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역학_7급(최종)정답(2025-07-05 / 632.4KB / 18회)
응용역학(7급) (과목코드 : 065)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그림과 같이 3개의 힘 , , 가 작용할 때, A점에 대한 모멘트[N․m]는? (단, 거리는 A점 에서 힘의 작용선까지의 연직거리이다.) 성명 : 4. 그림과 같은 두 캔틸레버 A 및 B점에서의 휨 모멘트 크기의 비는? (단, 캔틸레버 보의 자중은 무시한다.) 5 m 3 m P1=5 N P2= 3 N P3=4 N A 2 m ① 25 (시계 방향) ② 26 (반시계 방향) ③ 27 (시계 방향) ④ 28 (반시계 방향)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에서 CD 구간의 단면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 A C L/3 P D L/3 L/3 ① 휨모멘트와 비틀림모멘트가 발생한다. ② 휨모멘트와 전단력이 발생한다. ③ 전단력만발생한다. ④ 휨모멘트만 발생한다. 3. 그림과 같은 반원 형태의 단순형 아치에서 아치 정점 C에서의 전단력[kN]은? ① 6 ③ 8 ② 7 ④ 9 ① 1 : 5 ② 2 : 5 ③ 3 : 5 ④ 4 : 5 B 5. 그림과 같이 보에 등분포하중이 작용할 때, 이 보에 작용하는 최대 정모멘트와 최대 부모멘트 비는? ① 2 : 1 ② 4 : 3 ③ 5 : 4 ④ 6 : 5 응용역학(7급) 5- 1 6. 그림과 같이 밑변이 b이고 높이가 h인 직사각형 단면 단순보에 등분포하중 w가 작용할 때, 왼쪽 지점에서 L/4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발생하는 보의 최대 휨응력은? w A ① ③ C L/4 L ② ④ B h b 7. 단면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 는 단면의 미소 면적, 는 단면적, 는 축에서 미소 면적까지의 거리, 는 축에서 미소 면적까지의 거리이다.) ① 축에 대한 단면 1차 모멘트 ② 축에 대한 단면 2차 모멘트 ③ 축에서 단면도심까지의거리 ④ 단면 2차 상승모멘트 8. 트러스 구조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각 부재가 만나는 절점은 마찰이 없는 활절 (힌지)로 연결되어 있다. ② 외력에 대하여 각 부재가 축방향 인장력과 압축력만으로 저항하는 구조이다. ③ 각 부재의 중심축은 절점에서 만나고, 곡현 트러스 부재는 곡선재이다. ④ 트러스 전체가 안정되려면 내적 및 외적 모두 안정되어야 한다. 9. 그림과 같이 프레임 ABC에 하중이 작용할 때, 고정지점 A의 모멘트반력 [kN․m]은? 3 m B 2 kN/m ① 104 A 2 kN C 10 m ② 106 ③ 108 ④ 110 10.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ABC 구간과 CD 구간의 단면은 높이는 같으나 폭은 다르다. 두 구간의 휨파괴에대한강도가같을때, 단면2차모멘트의 비 IABC : ICD는? ① 2 : 1 ③ 2 : 3 ② 1 : 1 ④ 1 : 2 응용역학(7급) 5- 2 11. 길이가 5m이고, 한변의 길이가 인 정사각형 단면 금속봉에 인장력 8kN이 작용하고 있다. 봉의 탄성계수는 100GPa, 허용신장량이 1mm일 때, 허용신장량을 넘기지않을 의최소값[mm]은? ① 20 ③ 24 ② 22 ④ 26 12. 그림의 A축에서단면의도심G까지거리[mm]는? 12.5 mm A ① 24 ③ 26 25 mm G x 50 mm 12.5 mm ② 25 ④ 27 40 mm 20 mm A 13. 