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학_7급(최종)정답(2025-07-05 / 339.8KB / 31회)
건축시공학(7급) (과목코드 : 003)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빌딩커미셔닝에 있어 커미셔닝 수행자의 책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성명 : 5. 친환경 콘크리트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시스템의 시운전, 시험, 조정, 커미셔닝 및 운전에 필요한 특수공구,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 및 사용설명서 등 제공 ② 커미셔닝 보고서의 최종 승인 ③ 시스템및구성품에대한설계자또는감독자가 검토승인한 모든 현장승인서 제공 ④ 설계상 또는시공상의문제점기록서작성및 관리 2. 민간이 자본을 조달하여 사회간접자본 시설을 준공하고 시설의 소유권을 확보함은 물론 직접 운영하는 민간투자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BOT(Build-Operate-Transfer) ② BTO(Build-Transfer-Operate) ③ BOO(Build-Own-Operate) ④ BTL(Build-Transfer-Lease) 3. 콘크리트 이어붓기 시 주의사항으로가장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전단력이 적은 곳에서 한다. ② 이음을 짧게 한다. ③ 수평이어붓기 시 레이턴스를 제거한다. ④ 이음면은거친면처리하고부착력증대를위해 건조상태로 한다. 4. 건축 현장에서 높이 기준이 되는 벤치마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기준점은 변형되거나 사라질 염려가 없는 위치에 설정한다. ② ‘수직 규준틀’ 또는 ‘규준틀’이라 칭하기도 한다. ③ 하나의 기준점이 손상될 경우를 대비해 두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바람직하다. ④ 지면에서 0.5~1m 정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① 순환골재(recycled aggregate): 폐콘크리트 로부터 재활용처리를 거쳐 생산된 골재로서 국가에서 제시한 품질기준을 만족시키는골재 ② 생애주기비용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 기법: 제품 시스템의 생애주기에 걸쳐 투입물과 산출물을 작성하고 이들이 환경에 미치는 잠재적 환경영향을 종합 평가하는 기법 ③ 저탄소콘크리트(low carbon concrete): 시멘트 대체 혼화재로서 플라이 애시 및 콘크리트용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결합재로 대량 치환하여 제조된 삼성분계 콘크리트 중 치환율이 50% 이상, 70%이하인 콘크리트 ④ 환경성능(environmental performance): 환경 영향 및 환경적 요소와 관련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 6. 강구조물 부재조립 및 설치에서 건축물의 현장 가조립에 대한설명으로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1절마다 기둥, 보의 세우기 순서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반입하도록 한다. ② 구조상필요한작은보, 수직가새, 공장건물의 수평 가새, 트러스의 제1래티스 등은 세우기와 동시에 설치하는것을원칙으로한다. ③ 기둥세우기에 따라 가로재, 가새 등을 가볼트 조임한 후 건물모서리와 주요 위치에 설치된 수직, 수평 기준점에서 피아노선, 다림추, 계측기 등을 이용하여 변형을 측정하고, 일정 구획마다 변형바로잡기를완료한후본볼트를 조임한다. ④ 본볼트조임은볼트군 내의 각볼트가유효 하게 작용할 수 있는순서로해야하며, 표준 볼트장력의 60% 정도로 조임한 후 2단계 조임에서 표준 볼트장력으로 조임한다. 건축시공학(7급) 4- 1 7. 안전시설공사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방호 선반: 상부에서 작업 도중 자재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비계외부안전통로출입구상부에 설치하는 낙하물 방지망 대신 설치하는 목재 또는 금속 판재를 말한다. ② 낙하물 방지망: 바닥, 도로, 통로 및 비계 등에서 자재,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부 및 비계 외부에 수평면과 20° 이상 30° 이하로 설치하는 망을 말한다. ③ 안전대부착설비: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5m 이상의 장소에서 근로자에게 안전대를 착용 시킨 경우 안전대를 안전하게 걸어 사용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부착설비를말한다. ④ 낙하물 투하설비: 높이 3m 이상인 장소에서 낙하물을 안전하게 던져 아래로 떨어뜨리기 위해 설치되는 설비를 말한다. 8. AE콘크리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AE콘크리트의 공기량의 변화량은 표준값의 ±3.0 % 이내로 한다. ② AE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같은 단위 AE제량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여러 조건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므로, AE콘크리트 시공에서는 KSF 2409 또는 KS F 2421에 따라 공기량 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③ 공기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압축강도가 저하한다. ④ AE제, 감수제, AE감수제 및 고성능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은 굵은골재의 최대 치수와 노출등급에 따라 4.5~7.5% 범위의 값이다. 9. 