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_9급(최종)정답(2025-07-05 / 292.4KB / 45회)
공기조화(9급) (과목코드 : 005)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인위적으로 실내 또는 일정한 공간의 공기를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하는 것을 공기조화 (Air conditioning)라고 한다. 다음 중 실내 공기의 적합한 상태를 결정하는 요소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성명 : 4. 습공기선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습공기선도를 통하여 일정한 상태점 공기의 습구온도, 절대습도, 엔트로피, 비열비, 풍속 등을 알 수 있다. ① 온도 ③ 기류 ② 습도 ④ 압력 2. 수증기 분압 과 절대습도와의 관계를 가장 적절하게 나타낸 식은? : 절대습도 : 수증기 분압 : 습공기의 전압(대기압) ① × ② × ③ × ④ × 3. 외기부하 중 침입외기에 의한 틈새바람의 풍량 Q를 구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창이나 문의 틈새길이에 의한 방법 ② 창이나 문의 총면적에 의한 방법 ③ 실이 외기와 접하는 창문면의 정도에 따라 환기횟수에 의한 방법 ④ 창이나 문의 열관류율에 의한 방법 ② 습공기선도의 일정한 상태점에서 좌측으로 그은 수평선과 포화공기선과의 교점에서 노점온도를 읽을 수 있다. ③ 습공기선도에서 우측 하향으로 기울기가 급한 선이 습공기의상대습도를 나타내는선이다. ④ 습공기의 가습 상태변화 시 발생하는 가습 방향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현열비를 이용 한다. 5. 공기조화 설비를 구성하는 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난방에 필요한 온열원장치로는 보일러를 사용 하고, 냉방에 필요한 냉열원장치로는 냉동기가 사용된다. ② 열을 운반하는 매개물질인 공기와 물을 이동 시키는 송풍기, 펌프, 덕트, 배관 등을 열운반 장치라고 한다. ③ 실내로공급되는공기를사용목적에적합하도록 만들어 주는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송풍기, 냉각코일, 가열코일, 가습기, 필터 순서로 구성 된다. ④ 공기조화 장치의 경제적인 운전을 위하여 각종 기기의 운전, 정지, 유량 조정 등을 하는 밸브, 댐퍼, 각종 스위치등을자동제어장치라고한다. 6. 공기조화기 내부 기기의 구성요소 중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 ① 제빙기 ② 가습장치 ③ 냉각코일 ④ 에어필터 공기조화(9급) 4- 1 7. 콜드 드래프트를 촉진시키는 원인으로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 ① 기류의 속도가 클 때 ② 습도가 높을 때 ③ 주위 벽면의 온도가 낮을 때 ④ 겨울에 창문의 극간풍이 많을 때 8. 대수평균온도차(LMTD)에 대한 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공기 입구측에서 공기와 물의 온도차[℃], =공기 출구측에서 공기와 물의 온도차[℃]) ① 대수평균온도차(LMTD) ② 대수평균온도차(LMTD) ③ 대수평균온도차(LMTD) ④ 대수평균온도차(LMTD) 9. 공기조화 부하 계산에서 난방부하 계산 시 방위 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가장 낮은 방위계수를 적용하는 부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북측 외벽 ② 지붕 ③ 동측 및 서측 외벽 ④ 남측 외벽 10. 공기조화 부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제거해야 할 열량 또는 공급해야 할 열량을 열원부하라고 한다. ② 환기를위해외기를공조기로도입하여실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까지 냉각·감습하거나 가열· 가습하는데 필요한열량을외기부하라고한다. ③ 공기의 건구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부하를 현열부하라고 한다. ④ 기간부하는 합리적인 공조설비 계획과 연간 운전비를 산출하는데 활용된다. 11. 공기조화기의 자동제어 구성 중 아래 내용에대한 구성요소로 가장 적절한것은? 제어장치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기준입력 신호와 검출부의 출력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계가 소정의 동작에 필요한 신호를 만든다. ① 조절부 ③ 검출부 ② 조작부 ④ 설정부 12. 가로 5m, 세로 10m, 높이 2m인 공간의 15℃인 공기를 20℃로 올리기 위해서 필요한 현열량은? (단, 공기의 밀도는 1.2 kg/m3이고 정압비열은 1.01 kJ/kg·K이다.) ① 303kJ ③ 505kJ ② 420kJ ④ 606kJ 공기조화(9급) 4- 2 13. 전 공기방식(All air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실내에는 취출구나 흡입구를 설치하면 되므로 팬코일과 같은기구의노출이없어서실내유효 면적을넓힐수있다. ② 송풍량이 많아서 실내공기의 오염이 심하다. ③ 열매체인 냉·온풍의 운반에 필요한 팬의 소요 동력이 냉·온수를 운반하는 펌프동력보다 적게 든다. ④ 이 방식의 적용은 업무용 사무실, 병실 등과 같이 극간풍이 비교적 많고 재실인원이 적은 방에 적당하다. 14. 