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9급 직업상담ㆍ심리학개론-나정답(2025-04-05 / 88.3KB / 54회)
국가 9급 직업상담ㆍ심리학개론-나정답(2025-04-05 / 35.0KB / 19회)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직업상담ᆞ심리학개론책형1쪽 직업상담ᆞ심리학개론 ᆞᆞᆞ 1.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해 주는 활동이다. ② 내담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노력하는 활동이다. ③ 내담자의 문제 예방, 발달, 성장을 돕는 활동이다. ④ 내담자의 자각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조력하는 활동이다. 2. 진로상담의 목표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신에 대한 정확한 이해 증진 ②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③ 심리적 장애에 대한 이해 증진 ④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증진 3. 행동 치료에서 다음 설명에 공통으로 해당하는 것은? ○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이 이루어진다. ○ 공포증 치료에서 자주 사용된다. ○ 알코올 중독자가 인간관계 기술을 배울 때에도 사용된다. ① 모델링 ② 조작적 조건형성 ③ 체계적 둔감법 ④ 토큰 경제 4. 구성주의 진로이론의 진로양식면접(Career Style Interview)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의 진로적응도, 직업적 성격 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② 내담자가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을 알아차리도록 돕는다. ③ 내담자의 경험에서 생애 주제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촉진 한다. ④ 내담자의 진로가계도를 만들어 진로선택의 방향을 결정하도록 돕는다. 5. 크럼볼츠(Krumboltz)의 진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업결정에 영향을 주는 개인 요인과 환경 요인을 강조한다. ② 진로신념검사(Career Beliefs Inventory)와 관련이 있다. ③ 진로선택에서 과제접근기술을 강조한다. ④ 진로선택의 제한과 결정에서의 타협을 강조한다. 6. 상담에서 비밀보장의 한계나 예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 자신이나 타인의 생명 혹은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경우 ② 내담자의 부모나 법정대리인이 상담 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③ 내담자가 전염성이 있는 치명적 질병이 있으나 필요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7. 렌트(Lent), 브라운(Brown), 해켓(Hacket) 등의 사회인지진로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인적 요인과 직업적 특성 간의 조화를 강조한 이론들의 한계를 보완한 이론이다. ② 상담자가 내담자의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목표, 진로장벽을 확인하도록 돕는다. ③ 개인적 특성(성, 인종 등)과 환경적 배경이 진로발달 및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④ 우연을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정하고 이를 기회로 만들도록 가르친다. 8. 직업상담의 종결 시점에서 상담자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는지 점검한다. ② 내담자와 라포(rapport)가 형성되었는지 확인한다. ③ 종결의 시기를 내담자에게 미리 이야기한다. ④ 종결에 대한 내담자의 생각과 감정을 확인한다. 9. 직업상담에서 직업카드분류법을 활용하는 목적만을 모두 고르면? ㄱ. 진로와 관련된 내담자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ㄴ.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다. ㄷ. 다양한 직업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ㄱ, ㄴ, ㄷ 10. 생애진로사정(Life Career Assessment: LCA)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의 경험을 이야기하게 도와주는 비구조화된 면접법이다. ② 아들러(Adler)의 개인심리학에 기반한다. ③ 진로사정, 전형적인 하루, 강점 및 장애, 요약으로 이루어진다. ④ 내담자의 기초적인 직업상담 정보를 얻는 질적 평가절차이다. 11. 경력개발을 위한 상담에서 직업상담사가 도움을 줄 수 있는 영역만을 모두 고르면? ㄱ. 경력목표의 설정 ㄴ. 개인의 역량 개발 ㄷ. 원가족 정서 관리하기 ㄹ.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 키우기 ㅁ. 성 유형 획득하기 ① ㄱ, ㄴ, ㄹ ② ㄱ, ㄴ, ㅁ ③ ㄴ, ㄷ, ㄹ ④ ㄷ, ㄹ, ㅁ ④ 내담자가 아동학대를 당하는 경우 2025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직업상담ᆞ심리학개론책형2쪽 12. 