강화 판유리 지지구조부의 치수 허용오차 중 지지구조의 바닥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허용오차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1.0mm ③ ±3.0mm ② ±2.0mm ④ ±4.0mm 10. 골재의 품질에서 실적률(solid volume percentage of aggregat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실적률이 클수록 건조수축이 증가한다. ② 실적률은 골재의 단위 용적 중 실적 부분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③ 골재의 실적률은 입도, 입형이 좋고 나쁨을 알 수 있는 지표가 된다. ④ 실적률의 범위는잔골재55~70%, 굵은 골재 60 ~65%, 쇄석 55~65%이다. 11. 지하배수에서 기초배수시설 시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은 시공상세도면에 명시된 경사에 맞추어 배관하여야 하며, 변동은 3m 연장에 3mm 이내여야 한다. ② 관은 느슨하게 끝을 맞대고 이음에 중심을 두고, 관둘레에 100mm 너비로 이음덮개를 대어야 한다. ③ 여과섬유는되메우기작업전에수평하게고른 여과골재 위에덮어야한다. ④ 골재는100mm 두께의 층으로채우면서다져야 한다. 12. 섬유강화 시멘트판(평형 시멘트판)의 잇기공법 및 고정에 대한 설명으로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지붕 잇기일 때에는 조짐못(또는 광두못)을 사용하며 각 판의 하부와 그 밑에 있는 판의 양측과 연결 고정한다. ② 지붕마룻장의 고정에서 지붕마룻장은 결속선 또는클립으로고정하고겹침은60mm이상으로 한다. ③ 처마끝의잇기에서처마끝에는반절의평판을 깔아 대고 2장 겹치기로 하고 마름모 잇기일 때에는 마름모 잇기와 반절판과의 사이에 3각판을 사용한다. ④ 박공옆 선두르기는 그 겹치는 수는 3장 이상 으로 한다. (단, 구리판 또는 아연도강판(함석) 선두르기일 때에는 설계도서에 따르고 공법은 KCS 41 56 07에 따른다) 건축시공학(7급) 4- 2 13. 온수 온돌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경량기포콘크리트에서 기포제는 pH6~8로서 배관재를 부식시키는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야 하며, 기포제원액에희석한후고압력압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포는 시멘트 슬러리와 충분히 혼합되어 콘크리트 내에 균일하게 분포해야 하고, 기포가 일부에 몰리거나 파괴 되지 않아야 한다. ② 단열 완충재 깔기에서 단열 완충재의 교점과 연결 부위에는 가로·세로 각각 900mm 간격 으로 상부에 고정판을 설치하고, 타카핀 또는 콘크리트 못으로 슬래브 바닥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킨다. ③ 경량기포 콘크리트 타설에서 온돌 채움층용 경량기포콘크리트의28일압축강도는0.8N/mm2 이상이어야 한다. ④ 마감모르타르 바르기에서 온돌바닥 모르타르 바르기의 미장마감횟수는고름작업을포함하여 최대 3회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4. 차수공법 중 이중관(외관+내관) rod에 특수 선단장치(rocket)를 부착시켜 대상 지반 중에 형성시킨 유도 공간을 통해 급결성과 완결성의 주입재를 저압으로 복합 주입하는 공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MSG 공법 ③ LW 공법 ② JSP 공법 ④ SGR 공법 15. 복수의 시공업체가참여하는공동도급(Joint Venture) 방식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복수의 업체가 공동으로 공사에 참여함으로써 개별 업체의 자금 부담이 줄어든다. ②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위험을 공동 분담함 으로써 리스크가 줄어든다. ③ 참여기업간에의견차이가발생하지않으며, 현장 운영도 수월하게 진행된다. ④ 단일 회사의 도급공사보다 공사비가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 16. 거푸집 블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벽의세로근및가로근에서내력벽의중공부에 배근하는 대근의직경이가로근의직경과같을 때에는 가로근을 대근으로 대용할 수 없다. ② 벽의 세로근 및 가로근에서 개구부 주위에 있는 콘크리트의단면은90mm×120mm 이상 으로 한다. ③ 블록쌓기의 쌓기에서 거푸집 블록 속에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를 채워 넣을 때 버려지거나 이동 및 변형 등이 생길 우려가 있는 곳은 가는 #20 철선 등으로 연결하여 이들의 변형을 방지한다. ④ 창문틀 세우기에서 창문틀의 상·하부에 뒤사춤을 할 때에는 바깥편에 거푸집을 대고 안으로 모르타르를 다져 넣는다. 17. 