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출
공기출
012345678
연도별 :
과목별 :

 

행정학(경감)정답(2025-02-06 / 475.9KB / 1,703회)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해설 이형재(2025-02-25 / 338.3KB / 788회)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해설 이승철(2025-03-25 / 10.49MB / 432회)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1/7 행 정 학 4. 5. 다음 중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에 관한 설명 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과학적 관리론은 과학적 분석을 통해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특성에 맞는 자기만의 최선 의 방식을 발견하도록 돕는다. ② 과학적 관리론이 바라보는 인간은 맥그리거 (D.McGregor)의 Y이론이 제시하는 인간형과 일맥상통한다. ③ 호손실험은 과학적 관리방법의 실증적 근거가 되었다. ④ 인간관계론은 조직의 성과제고를 궁극적인 목 표로 하며 조직내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강조 한다. 다음 중 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행정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보기 > · 1960년대 미국 사회의 사회혼란을 해결하지 못하는 학문적 무력감에 대한 반성으로 나타 났다. · 1968년 미국 미노브룩회의에서 왈도의 주도 하에 새로운 행정학의 방향모색으로 나타났다. · 적실성, 참여, 변화, 가치, 사회적 형평성 등에 기초한 행정학의 독자적 주체성을 강조했다. ① 고객중심의 행정, 시민의 참여, 가치문제 등을 중시했다. ② 행정학의 실천적 성격과 적실성을 회복하기 위 한 정책지향적 행정학을 요구하였다. ③ 행정의 능률성을 강조했으며, 논리실증주의 및 행태주의 주장을 지지하였다. ④ 소외계층을 위한 복지서비스를 확대해 사회적 형평을 실현해야 한다는 행정의 적극적 역할 을 강조하였다. 1. 2. 3. 다음 중 정부규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네거티브리스트는 규제로 인하여 제한되는 권 리나 부과되는 의무는 한정적으로 열거하고, 그 밖의 사항은 원칙적으로 허용하는 방식이다. ② 규제의 역설 이론에 따르면 새로운 위험만 규제 하다보면 사회 전체의 위험수준은 증가한다. ③ 규제일몰제는 규제를 신설하거나 강화하려는 경우에 존속시켜야할 명백한 사유가 없는 규 제는 존속기한 또는 재검토기한을 설정하는 것이다. ④ 규제샌드박스 중 임시허가는 신기술 서비스·제 품에 대한 허가 근거 법령이 모호하거나 금지 하고 있을 때 법령을 개정하지 않고도 해당 규 제를 면제·유예시키는 것이다. 다음 중 시장실패 및 정부실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비자와 공급자 사이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비 대칭성은 시장실패를 초래한다. ②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을 지닌 공공재의 존재는 정부실패를 초래한다. ③ 정부활동을 위한 비용은 조세를 통해 확보되기에 비용과 수입이 분리되어 정부실패를 초래한다. ④ 시장실패를 교정하기 위한 정부 역할은 공적 공급, 공적 유도, 정부규제 등이다. 다음 중 정책수단의 한 형태인 바우처(voucher)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공서비스의 민영화를 위한 방식의 하나로 사 용되고 있다. ②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결탁 또는 바우처 전매 등으로 정책 효과가 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③ 살라몬의 행정수단 유형 분류에 있어서 민간위 탁과 같이 직접성이 매우 높은 행정수단이다. ④ 저소득층에게 식품, 교육 등의 복지제공을 위 해 종종 사용된다.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2/7 6. 7. 8. 