연간 감사계획에 포함되지 아니하고 사전조사가 수행되지 아니한 감사의 경우 지방자치법 에 따른 감사의 절차와 방법 등에 관한 관련 법령에서 감사대상이나 내용을 통보할 것을 요구하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어, 광역지방자치단체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대한 감사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감사대상을 특정하여야 하나, 특정된 감사대상을 사전에 통보할 것까지 요구된다고 볼 수는 없다. ④ 감사 과정에서 사전에 감사대상으로 특정되지 아니한 사항에 관하여 위법사실이 발견된 경우, 당초 특정된 감사대상과 관련성이 인정되는 것으로서 당해 절차에서 함께 감사를 진행하더라도 감사대상 지방자치단체가 절차적인 불이익을 받을 우려가 없고, 해당 감사대상을 적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감사가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없는 사항이라 하더라도, 감사대상을 확장하거나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25. 헌법재판소 결정의 재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권력의 작용에 대한 권리구제형 헌법소원심판절차에 있어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중대한 사항에 관하여 판단을 유탈한 때’를 재심사유로 허용하는 것이 헌법재판의 성질에 반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민사소송법 규정을 준용하여 ‘판단 유탈’도 재심사유로 허용되어야 한다. ② 헌법재판은 그 심판의 종류에 따라 그 절차의 내용과 결정의 효과가 한결같지 아니하기 때문에 재심의 허용 여부 내지 허용 정도 등은 심판절차의 종류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판단될 수밖에 없다. ③ 정당해산심판절차에서는 재심을 허용하지 아니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법적 안정성의 이익이 재심을 허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구체적 타당성의 이익보다 더 크므로 재심을 허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위헌법률심판을 구하는 헌법소원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대하여는 재심을 허용하지 아니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법적 안정성의 이익이 재심을 허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구체적 타당성의 이익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므로 헌법 재판소의 이러한 결정에는 재심에 의한 불복방법이 그 성질상 허용될 수 없다.


해설등록

해설수정
1
수정내역

유튜브

주소복사

신고

스크랩
구분파일명작성자업로드시간수정전
등록 2023 국가직 7급 헌법 해설 김건호.pdf 7공공 2023-09-24 15:57
2023 국가직 7급 행정법 문제 해설 (2차) +6 (2023-09-24) 2023 국가직 7급 행정학 문제 해설 (2차) +9 (2023-09-24) →2023 국가직 7급 헌법 문제 해설 (2차) +5 (2023-09-24) 2023 국가직 7급 형법 문제 정답 (2차) (2023-09-24) 2023 국가직 7급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2차) +4 (2023-09-24)
댓글수 5
?
정렬  > 
  1. 2023 해경 3차 해양경찰학개론 문제 정답

    해경 3차 2023.10.27 조회수 952
  2. 2023 해경 3차 헌법 문제 정답 +4

    해경 3차 2023.10.27 조회수 3231
  3. 2023 해경 3차 형법 문제 정답 +1

    해경 3차 2023.10.27 조회수 2495
  4. 2023 해경 3차 형사법 문제 정답 +2

    해경 3차 2023.10.27 조회수 3117
  5. 2023 해경 3차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3

