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봉사론_7급(최종)정답(2025-07-05 / 340.6KB / 11회)
정보봉사론(7급) (과목코드 : 094)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다음은 온라인 정보원에 대한 설명으로, 괄호 안㉠과㉡에들어갈용어를바르게연결한것은? 성명 : 4. ISO 9126(1991,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품질)에서 정의된 사용성 평가요소에 해당하지않는것은?- ( ㉠ )은/는 국내외 대학 및 기관에서 자발적 으로 공개한 강의 동영상 및 자료를 웹 상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고등교육 교수학습 자료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제이다.- ( ㉠ )은/는 우리나라 OER운동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국내 고등교육 이러닝 강의 최다보유 서비스로 ( ㉡ )에서 운영·제공한다. ① ㉠OED, ㉡ 국립중앙도서관 ② ㉠KOCW,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③ ㉠K-MOOC, ㉡ 국회전자도서관 ④ ㉠ScienceON,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 다음 업무들 중 정보서비스 속성이나 기능적 특징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① 북큐레이션 ② 자원파일제작 ③ 서지정보원 확충 ④가상참고서가 구축 3. ALA RUSA(미도서관 협회 내 참고이용자서비스 협회)에서 발표한 참고면담 가이드라인에서 밝힌 참고면담 과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까이 다가가기-경청과 질문-관심표명 정보탐색-후속조치 ② 가까이 다가가기-관심표명-경청과 질문 정보탐색-후속조치 ③ 관심표명-가까이 다가가기-경청과 질문 정보탐색-후속조치 ④ 관심표명-경청과 질문-가까이 다가가기 정보탐색-후속조치 ① 이해가능성(understandability) ② 학습성(learnability) ③ 효과성(effectiveness) ④ 준수성(compliance) 5. 다음이 설명하는 정보서비스 유형은?- 이용자가 필요로하는자료가자관이외의관공서, 기업체, 교육기관 등 다른 기관에소장되어있거나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경우, 이러한 외부자원과 이용자를 연결시켜주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위해 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요구의 유형에 따른 해결과정을 기록한 외부자원 파일을 유지하고 참고할 필요가 있다. ① 도서관 상호대차(ILL: Inter Library Loan) ② 리에종 서비스(Liaison Service) ③ 원문제공서비스(DDS: Document Delivery Service) ④ 레퍼럴 서비스(Information and Referral Service) 6. 정보서비스 철학의 발전 과정에서 다음 설명이 일컫는 이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공공도서관은 시민의 대학이다.- 도서관 교육을 생애의 요구라 표현한다.- 정보화 사회정착이후그필요성이재인식되기도 했다. ① 교육이론 ③ 진보이론 ② 상담 지도 이론 ④ 정보제공 이론 정보봉사론(7급) 4- 1 7. A와 B 용어에 대한 검색에서, 다음의 검색연산자를 사용할 때가장좁은범주의검색결과를제시하는 것은?- 불리언 검색연산자: AND, OR, NOT- 인접연산자: W(n), N(n)- 구문 검색: “ ”- 절단 및 와일드카드 검색: *, ? ① “A B” ② A AND B ③ A N(3) B ④ A OR B 8. 질문협의때 활용할 중요한 방법으로 “이용자의 관점에서 질문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며 오픈형 질문에 포함되기도 하는 질문” 유형을 일컫는 개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개방형 질문 ②의미형성형질문 ③ 폐쇄형 질문 ④유도형질문 9. 용어 가중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용어출현빈도(TF: Term Frequency)는 어떤 문헌 내에서 특정 용어가 출현하는 횟수로 TF가 높으면 용어에 대한 가중치를 높게 부여 하는 것이다. ㉡ 역문헌빈도(IDF: Inverse Document Frequency) 는특정용어가나타난문헌의수에대한역수를 취한 값으로 IDF가 작은 용어는 문헌 내에서 주요한 의미를 지니는 단어로 간주한다. ㉢ TF*IDF는 문헌 내에서 많이 출현하고 전체 문헌 집합에서 출현하는 문헌들의 수가 적은 용어를 중요한 용어로 평가하는 것이다. ㉣ TF*IDF 값에 더해 용어가중치를 부여할 때 문서의 길이(Document Length)도 고려할 요소 중 하나이다. ① ㉠, ㉡ ② ㉢, ㉣ ③ ㉠, ㉡, ㉢ ④ ㉠, ㉢, ㉣ 10. 