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9급 재배학개론-나정답(2025-04-05 / 90.3KB / 197회)
국가 9급 재배학개론-나정답(2025-04-05 / 32.5KB / 36회)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재배학개론책형1쪽 재배학개론 1. 작물의 분류와 해당 작물의 연결로 옳은 것은? ① 식용작물-삼, 감자 ② 섬유작물-제충국, 아주까리 ③ 사료작물-오처드그라스, 티머시 ④ 유료작물-완두, 기장 2. 다음 작물 중 요수량이 가장 큰 것은? ① 보리 ② 알팔파 ③ 옥수수 ④ 기장 3. 작물 재배 시 파종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파종량이 적어지면 잡초도 적게 발생한다. ② 파종 시기가 늦어질수록 파종량을 줄인다. ③ 경실종자가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파종량을 줄인다. ④ 채종용은 청예용보다 파종량을 줄인다. 4. 파종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적파는 산파보다 파종노력이 많이 든다. ② 산파는 도복이 잘 안된다. ③ 조파는 통풍과 투광이 나쁘다. ④ 점파는 종자량이 많이 들고 투광이 나쁘다. 5. 종자처리의 방법과 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종자는 저온습윤처리에 의하여 발아억제물질인 티오우레아(thiourea)가 감소된다. ② 종자의 수분포텐셜을 높이기 위하여 PEG용액을 처리한다. ③ 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해서 시안화수소(HCN)를 사용한다. ④ 종자가 작거나 불균일할 경우 기계파종을 위해 종자 표면에 고체물질을 피복한다. 6. 저온 버널리제이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최아종자의 저온처리는 암조건이 필수적이다. ② 호흡을 저해하는 조건에서는 버널리제이션이 저해된다. ③ 추파맥류는 종자춘화형 식물이고 양배추는 녹체춘화형 식물이다. ④ 밀은 저온처리 실시 후 고온처리(35°C)를 하면 이춘화가 일어나고, 7. 체세포분열과 감수분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체세포분열의 세포주기는 G1기→S기→G2기→M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② 체세포분열은 마모된 세포를 새것으로 교체하여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③ 제2감수분열에서는 생식모세포(2n)의 상동염색체가 분리되어 반수체 딸세포(n)가 형성된다. ④ 제1감수분열과 제2감수분열 사이의 짧은 간기에는 DNA 합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8. 작물과 무기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칼슘은 알루미늄의 과잉흡수를 조장한다. ㄴ. 황이 부족하면 단백질의 생성이 줄어든다. ㄷ. 붕소가 결핍되면 채종재배에서 수정과 결실이 나빠진다. ㄹ. 염소의 시용은 전분작물에는 유효하고, 섬유작물에는 불리 하다.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ㄷ, ㄹ 9. 일장효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을보리와 시금치는 유도일장의 주체가 단일 쪽에 있고, 한계 일장은 장일 쪽에 있다. ② 장단일식물 또는 단장일식물은 일정한 일장에만 계속 두면 개화하지 못한다. ③ 장일식물은 24시간 주기가 아니더라도 명기가 암기보다 상대적으로 길면 장일효과가 나타난다. ④ 도꼬마리는 연속암기가 10시간 이하이면 상대적으로 단일상태가 되어도 개화되지 못한다. 10. 교배육종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통육종은 F2부터 선발을 시작하고, 파생계통육종은 F2에서 질적 형질에 대해 개체선발을 한다. ② 1개체 1계통법은 F2부터 매 세대 모든 개체에서 1립씩 채종하여 집단재배하므로 F2에 나타나는 모든 유전자형을 유지할 수 있다. ③ 파생계통육종은 집단육종에 비해 포장면적을 줄일 수 있고, 육종 연한도 단축할 수 있다. ④ F1을 여교배하면(BC1F1) 자식한 F2에 비하여 분리하는 유전자형의 종류가 적으면서 동형접합체 비율은 높다. 저온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춘화가 잘 되지 않는다.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재배학개론책형2쪽 11. 동질배수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동질3배체는 불임이 아주 높고, 씨없는 과실을 생산하는 재배 식물에서 이용한다. ② 사탕무의 동질3배체는 2배체(♀)에 4배체(♂)의 화분을 인공 수분한 1대잡종이다. ③ 콜히친의 작용은 분열 중인 세포에서 방추체 형성과 동원체 분할을 촉진하는 것이다. ④ 한 쌍의 대립유전자 A, a에 대한 유전자형은 2배체에서 AA, Aa, aa 등 3가지이지만, 동질4배체에서는 AAAA, AAAa, AAaa, Aaaa, aaaa 등 5가지가 있다. 12. 