펌프 주위의 배관을 설치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흡입구는 수위면에서부터 관경의 2배 이상 물속으로 들어가게 한다. ② 토출부에 설치한 체크밸브는 펌프에서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③ 흡입관의길이는되도록길게하는것이좋다. ④ 흡입관의수평배관펌프를향해위로올라가도록 설계한다. 15. 팬코일 유닛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중앙기계실의열원장치로부터냉수또는온수나 증기를 배관을 통해 각실에있는팬코일유닛 (FCU)에 공급하여 실내공기와열교환시켜냉난방 한다. ② 각실에수배관파손으로인한누수의우려가 있다. ③ 외기량이부족하여실내공기의오염은심하지만 실내소음은없다. ④ 겨울철 유닛을 실내외측창문밑에설치하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를 줄일 수 있다. 16. 수분무식 가습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것은? ① 수분무식은 분사력이나 초음파 진동 등으로 물을 미세화시켜 공기 중에 방출하여 가습 하는 방식이다. ② 가습된 공기의 상대습도가 100% 이내이므로 주변 물체에 결로를 일으키지 않는다. ③ 가습기에서 나온 미세한 물방울이 공기 중에 확산 증발되는과정에서공기중의증발잠열을 흡수하므로가습후공기온도가내려간다. ④ 수분무식의 종류는 원심식, 초음파식, 노즐 분무식이 있다. 17. 다음은 열이 이동되는 형식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단어를 나열한 것은? ( ㉠ )란 물체에 온도차가 있을 때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열이 그 물체를 통하여 이동되는 현상을 말한다. ( ㉡ )란유체의흐름에의해서열이이동되는 것을 총칭한다. ( ㉢ )는빛과마찬가지로 열 에너지가 전자 파의 형태로 물체로부터 방출되며, 이것이 다른 물체에 도달하여 흡수되면 열로 변하게 되는 현상 이다. ① ㉠: 대류, ㉡: 전도, ㉢: 복사 ② ㉠: 전도, ㉡: 대류, ㉢: 복사 ③ ㉠: 복사, ㉡: 전도, ㉢: 대류 ④ ㉠: 대류, ㉡: 복사, ㉢: 전도 18. 보일러 상용출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운전초기나과부하가발생했을때의출력이다. ② 연속해서 운전할 수 있는 보일러의 능력으로 난방부하, 급탕부하, 배관부하, 예열부하의 합이다. ③ 보일러가 항시 일상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능력으로 난방부하, 급탕부하, 배관부하의 합이다. ④ 난방부하와 급탕부하를 합한 용량으로 표시 된다. 공기조화(9급) 4- 3 19. 방송국 스튜디오나 음악 감상실 등 소음규제가 심한 곳에사용하는취출구로가장적절한것은? ① 아네모스탯형 ② 라이트 트로퍼형 취출구 ③ 다공판형 취출구 ④ 노즐형 취출구 20. 배관의 부식방지대책으로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배관에 코팅, 도장, 도금을 한다. ② 보급수의 용존산소를 제거한다. ③ 이온화 경향의 차이가 큰 관끼리 연결한다. ④ 금속관에 물기가 없도록 하거나 난방 코일 등에는 물을 완전히 채워 공기의 접촉이 없게 한다. 21. 원형덕트와 사각 장방형덕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동일한 풍량을 송풍할 때 덕트의 마찰손실은 단면이 원형인 원형덕트가 가장 적다. ② 원형덕트를 장방형덕트로 환산하는 이유는 공기를 15m/s 이상의 고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다. ③ 장방형덕트의 장변과 단변의 비를 아스펙트비 (Aspect ratio)라 하며 보통 4:1이하가 바람직 하다. ④ 원형덕트 직경 d와 장방형덕트 장변 a, 단변 b와의 관계식은 d= ․ 이다. 22. 냉각탑의 전양정이 10m이고 냉각수 순환유량이 100 L/min 일 때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의 수동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물의 밀도는 1,000 kg/m3이다.) ① 0.16 kW ③ 16.67kW ② 1.67kW ④ 166.77 kW 23. 노통 연관보일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재질이 주철이므로 내식성이 강하여 수명이 길다. ② 보유수면이 넓어 급수용량 제어가 쉽고 예열 시간이 길다. ③ 비교적 설치면적이 넓고 초기투자비가 많이 들며 급수처리가 까다롭다. ④ 수직으로세운드럼내에연관(Fire tube) 또는 수관(Water tube)이 있는 소규모 보일러이다. 24. 정상 운전 중인 송풍기의 풍량 제어에 대한 설명 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토출댐퍼에의한제어는댐퍼를조이면송풍량이 감소하고송풍압력은증가한다. ② 흡입댐퍼에의한제어는댐퍼를조이면송풍량이 감소하고송풍압력도감소한다. ③ 흡입베인에의한제어는베인을조금씩닫으면 송풍량이 감소하고송풍압력도감소한다. ④ 전동기회전수를바꾸는회전수에의한제어는 효율은 좋으나축동력이가장많이소요된다. 25. 공기조화 배관회로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배관말단이개방된개방회로방식은물이대기 중에 노출되므로 수중에 산소량이 많아 배관 부식이 심하다. ② 순환수가 공기와 접촉하지 않는 밀폐회로 방식은 펌프 양정이 크기 때문에 개방회로 방식보다 동력비가 많이 든다. ③ 직접환수방식에서 기기에 흐르는 유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마다 정유량 조절밸브를 설치한다. ④ 역환수방식은 급수로부터 각 유닛을 거쳐 나오는 총 길이가 동일하므로 기기마다의 저항이 균일하게 되어 유량도 균일하다. 공기조화(9급)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