석재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화강석석재쌓기 공사시, 1일의 쌓기 높이는 1.5 m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② 동절기의 습식 시공은 5℃ 이상, 건식시공은–10℃ 이상에서실시하는것을원칙으로한다. ③ 화강석석재쌓기 공사 시, 철물은 모르타르로 완전히 덮이도록하고, 피복두께는 20mm 이상 으로 한다. ④ 화강석 석재쌓기 공사 시, 나무쐐기는 모르 타르가 굳은 다음 반드시 빼내고 그 자리는 모르타르로 채운다. 18. 터널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벽체+바닥 전용 거푸집이다. ② 대형 형틀로서 부재가 중량물이기 때문에 이동 시 철저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③ 모노셀폼은 건물의 유닛에 맞추어 1개의 거푸집으로 제작한 것이며, 트윈셀폼은 실내의 거푸집이 ㄱ자형의 2개의 거푸집으로 제작 한 것이다. ④ 트윈셀폼은 모듈화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가 용이한 반면, 경간 조정이 불가능하다. 건축시공학(7급) 4- 3 19. 석공사의 시공에서 도면 및 공사시방서에 시공 허용오차에 대한 특별한 내용이 없을경우 부위별 높이에 따른 시공허용오차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수직면높이3,000mm 이내의 시공허용오차는 0 mm이다. ② 수직면높이10,000mm 초과 15,000mm 이내의 시공허용오차는 4mm이다. ③ 수평면높이15,000mm 초과 20,000mm 이내의 시공허용오차는 3mm이다. ④ 수평면높이20,000mm 초과 30,000mm 이내의 시공허용오차는 4mm이다. 20. 철근의 용도에 따른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주철근은 주된 단면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휨모멘트와 축력에 저항하기 위해 배치하는 철근이다. ② 배력철근은하중을분산시키거나균열을제어할 목적으로 주철근과 직각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하는 보조철근이다. ③ 축방향철근은주로보부재에서사인장응력을 받는철근이다. ④ 나선철근은기둥에서종방향철근을나선상으로 감는철근이다. 21. 건축물의 오수정화시설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변조는 오수의 저류조와 퍼내기조를 조합한 구조이다. ② 시유 도관은 도자기로 된 위생기구로 소재의 재질로 소지(素地)에 유약을 입힌 것이다. ③ 변조에서 콘크리트는 현장타설 콘크리트나 기성제품으로 하며, 방수 모르타르의 배합은 결합재와 모래의 비를 1:2로 하고 적당량의 방수제를 혼합한다. ④ 변조에서 배기통은 공사시방서에 정한 바가 없을 때는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석면 시멘트관이나 경질 염화비닐관을 사용하고 상부의 배기 갓은 공사시방서에 따른다. 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않은것은? ① 공장에서 일정한 조건으로 생산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고 높게 유지할 수 있다. ② 기계 중심의 작업방식으로 인해 현장 인력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③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법처럼 부재의 형상을 유연하게 만들 수 있다. ④ 악천후나 기상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23. 기초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잡석다짐 기초는 일반적으로 지지력이 우수한 암반층 위에 직접 설치하며, 지하수 대책 없이 시공해도 문제가 없다. ② 어스앵커 공법은 지지력이 부족한 연약지반 일수록 효율이 높으며, 별도의 지지층이 필요 하지 않다. ③ 직접기초는 지지력이 낮은 지반에 사용하는 공법이며, 깊이 5m 이상 굴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④ 기초저면에 지하수가 존재할 경우에는 배수 대책과 부력 저감 대책을 병행하여야 한다. 24. 콘크리트의 성질 중 공기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시멘트의분말도및단위시멘트량이증가하면 공기량은 감소한다. ② 콘크리트온도가낮아지면공기량은증가한다. ③ 잔골재 중미립분이 적을수록 공기량은 증가 하고, 잔골재율이 작을수록 공기량은증가한다. ④ AE제 혼입량이 증가하면 공기량은 증가한다. 25. 누수 보수공사를 위한 균열주입공법의 구분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경사압력 주입(intercept injection) 공법 ② 구조체 배면 주입(positive injection) 공법 ③ 수평압력주입(horizontal pressure injection) 공법 ④ 방수층 재형성 주입(waterproofing layer reforming injection) 공법 건축시공학(7급)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