    해경 3차 2023.10.27 조회수 2029
  6. 2023 비상대비업무담당자 예비군법 문제 정답

    비상대비 2023.10.06 조회수 410
  7. 2023 비상대비업무담당자 헌법 문제 정답 +2

    비상대비 2023.10.10 조회수 4234
  8. 2023 국가직 7급 전과목 문제 정답 (2차) - 2023.9.24. +1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9335
  9. 2023 국가직 7급 건축계획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811
  10. 2023 국가직 7급 건축구조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679
  11. 2023 국가직 7급 건축시공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42
  12. 2023 국가직 7급 경영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309
  13. 2023 국가직 7급 경제학 문제 정답 (2차) +2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6931
  14. 2023 국가직 7급 공직선거법 문제 정답 (2차) +7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030
  15. 2023 국가직 7급 관세법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699
  16. 2023 국가직 7급 교육학 문제 정답 (2차) +3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4188
  17. 2023 국가직 7급 교정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933
  18. 2023 국가직 7급 국제법 문제 정답 (2차) +2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576
  19. 2023 국가직 7급 국제정치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849
  20. 2023 국가직 7급 기계공작법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940
  21. 2023 국가직 7급 기계설계 문제 해설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05
  22. 2023 국가직 7급 노동법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62
  23. 2023 국가직 7급 데이터베이스론 문제 정답 (2차) +2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833
  24. 2023 국가직 7급 도시계획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41
  25. 2023 국가직 7급 독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40
  26. 2023 국가직 7급 러시아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45
  27. 2023 국가직 7급 무역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59
  28. 2023 국가직 7급 물리학개론 문제 해설 (2차) +1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872
  29. 2023 국가직 7급 반응공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38
  30. 2023 국가직 7급 방재관계법규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89
  31. 2023 국가직 7급 불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62
  32. 2023 국가직 7급 생물학개론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60
  33. 2023 국가직 7급 세법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159
  34. 2023 국가직 7급 소프트웨어공학 문제 정답 (2차) +1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118
  35. 2023 국가직 7급 수리수문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812
  36. 2023 국가직 7급 스페인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74
  37. 2023 국가직 7급 식용작물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83
  38. 2023 국가직 7급 심리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10
  39. 2023 국가직 7급 안전관리론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49
  40. 2023 국가직 7급 알고리즘 문제 정답 (2차) +1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119
  41. 2023 국가직 7급 응용역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349
  42. 2023 국가직 7급 인공지능 문제 정답 (2차) +1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449
  43. 2023 국가직 7급 인사조직론 문제 해설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379
  44. 2023 국가직 7급 일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24
  45. 2023 국가직 7급 임업경영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19
  46. 2023 국가직 7급 자동제어 문제 해설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65
  47. 2023 국가직 7급 자료구조론 문제 정답 (2차) +2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368
  48. 2023 국가직 7급 재난관리론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52
  49. 2023 국가직 7급 재배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868
  50. 2023 국가직 7급 전기기기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70
  51. 2023 국가직 7급 전기자기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808
  52. 2023 국가직 7급 전달현상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31
  53. 2023 국가직 7급 전자회로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26
  54. 2023 국가직 7급 정보보호론 문제 정답 (2차) +4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419
  55. 2023 국가직 7급 조경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71
  56. 2023 국가직 7급 조림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97
  57. 2023 국가직 7급 중국어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03
  58. 2023 국가직 7급 토양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388
  59. 2023 국가직 7급 토질역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083
  60. 2023 국가직 7급 통계학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755
  61. 2023 국가직 7급 통신이론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652
  62. 2023 국가직 7급 행정법 문제 해설 (2차) +6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20075
  63. 2023 국가직 7급 행정학 문제 해설 (2차) +9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6305
  64. 2023 국가직 7급 헌법 문제 해설 (2차) +5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16433
  65. 2023 국가직 7급 형법 문제 정답 (2차)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197
  66. 2023 국가직 7급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2차) +4

    국가직 7급(2차) 2023.09.24 조회수 5555
Board Pagination 1 2 3 4 5 ... 10
/ 10
글쓰기 다크모드
뉴스
일정
공고
게시글
인기글
댓글
채팅
채팅로그
  ()   
  최근 해설
최근 활동
전체 해설
출간일순
네이버랭킹
2024 신용한 행정학 실전과 가장 유사한 군무원 7·9급 모의고사10,800원
출간일: 2024.06.26
2025 해커스경찰 김재규 실무종합 이론서 효자손 (경찰승진) (경찰공무원 승진 시험 대비┃경찰승진┃실무종합 특강 무료 제공┃경찰 승진 실무종합┃효과만점 자주보는 손 안의 노트)34,200원
출간일: 2024.06.26
2025 경찰형사법 3년간 최신판례 (경찰채용 및 승진 대비)14,400원
출간일: 2024.06.26
더보기
2025 경찰승진 시험대비 실무종합 오함마 요약집 (경찰승진 시험대비)27,150원
출간일: 2024.06.20
2025 신용한 행정학 최근 10년 단원별 기출문제집 세트38,700원
출간일: 2024.06.20
2024 신용한 행정학 실전과 가장 유사한 군무원 7·9급 모의고사10,800원
출간일: 2024.06.26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