수퍼(Super)의 진로발달 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잠정적인 진로를 결정하고 상상, 경험 등을 통해 시행해 보는 단계 (나) 주변인과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는 단계 (다) 자신에게 적합한 분야를 발견하고 역할을 공고히 하는 단계 (라) 직무수행능력이 줄어들고 다른 활동을 탐색하는 단계 ① (가)→(나)→(다)→(라) ② (가)→(다)→(라)→(나) ③ (나)→(가)→(다)→(라) ④ (나)→(다)→(라)→(가) 13. 직업상담의 초기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기대를 확인하고 상담 구조화를 진행한다. ② 내담자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정보 수집 과정이 주로 이루어진다. ③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목표를 설정한다. ④ 내담자의 변화에 대한 저항과 불안을 다룬다. 14. 갓프레드슨(Gottfredson)의 직업발달 단계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성 역할 지향(sex role orientation) (나) 크기와 힘 지향(size and power orientation) (다) 사회적 가치 지향(social valuation orientation) (라) 내적 자아 지향(internal, unique self orientation) ① (가)→(나)→(다)→(라) ② (가)→(다)→(나)→(라) ③ (나)→(가)→(다)→(라) ④ (나)→(가)→(라)→(다) 15. 행동주의 상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관찰이나 측정 가능한 행동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ㄴ. 과거 경험과 그때 당시의 감정들을 털어놓도록 격려한다. ㄷ. 명료하고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상담계획을 세운다. ㄹ. 상담 과정에서 특정한 기법보다 상담자의 태도를 중시한다. ① ㄱ, ㄴ ③ ㄴ, ㄹ ② ㄱ, ㄷ ④ ㄷ, ㄹ 16. 에릭슨(Eric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에서 (가)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는? ○ 다음 세대를 지도하고 가족과 지역사회, 직장,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통해 자신을 영속화하는 데 관심을 가진 사람은 (가)을 경험하게 된다. ○ 예술적ㆍ창의적 작품 활동을 통해 (가) 만족시킬 수 있다. 에 대한 욕구를 ○ 지역사회에 대한 자원봉사나 정치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가)의 표현이다. ① 생산성(generativity) ③ 주도성(initiative) ② 통합성(integrity) ④ 자율성(autonomy) 17. 진로의사결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겔라트(Gelatt)는 직업선택과 발달과정을 의사결정의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순환과정으로 설명한다. ② 카츠(Katz)는 개인이 가치를 점검하여 가치실현을 극대화하는 직업을 구별해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③ 하렌(Harren)은 진로의사결정의 과정을 인식, 계획, 확신, 이행의 네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④ 타이드만과 오하라(Tiedeman&O’Hara)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발달과업이 단계별로 있다고 설명한다. 18. 직업심리검사 개발과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구인설정(측정 대상의 개념화) (나) 검사의 규준 개발 (다)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라) 문항표본 개발 (마) 사전(예비) 검사 실시 ① (가)→(라)→(마)→(다)→(나) ② (가)→(마)→(다)→(나)→(라) ③ (라)→(가)→(마)→(다)→(나) ④ (라)→(마)→(다)→(나)→(가) 19. 집단상담과정 중 다음에 해당하는 단계는? ○ 내담자는 집단의 모임에 빠지지 않으려 하고 집단에 와서 문제해결을 매듭짓기 위해 스스로의 결정을 보류하기도 한다. ○ 상담자는 구성원들이 대인관계를 분석하고 문제를 다루는 데 자신감을 얻도록 도와준다. ○ 내담자들이 서로 경쟁적으로 도우려 하거나 ‘명석한 통찰과 처방’만을 제공하는 분위기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① 참여 단계 ② 과도적 단계 ③ 작업 단계 ④ 종결 단계 20. 해결중심치료(Solution Focused Therapy)에서 상담자의 질문기법과 효과를 옳게 설명한 것은? ① 상담 전 변화(pre-session change) 질문: 내담자에게 상담 전의 변화를 찾게 하여 문제가 이미 해결되었다고 생각하게 한다. ② 예외(exception) 질문: 내담자가 의식하지 못했던 행동을 묻고 해결책을 찾도록 한다. ③ 대처(coping) 질문: 내담자가 원하는 일을 상상하게 하여 내담자의 능력을 인정하고 강화한다. ④ 척도(scaling) 질문: 내담자 문제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성과를 성공과 실패로 구분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