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단주 단면의 핵 내부에 하중이 작용하면 단면의 어느 곳에서도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② 세장비는 기둥 길이, 기둥 부재 단면적 및 단면 1차 모멘트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③ 장주는 세장비가 상당히 커서 기둥의 좌굴에 지배받는 기둥이다. ④ 장주의 좌굴하중은 오일러(Euler) 공식으로 구하며, 기둥 양단의 지지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갖는다. 14. 그림과 같이 트러스 ABC의 C절점에 하중이 작용할 때, B의 수평방향 변위는? (단, 모든 부재의 탄성계수는 , 단면적은 이다.) ① ③ ② ④ 15. 그림과 같이 응력요소에서 60MPa의 인장응력과 40 MPa의 압축응력이 서로 직각으로 작용할 때, 종단면과 30°를 이루는 경사단면 A-A에서의 수직응력[MPa]은? 40 MPa A 60 MPa 30º 60 MPa A 40 MPa ① 20 ③ 30 ② 25 ④ 35 응용역학(7급) 5- 3 16.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정성적인 영향선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① A의 수직반력 A ② A의 모멘트반력 A ③ B의전단력 A ④ C의수직반력 A B B B B B C C C C C 17. 그림은 어떤 금속재료의 응력()-변형률() 선도 이며, 은 그래프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보다 약간 큰 응력이 작용하면 부재는 소성 변형을 한다. ② 보다 큰 응력이 작용할 때 후크(Hooke)의 법칙을 따른다. ③ 은 탄성계수이다. ④ 는 항복응력이다. 18. 그림과 같이 양단이 고정되어 있는 부정정 보에 하중이 작용할 때, 지점단면 휨모멘트 절댓값과 중앙단면 휨모멘트의 절댓값의 차이는? P L/2 ① ③ ② ④ L/2 19. 그림과 같이 X, Y 두 가지 재료로 구성된 봉이 양단 고정되어 있다. 온도가 ΔT만큼 상승했을 때, 고정단에 작용하는 반력의 크기는? (단, X의 단면적과 탄성계수는 각각 AX, EX이고, X와 Y의 온도팽창계수 α는 같으며, X의 탄성계수는 Y의 탄성계수의 2배이다.) ① 1.5 αΔTEXAX ② 2.0 αΔTEXAX ③ 2.5 αΔTEXAX ④ 3.0αΔTEXAX 20. 그림과 같이 단순보가 중앙점에 하중을 받을 때, 중앙점 C의 처짐[mm]은? (단, 보의 휨강성은 × N․mm²이다.) A ① 4 ③ 8 10 kN C 1 m ② 6 ④ 10 B 응용역학(7급) 5- 4 21. 그림과 같이 직사각형의 변단면을 갖는 캔틸레버보 끝단에 하중 P가 작용할 때, A와 C에 작용하는 최대 휨응력의 비 는? (단, 이다.) x A ① 6 : 5 C B P ② 7 : 6 ③ 8 : 7 ④ 9 : 8 h(x) b 22. 그림과 같이 구조물에 모멘트 하중이 작용할 때, B점의 연직방향 반력의 크기는? (단, 보의 휨강성은 일정하다.) ① ③ ② ④ 23. 그림과 같이 구조물에 하중이 작용할 때, C점 에서의 수직처짐[mm]은? (단, 보의 휨강성은 4,000 kN․m2이다.) A ① 2 ③ 4 B 2 m ② 3 ④ 5 3 kN 2 m C 24. 그림과 같이 무게가 W인 구체를 길이가 L인 강체봉이 지지하고 있으며, 봉의 밑부분은 힌지와 스프링 상수가 kθ 인 회전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있다. 구체의 무게가 WC일 때 좌굴이 발생한 다면, kθ 를 WC와 L로 나타낸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강체봉의 자중은 무시한다.) ① ③ ② ④ 25. 그림과 같이 두 개의 기둥으로 지지된 수평봉에 집중하중 가 작용하고 있다. 두 기둥의 재료는 같으나, 왼쪽 기둥의 단면적은 200mm², 오른쪽 기둥의 단면적은 600mm²이다. 하중 작용 후에도 봉이수평을유지하기위한하중P의위치[m]는? x H ① 4.5 ③ 6.5 P 10 m ② 5.5 ④ 7.5 응용역학(7급)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