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조화_7급(최종)정답(2025-07-05 / 252.5KB / 21회)
공기조화(7급) (과목코드 : 005)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습공기의 상태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 하지 않은 것은? 성명 : 4. 실내에서의 냉방부하 중 잠열을 포함하지 않는 부하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습공기를 가열하면 절대습도는 높아진다. ② 습공기를 가열하면 상대습도는 낮아진다. ① 침기부하 ② 인체발열부하 ③ 주방조리부하 ④재열부하 ③ 습공기를 가열하면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는 높아진다. ④ 습공기를 가열하면 엔탈피와 비체적은 증가 한다. 2. 산소(O2)를 이상기체로 생각했을 때, 절대압력은 1 MPa, 온도는 47℃에서의 비체적은 약 몇 m3/kg 인가? (단, 일반기체상수는 8.3kJ/kmol·K, 산소의 분자량은 32kg/kmol이다.) ① 0.093 ③ 0.032 ② 0.083 ④ 0.016 3. 건구온도 30℃, 절대습도 0.0134kg/kg인 공기 4,000 m3/h를 표면온도가 10℃인 냉각코일로 냉각· 감습할 경우 응축수 분량(kg/h)으로 가장 가까운 값은? (단, 공기의 정압비열 1.01kJ/kg·K, 습공기의 비중량은 1.2kg/m3, 10℃ 포화습공기의 절대습도는 0.0076 kg/kg, 냉각코일의 바이패스 팩터(BF)는 0.1로 한다.) ① 25.3 ③ 35.3 ② 31.3 ④ 41.3 5. 냉방부하 계산 시 유리창을 통한 일사취득열량을 산정하기 위해고려해야할사항으로가장적절하지 않은것은? ① 유리의 태양열 취득계수 ② 창의 면적과 방위각 ③ 창의 유리 두께와 열전도율 ④ 해당 지역의 태양복사강도 6. 냉·난방 부하와 기기 용량과의관계에대한설명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냉각코일 용량=실내취득열량+외기부하+ 배관손실부하+가습부하 ② 보일러상용출력=난방부하+배관손실부하+ 급탕부하+가습부하 ③ 송풍량=실내취득열량+기기로부터의취득열량 ④ 냉동기 용량=냉각코일용량+냉수펌프 및 배관부하 공기조화(7급) 4- 1 7. 난방장치의 용량 계산을 위한 설계용 외기온도를 정할 때 이용되는 ASHRAE의 TAC 2.5% 온도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난방기간은 120일 이다.) ① 난방기간 동안의 외기온도가 설계 외기온도 보다 2.5% 높을 가능성이 있다. ② 난방기간 동안의 외기온도가 설계 외기온도 보다 2.5% 낮을 가능성이 있다. ③ 2.5%의 시간에 해당되는 약 72시간의 외기 온도가 설계 외기온도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다. ④ 2.5%의 시간에 해당되는 약 72시간의 외기 온도가 설계 외기온도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다. 8. 난방용 트랩(Trap)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드럼(Drum) 트랩 ② 벨로우즈(Bellows) 트랩 ③ 플로트(Float) 트랩 ④ 버킷(Bucket) 트랩 9. 난방부하가 7,200kcal/h인 방에 온수난방을 하고자 한다. 이때 방열기의상당방열면적은? ① 18.2 m2 ③ 12.0 m2 ② 16.0m2 ④ 10.2m2 10. 에어와셔(Air washer)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적절하지 않은것은? ① 분무노즐(Spray nozzle)은 스탠드파이프에 부착되어 스프레이 헤더에 연결된다. ② 다공판 또는 루버(Louver)는 기류를 정류해서 세정실 내를통과시키기위한것이다. ③ 스프레이 헤더의 수를 뱅크(Bank)라 하고 1본을 1뱅크, 2본은 2뱅크라 한다. ④ 세정기 단면의 종횡비를 크게 하면 성능이 높아진다. 11. 전열교환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공기방식의 중앙공조시스템이나 공장 등에서 환기에서의 에너지 회수 방식으로 사용된다. ② 공조시스템에서 배기와 도입되는 외기의 전열 교환으로 공조기의 용량을 줄일수있다. ③ 공기 대공기의열교환기로서 습도차에 의한 잠열은 교환 대상이 아니다. ④ 전열교환기를 사용한 공조시스템에서 중간기 (봄, 가을)를 제외한 냉방기와 난방기의 열 회수량은 실내외의 온도차가 클수록 많다. 12. 펌프의 공동현상과 유효흡입수두(NPSH)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NPSH는 공동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유효 흡입양정을 수두로 표시한 것이다. ② NPSH는 펌프의 설치 상태, 흡입양정, 마찰 손실 및 유체의 온도 등에 따라 다르다. ③ 공동현상을 방지하려면 NPSH를 낮추어 펌프 흡입구의 압력이 항상 그 수온에서의 물의 포화증기압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한다. ④ 공동현상을방지하려면펌프설비에서 얻어지는 NPSH를 펌프 자체가 필요로 하는 NPSH보다 작게 한다. 공기조화(7급) 4- 2 13. 다음 공기조화방식 중 에너지소비가 가장 적은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① 단일덕트 재열방식 ② 단일덕트 변풍량방식 ③ 단일덕트 변풍량 재열방식 ④ 이중덕트방식 14. 다음 중 대형 백화점의 공기조화 방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이중덕트방식 ② 팬코일유닛방식 ③ 각층유닛방식 ④ 유인유닛방식 15. 