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역학_7급(최종)정답(2025-07-05 / 373.7KB / 19회)
토질역학(7급) (과목코드 : 111) 2025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1. 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포화도가 100%면 모든 공극이 물로 채워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명 : 4. 다음 그림과 같이물이위에서아래로흐르고있다. 물의침투로인하여C면에작용하는유효연직응력 [kN/m2]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이다.) ② 공극률과 함수비가 동일한 두 흙의 포화도는 동일하다. ③ 공극률은 간극비와 관련된 값이다. ④ 공극률은항상0보다크고1보다작거나같다. 2. Terzaghi 압밀 방정식을 유도할 때, 필요한 기본 가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적절하지않은것은? ① 흙은 균질하고 완전히 포화되어있다. ② 물의 흐름은 1차원의 수직방향이다. ③ 흙입자자체는비압축성, 물은압축성을가진다. ④ 물의 흐름은 Darcy의 법칙을 따른다. 1m 2m 4m 1m ① 66 ③ 136 흙A:γsat = 19kN/m3 흙B:γsat = 22kN/m3 ② 126 ④ 146 C 면 기준면 5. 지표면에 있는 폭 2m, 길이 무한대인 띠기초에 120 kPa의 등분포하중이 작용하고 있다. 띠기초로 부터 횡방향으로 10m 떨어진 지점의 깊이 3m 아래에서의 연직응력 증가량[kPa]은? (단, 근사해법(2:1 응력분포법)을 활용한다.) ① 0 3. 액성한계와 소성한계를 이용한 소성지수(Plasticity Index)의 해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소성지수는 액체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함수비 범위를 나타낸다. ② 점토와실트의액성한계가동일하다면점토는 소성지수가 큰 흙이다. ③ 일반적으로소성지수가작을수록점토의체적 변화(압축성)가 크다. ③ 36 ② 24 ④ 48 6. 어떤 흙의 함수비가 20%, 비중이 2.7, 건조단위 중량이 15kN/m3일 때, 이 흙의 포화도는?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이다.) ④ 일반적으로 소성지수가 클수록 점토의 전단 강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① 67.5% ③ 72.5% ② 70.0% ④ 75.0% 토질역학(7급) 5- 1 7. 주동토압, 수동토압 및 정지토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단, 는 내부마찰각[°]이다.) ① 동일한지반및옹벽조건에서작용하는토압의 크기를 비교하면 주동토압<정지토압<수동 토압이다. ② 동일한 지반 및 옹벽 조건에서 토압계수의 크기를 비교하면 주동토압계수<정지토압 계수<수동토압계수이다. ③ 수동상태의 파괴면이 지표면(수평면)과 이루는 각은 이다. ④ Rankine의 소성상태에 이르는 옹벽의 최소 회전각 크기를비교해보면, 주동파괴회전각은 수동파괴 회전각보다 크다. 8. 간극수압 측정이 가능한 현장시험으로 가장적절한 것은? ① 표준관입시험 ② 베인전단시험 ③ 삼축압축시험 ④ 콘관입시험 9. 흙 시료를 가지고 직접전단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직응력을 10kN/m2만큼 가하고 전단한 결과 전단응력이 20kN/m2이었다. 이 시료의 점착력을 10 kN/m2라고 가정할 때, 흙의 내부마찰각[°]은? ① 30 ③ 60 ② 45 ④ 75 10. 어떤 흙 시료의 비배수전단강도가 50kPa일 때, 이 전단강도에 대한 설명으로가장적절한것은? ① 장기 안전성 해석에 활용할 수 있다. ② 간극수압을 고려한 유효응력 해석으로부터 구한 것이다. ③ UU시험을 수행하여 구한 것이다. ④ 흙시료를압밀시킨후전단시켜구한것이다. 11. 흙의 다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수정다짐시험이생긴이유는다짐에너지가작은 현장시험 장비를 모사하기 위함이다. ② 다짐곡선은 반드시 영공기곡선(zero air void curve) 왼쪽(아래쪽)에 위치하여야 한다. ③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과 최대 건조단위중량을 나타내는 최적함수비가 같이 증가한다. ④ 실내에서 다짐시험을 하는 방법으로는 샌드콘 방법과 고무막법이 있다. 12. 두께 2m의 점토 시료를 사용하여 양면 배수압밀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평균적으로 90%의 압밀이 진행되는 데 걸린 시간이 84.8분일 때, 이 점토시료의투수계수[m/min]는? (단, 시료의 체적변형계수는 1m2/kN, 물의 단위 중량은 10kN/m3이다.) ① 0.1 ③ 0.4 ② 0.2 ④ 0.8 토질역학(7급) 5- 2 13. 간극수압 측정을 위한 압밀비배수(CU) 삼축압축 시험을 진행한 결과, 간극수압 계수(Skempton’s parameters)는 A=0.5, B=1.0으로 나타났다. 점토 시료는 구속압 100kPa로 압밀한 후, 파괴까지 축차응력을 증가시켰으며, 파괴 시 축차응력은 100 kPa로 측정되었다. 이때 파괴 시 유효 최대 주응력[kPa]은? ① 33.3 ③ 100 ② 50 ④ 150 14. 