광(光)과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포장동화능력은 총엽면적, 수광능률, 평균동화능력의 합으로 표시된다. ② 굴광현상에는 440~480nm의 청색광이 가장 유효하며, 덩굴손의 감는 운동은 굴광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③ 호흡을 무시한 절대적인 광합성을 외견상광합성, 호흡으로 소모된 유기물을 뺀 광합성을 진정광합성이라고 한다. ④ 광호흡은 높은 광도 외에도 높은 산소 수준과 낮은 이산화탄소 수준, 그리고 고온에서 촉진된다. 13. 작물과 온도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스프링플러시의 경향이 심할수록 하고현상도 심해진다. ㄴ. 작물의 월동기간 중 조직 내 결빙으로 인한 피해를 냉해라고 한다. ㄷ. 작물을 경화시키면 세포액의 삼투압이 높아져 내동성이 커진다. ㄹ. 작물의 내동성은 영양생장 단계보다 생식생장 단계에서 더 강하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ㄹ ④ ㄷ, ㄹ 14. 토양반응과 작물생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강산성은 점토와 부식을 분산시켜 토양입단의 생성을 저해한다. ② 사탕무, 수수, 양배추는 알칼리성 토양에 적응성이 높은 편이다. ③ 알팔파, 자운영, 시금치는 산성 토양에 강한 편이다. ④ 산성 토양의 경우 식토는 사토와 pH가 같더라도 중화하는 데 더 많은 석회가 필요하다. 15. 변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유전변이가 생기는 것은 체세포분열 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재조합이 주된 원인이다. ② 우량한 변이체를 고를 때 형질 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면 목표 형질을 선발하기 쉽다. ③ 인위돌연변이는 여러 대립유전자들이 재조합되는 것으로 여러 유용한 형질을 동시에 개량하는 특징이 있다. ④ 불연속변이를 하는 형질을 양적형질, 연속변이를 하는 형질을 16. 작물의 재배와 시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과인산석회는 화학적 중성 비료이다. ② 요소는 생리적 중성 비료이다. ③ 종자를 수확하는 작물에서 인산과 칼리는 개화ㆍ결실에 효과가 크다. ④ 홉(hop)은 꽃망울이 생길 무렵에 질소의 효과가 잘 나타나도록 하면 개화와 발육이 좋다. 17. 작물재배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화곡류의 경우 유수형성기에 중경을 하면 생육 초기보다 피해가 적다. ② 밭벼는 유효분얼종지기에 배토를 하면 무효분얼의 발생이 억제 된다. ③ 보리재배에서는 수잉기에 토입을 하면 도복이 경감되는데, 건조할 때는 뿌리가 마르게 되어 주의해야 한다. ④ 보리의 경우 월동 전에 답압을 하면 생장점의 C/N율이 저하되어 생식생장이 억제되고 월동이 좋아진다. 18. 작물의 광(光)스트레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엽록소가 일단 형성된 후에는 온도가 높으면 낮을 때보다 엽록소가 더 안정된다. ② 볍씨를 발아시킨 후 약광에서 녹화시키지 않고, 바로 직사광선에 노출시키면 엽록소가 파괴되어 백화묘가 된다. ③ 벼를 육묘할 때 약광에서 서서히 녹화시키면 카로티노이드가 엽록소를 보호하여 피해를 받지 않는다. ④ 강광에 적응한 식물은 카로티노이드가 산화하면서 산화된 엽록소를 본래의 안정된 엽록소로 환원시킨다. 19. 작물의 재배 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입단이 발달한 토양은 수분과 양분의 보유력이 좋다. ② 광포화점에서는 이산화탄소 농도와 온도가 광합성의 제한요인이 된다. ③ 광이 약할 때에는 이산화탄소보상점이 높아지고, 이산화탄소 포화점은 낮아진다. ④ 수분으로 포화된 토양에서 중력수를 배제하고 남은 수분상태를 최대용수량이라고 한다. 20. 돌연변이육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위돌연변이는 대부분 우성이므로 우성돌연변이를 얻기 쉽다. ② 타식성 작물은 이형접합체가 많으므로 돌연변이체를 선발하기 어렵다. ③ 인위돌연변이체는 변이유전자가 원품종의 유전 배경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수량이 적어지기 쉽다. ④ 이형접합성이 높은 영양번식작물에 돌연변이 유발원을 처리하면 체세포 돌연변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질적형질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