포리와 도웰(Fourie&Dowell)이 2009년에 발표한 이용자의 참고질문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지시형, 즉답형, 조사형, 연구형, 기술지원형 이라는 5가지의 질문을 제시하고 있다. ② 한두개정도의참고정보원을 참고하여 해답 제공이 가능한 질문유형을 조사형 질문유형 이라 서술했다. ③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가능 여부, 방법 등에 대한 질문은 즉답형 질문으로 구분했다. ④ 이용자를해답이있는정보원으로안내해주는 유형의 질문은 기술 지원형으로 따로 구분 했다. 11. 전자정보원 관리 과정 중 구현과 이용 단계의 업무나 고려사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패키지의경우이미제공하고있는타이틀과의 중복 여부 확인 ② 메타데이터 관리 등 자료 조직 ③ 검색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환경 설정 및 웹 페이지 반영 ④ 링크 서버, 프록시 서버 등 기술적인 조치 12. 메타데이터 모델링에 관한 설명에서 괄호 안 ㉠~㉢에 들어갈 용어를 모두 바르게 연결한 것은?- ( ㉠ )은 선정된 메타데이터 세트의 논리적 또는 의미적 프레임워크를 표시한 것이다.- ( ㉡ )은처리대상인자원을표현하는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 ㉢ )은메타데이터기술과교환을위한인코딩 포맷과 같은 구문을 말한다. ① ㉠시맨틱스(Semantics), ㉡ 데이터 모델(Data model), ㉢ 신택스(Syntax) ② ㉠데이터모델(Data model), ㉡ 신택스(Syntax), ㉢ 시맨틱스(Semantics) ③ ㉠신택스(Syntax), ㉡ 시맨틱스(Semantics), ㉢ 데이터 모델(Data model) ④ ㉠시맨틱스(Semantics), ㉡ 신택스(Syntax), ㉢ 데이터 모델(Data model) 정보봉사론(7급) 4- 2 13. OAIS 참조모델의 정보모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내용정보(Contents Information)는 애초에 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대상 그 자체에 해당 하는 정보이다. ② 보존기술정보(Preservation Description Information)는 식별정보, 배경정보, 출처정보, 무결성정보, 접근권한정보로 내용정보가 생산된 환경을 이해하고 보존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보이다. ③ 기술정보(Descriptive Information)는 보존기술 정보에서 추출한 정보로 검색과 관리과정에 사용하기 위하여 패키지의 외부에 두고 운영 하는 정보이다. ④ 패키징정보(Packaging Information)는 내용 정보와 외부의 기술정보를 연결하는 정보로 정보패키지 관리에 활용되는 정보이다. 14. 도서관 네트워크를 유형과 기능에 따라 구분 할 때 다음중그성격이다른하나는? ① OCLC WorldShare ② KISTI의 ScienceON ③ 국립중앙도서관 주관 책바다 ④ 외국학술지지원센터(FRIC) 15. 다음이 설명하는 DELOS 선언의 디지털도서관 운영체제 개념은?-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을 의미한다.- 디지털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콘텐츠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매핑한다. ① 기능(functionality) ② 품질(quality) ③ 정책(policy) ④ 아키텍쳐(architecture) 16. 더빈(Dervin)의 의미형성이론을 구성하는 핵심 개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상황(situation) ③ 추구(seeking) ② 격차(gap) ④ 이용/도움(use/help) 17. 서지결합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여러 개의 문헌이 공통되는 인용문헌을 하나 이상 갖고 있을 때 이 문헌들은 서로 주제적 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가정에 기반한 것이다. ㉡ 주제적으로 연관된 문헌을 검색하는 데 있어 검색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한다. ㉢ 논문A와B가공통으로 갖는 참고문헌의수가 많아지면 이들 두 논문 간의 관련성은 높아 진다. ㉣ 논문A와B가나중에 발표된 논문들에서함께 인용될 때 먼저 발표된 A와 B는 주제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① ㉠, ㉡ ③ ㉠, ㉡, ㉢ ② ㉢, ㉣ ④ ㉡, ㉢, ㉣ 18. 