지역난방 열공급 관로 중 지중매설방식과 비교한 공동구 내 배관시설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② 건설비용이 적고 시공이 용이하다. ③ 누수 점검 및 확인이 쉽다. ④ 부식 및 침수 우려가 적다. 16. 온수난방을 하는 어떤 실의 난방부하가 8,000W 일 때, 필요한 방열기의 쪽수(Section)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방열기 섹션 1개의 방열면적은 0.24 m2로 한다.) ① 54 ③ 74 ② 64 ④ 84 17. 환기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급기와 배기측에 모두 팬을 설치하는 1종 환기는 환기량과 실내 압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② 급기용 팬만 설치하는 2종 환기는 실내를 가압함으로써 연소용 공기가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③ 배기용 팬만설치하는 3종 환기는 실내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오염공기의 침입을 방지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④ 주방, 공장, 실험실에서와 같이 특정지역의 오염물질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드를 설치하여 국소환기를 한다. 18. 냉동능력을 나타내는단위인1USRT(미국냉동톤)에 해당하는것으로가장적절한것은? ① 3,024 W ③ 3,438 W ② 3,322W ④ 3,516W 19. 냉온수 코일의 설계기준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공기와 물의 열교환 방향을 대향류로 하여 대수평균온도차가 작아지도록 설계한다. ② 냉수코일의 경우 속도가 2.5m/s 이상이면 엘리미네이터를 설치한다. ③ 일반적으로 냉수 입구와 출구의 온도차는 5 ℃로 한다. ④ 냉온수 겸용으로 사용 시 냉온수 코일의 선정은 냉수코일을 기준으로 한다. 공기조화(7급) 4- 3 20. 송풍기의 고유특성을 나타내는 특성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일정한회전수에서 횡축을 풍량, 종축을 압력, 효율, 소요동력으로 놓고 풍량에 따라 이들의 변화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② 송풍량을 증가시키면 축동력은 증가한다. ③ 송풍량을 증가시키면 압력은 증가한다. ④ 송풍량을 증가시키면 효율은 증가 후 감소 한다. 21. 덕트 시공 시 공기누설을방지하기위한대책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리벳의 외측 또는 플랜지와 철판 사이의 외측에 실재료(Sealant)를 바른다. ② 체결볼트는 전 둘레를 대각선 방향의 순서로 고르게 조인다. ③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패킹으로 틈새가 없도록 한다. ④ 플랜지와 플랜지를 용접한 부분에는 돌기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22. 다음 중 발생 열량이 가장 큰 보일러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물의 비열은 4.2kJ/kg·K, 100 ℃ 물의 증발잠열은 2,257kJ/kg, 130℃ 포화 증기의 엔탈피는 2,720kJ/kg이며 열손실은 무시 한다.) ① 50℃의 물을 70℃의 온수로 시간당 3,600kg을 발생시키는 보일러 ② 50℃의 물을 130℃의 증기로 시간당 360kg을 발생시키는 보일러 ③ 표준방열량이 0.523kW/m2이며 상당방열면적 EDR이 100m2인 온수보일러 ④ 환산증발량이 360kg/h인 증기보일러 23. 작용온도(OT, Operative temperatur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온도, 습도, 복사를 고려한 감각온도이다. ② 온도, 습도, 기류속도를 고려한 감각온도이다. ③ 온도, 기류속도, 복사를 고려한 감각온도이다. ④ 온도, 기류속도, 복사, 착의량을 고려한 감각 온도이다. 24. 덕트의 치수결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것은? ① 등속법은 덕트 내의 풍속을 정해 각 부분의 풍속을 일정하게 하고 통과 풍량으로부터 덕트 치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각 구간마다 단위길이당 압력손실이 달라지며 계산이 번거로운 점이있다. ② 등압법은 덕트의 단위길이당 마찰손실이 일정한 상태가 되도록 해서 덕트 마찰손실 선도로부터 직경을 구하는 방법으로 정압법 또는 등마찰법이라고도 한다. ③ 정압재취득법은 각 분기 덕트 또는 취출구 에서의 정압의 증가(풍속의 감속으로 인한 정압의 재취득)가 바로 다음 구간에서의 덕트 마찰손실을 상쇄할 수 있도록 덕트 치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④ 개량등압법은 먼저 등압법으로 덕트 치수를 정하고 풍량 분포를 댐퍼 없이도 균일하게 하도록 분기부의 덕트 치수를 크게 해서 압력 손실을 적게 하고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25. 일반적인 덕트의 설계순서로 적절한 것은? ① 송풍량 결정→취출구 및 흡입구 위치 결정 →덕트경로 결정→덕트치수 결정 ② 취출구 및 흡입구의 위치 결정→덕트경로 결정→덕트치수 결정→송풍량 결정 ③ 취출구 및 흡입구의 위치 결정→덕트경로 결정→송풍량 결정→덕트치수 결정 ④ 송풍량 결정→취출구 및 흡입구의 위치 결정→덕트치수 결정→덕트경로 결정 공기조화(7급)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