그림과 같은 토층에서 A점에 작용하는 횡방향 유효응력[kPa]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이다.) ① 40 ③ 60 ② 45 ④ 65 15. Mohr-Coulomb 파괴포락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Mohr-Coulomb 기준은 구속압과 무관하게 일정한 전단강도를 가정한다. ② Mohr-Coulomb 기준은 전단강도가 비선형 으로 증가하는 점을 이용한다. ③ 내부마찰각은 구속압 증가에 따라 전단강도가 증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강도정수이다. ④ Mohr-Coulomb 기준은 전응력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 16. 모래를 가지고 수행한 직접전단시험의 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느슨한 모래의 경우, 전단변위 증가에 따라 전단응력이계속증가하다가전단강도에이르면 파괴된다. ② 느슨한 모래의 경우, 전단변위 증가에 따라 체적이 팽창하는 경향을 보인다. ③ 조밀한 모래의 경우, 전단변위 증가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하여 첨두점(Peak)에 이르고 이후에는 전단응력이 감소하여 극한(Ultimate) 상태에 이른다. ④ 조밀한 모래의 경우, 전단변위 증가에 따라 체적은 초기에 약간 수축하다가 파괴에 근접 할수록 팽창하는 경향을 보인다. 17. 흙 시료 1,000g을 건조 시킨 후 입도분포시험 (체분석)을 수행한 결과가 아래 표와 같을 때, 균등계수(Cu)와 곡률계수(Cc)의 값은? 체 직경[mm] 각체에남아있는흙무게[g] 4.0 0 2.0 1.6 1.2 0.8 0.4 0.1 100 200 100 200 100 200 0.075 C ① 12 ② 12 ③ 8 ④ 8 100 u C c 3.33 1.33 3.33 1.33 토질역학(7급) 5- 3 18. 그림과 같이 옹벽의 지표면 위에 상재하중이 작용 하고 있고, 옹벽 AB가 AB’로 움직였다고 할 때, Rankine의 토압이론을 적용하여 계산한 옹벽에 작용하는 단위 폭당 횡토압의 합력[kN/m]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이다.) q=30 kN/m2 B’ B 10m g = 20kN/m3 ① ③ A c = 0 f = 300 ② ④ 19.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액상화는 주로 점토질 지반에서 발생하며 이는 압밀이 잘 되는 특성 때문이다. ② 액상화는 간극수압이 감소하고 유효응력이 증가할 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③ 액상화는 조밀한 모래보다 느슨한 모래층에서 더 잘발생한다. ④ 액상화는흙의함수비가액성한계를초과할때 발생하는 현상이다. 20. 지표면에서 4m인 깊이에 지하수위가 있으며, 위쪽 4 m 두께의 토층은 모세관 현상으로 완전히 포화되었다. 모세관에 의한 포화대는 지표면까지 이어진다고 할 때(즉, 모관상승고 4m), 지표면 으로부터 깊이 2m 지점의 유효연직응력[kPa]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 흙의 포화단위 중량은 20kN/m3이다.) ① 10 ③ 40 ② 20 ④ 60 21. 그림과 같은 직접(얕은)기초가 있다. 기초형태는 줄기초이고 전반전단파괴가 발생할 때 Terzaghi가 제안한 극한지지력 이론을 적용하여 구한 극한 지지력[kN/m2]은? (단, Nc, Nq, Nγ 는 각각 30, 40, 20으로 가정한다.) 4m ① 1,910 ③ 4,950 γt = 20 kN/m3 c = 5kN/m2 8m ② 3,350 ④ 6,550 22. Rankine토압이론과 Coulomb토압이론의 특성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Rankine이론은 주동토압만 해석 가능하다. ② Coulomb이론은 소성이론으로부터 도출된다. ③ Rankine이론은 벽면과의 마찰각을 고려한다. ④ Coulomb이론은 흙막이 벽체 기울기를 고려한다. 토질역학(7급) 5- 4 23. 그림과 같이 실트층을 통과하는 물의 흐름에서 점 A에서의 간극수압[kPa]은? (단, 물의 단위중량은 10kN/m3이다.) ①-60 ③ 20 ② 0 ④ 60 24. 사면안정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Janbu의 간편법은 비원형파괴에 주로 적용하고, 힘의 평형조건만을 고려한다. ② Bishop의 간편법은 원형파괴에 주로 적용하고, 절편력의 합력의 방향은 수평(즉, 절편에 작용 하는연직방향의힘의합력은0)으로가정한다. ③ 사면 붕괴는 붕괴 가능 예상 활동면 중에서 전단강도(Shear Strength)가 전단응력(Shear Stress)보다 가장 큰 활동면에서 발생한다. ④ 점토지반의사면해석은전응력해석법과유효 응력 해석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장기적 사면 안정 해석에는 일반적으로 유효응력 해석법을 적용한다. 25. 반무한 등분포하중이모래지반의지표면에재하된 직후, A점에서의 수두h가 7m만큼 상승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재하 후 197일 경과 시점에 정규압밀점토층 내 평균 압밀도가 50%에 도달 했다면, 이 점토층의 압밀계수[m2/day]는? ① 2.5×10-2 ② 5.0×10-2 ③ 7.5×10-2 ④ 10.0×10-2 토질역학(7급)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