즉시성 지수(Immediacy Index)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해당연도를제외한최근2년간학술지에수록 된 논문의 평균 피인용횟수이다. ②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당해 연도에 인용되는 비율을 의미한다. ③ 특정학술지의 전체피인용횟수 가운데 자기 학술지 논문에 의해 인용된 비율을 의미한다. ④ 하나의 학술지가 다른 학술지에 비해 상대적 으로 어느 정도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평가 하는 데 사용된다. 19.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적절한것을모두고른것은? ㉠ 행동과학적인 관점에서 정보란 아는 것, 또는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보내거나받는자극이다. ㉡ 섀넌(Shannon)과 위버(Weaver)는 전송되는 신호 연속체를 ‘정보’라 하였다. ㉢ 정보는데이터와 비교하여 객관적인 사실 또는 관찰로 조직화되어 있지 않고 가공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 정보는입수형태에따라인공정보와자연정보로 구분된다. ① ㉠, ㉡ ③ ㉢, ㉣ ② ㉡, ㉢ ④ ㉠, ㉣ 정보봉사론(7급) 4- 3 20. 다음은 세라(Shera)의 참고과정 모델 도식이다. 오른쪽은 정보요구에서 파생된 질문이 진화하는 과정을 제시한 것이다. 다음 Ⓐ에 들어갈 개념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유사 개념 또는파생개념 ② 이용자가 직접 이용한 개념 ③ 언어로 표현된 또는 구체적 개념 ④ 시스템에서 탐색 가능한 개념 2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보검색모델은?- SMART 시스템을 구축했던 Salton과 그의 동료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일련의 검색시스템 확장 실험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모델에 의하면 각 용어는 각각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탐색 수행에서 공간상의 거리와 각도를 산출해 활용한다. ① 불리언논리 모델 ②벡터공간모델 ③ 확률 모델 ④ 퍼지 집합 모델 22. 전 세계 11,000여종의 OA저널, 2백만여 건의 기사 및 OA 논문 등 전분야 학술정보를 제공 하는서비스를지칭하는것으로가장적절한것은? ① DOAJ ③ JSTOR ② EECT ④ OAK 23. 다음 지문에서 공통으로 설명하는 용어는?-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새로운 장비와 기술을 학습하는 협력적인 학습 환경으로 특정한 종류의 장비 또는 공간이라기보다는 지역사회와 협력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협업의 공간이다.- 유사한 개념으로 무한상상실, 아이디어팩토리, 팹랩(fab lab) 등이 있다. ① 라키비움(Larchiveum) ② 미디어테크(Médiathèque) ③ 메이커스페이스(Makerspace) ④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24. 디지털 콘텐츠의 식별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DOI(Digital Object Identifier)는 디지털 콘텐츠 의 위치와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구조이다. ②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URN (Uniform Resource Name)보다 영구적인 주소 체계이다. ③ OpenURL은 위치 정보가 아닌 정보자원자체의 식별을 위해서 필요한 메타데이터 집합이나 고유한 식별자를 통해서 정보자원을 연결 한다. ④ OpenURL 프레임워크는 참조대상이 되는 연계 자원에 대한 메타데이터와 식별자를 기반으로 하여 상황인식연계를 지원한다. 25. ‘대한’이 CCL을 위반한 사항은? ‘대한’은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해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 어느 날, ‘대한’은 인터넷 에서 ‘민국’이 만든 그래픽을 발견했다. 이 자료는 ‘CC BY-SA’ 라이선스로 배포되고 있었다. ‘대한’은 ‘민국’의 그래픽을 ㉠ 일부 수정해 디자인을 바꾸어 ㉡ 본인의 블로그에 게시했다. 게시할 때 ‘대한’은 ㉢ 저작자로 ‘민국’을 표시하고 ㉣ 라이선스로 ‘CC BY-NC-ND’을 설정했다. ① ㉠ ③ ㉢ ② ㉡ ④ ㉣ 정보봉사론(7급)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