다음 중 신제도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사회학적 신제도주의는 경제적 효율성이 아니라 사회적 정당성 때문에 새로운 제도적 관행이 채택된다고 주장한다. ② 역사적 신제도주의는 경로의존적인 사회적 인과 관계를 강조하므로 특정 제도가 급격한 변화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부정한다. ③ 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의 공통점은 제도의 개념을 동태적인 것으로 파악하면서, 국가 간 차이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는 것이다. ④ 합리적 선택 신제도주의는 사례 중심의 귀납적 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다음 중 탈신공공관리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성과보다는 공공책임성을 중시하는 인사관리를 강조한다. ② 구조적 통합을 통한 분절화를 축소하고, 조정을 증대한다. ③ 탈관료제 모형에 기반하여 경쟁과 분권화를 적 극적으로 추진한다. ④ 부분보다는 전체의 시각에서 정부 조직을 개혁 하자는 ‘한 정부(whole of government)’를 강조 한다. 다음 중 정책유형의 분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로위(Lowi)는 정책을 강제력의 행사방법과 강 제력의 적용대상에 따라 분배정책, 구성정책, 규제정책, 재분배정책으로 구분하였다. ② 분배정책은 참여자들 간의 정면대결보다는 갈 라먹기(log-rolling)에 의해 이뤄지며, 이해관 계보다는 이데올로기가 작용한다. ③ 구성정책은 헌정수행에 필요한 운영규칙과 관 련된 정책으로 선거구의 조정, 정부의 새로운 조직이나 기구의 설립, 공직자의 보수 등에 관 한 정책 등이 이에 해당한다. ④ 규제정책은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유형의 정책으로 강제력이 특 징이다. 9. 10. 11. 다음 중 정책문제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책주체와 객체의 행태는 주관적이지만 정책 문제는 객관적이다. ② 정책문제는 당위론적 가치관의 입장에서 정의 하는 것이 중요하다. ③ 특정 문제의 발생 원인이나 해결방안 등은 다 른 문제들과 상호 연관성을 갖는다. ④ 정책수혜집단과 정책비용집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차별적 이해성을 갖는다. 다음 중 무의사결정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무의사결정의 행태는 정책과정 중 정책문제 채 택 단계 이외에서도 발생한다. ② 엘리트들에게 안전한 이슈만이 논의되고 불리 한 이슈는 거론조차 못하게 봉쇄된다고 한다. ③ 위협과 같은 폭력적인 방법을 통해 특정한 이 슈의 등장이 방해받기도 한다고 주장한다. ④ 조직의 주의집중력과 가용자원은 한계가 있어 일부 사회문제만이 정책의제로 선택된다고 주 장한다. 다음 중 이슈네트워크(issue network)와 정책공동체 (policy community)를 비교한 것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참여자 수와 관련하여 정책공동체는 극히 제한 적이며 의식적으로 일부 집단의 참여를 배제하 기도 하나, 이슈네트워크는 개방적이며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한다. ② 합의와 관련하여 정책공동체는 어느정도 합의는 있으나 항상 갈등이 있고, 이슈네트워크는 모든 참여자가 기본적인 가치관을 공유하며 성과의 정통성을 수용한다. ③ 이익의 종류와 관련하여 정책공동체는 경제적 또는 전문직업적 이익이 지배적이나, 이슈네트 워크는 관련된 모든 이익이 망라된다. ④ 네트워크 내 자원배분과 관련하여 정책공동체 는 근본적인 관계가 교환관계이고 모든 참여 자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슈네트워크는 근본적인 관계가 제한적 합의이고 어떤 참여 자는 자원보유가 한정적이다.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3/7 12. 13. 다음 중 「정부업무평가기본법」상 정부업무평가제 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국무총리는 중앙행정기관의 자체평가결과를 확 인·점검한 후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의 문제 가 있어 다시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 우,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재평가를 실시 할 수 있다. ②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자체평가조직 및 자체평 가위원회를 구성·운영하여야 하며, 이 경우 평 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 체평가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민간위원으로 하여야 한다. ③ 국무총리는 둘 이상의 중앙행정기관 관련 시 책, 주요 현안시책, 혁신관리 및 대통령령이 정하는 대상부문에 대하여 특정평가를 실시하 고, 그 결과를 공개하여야 한다. ④ 국무총리는 지방자치단체 또는 그 장이 위임받아 처리하는 국가사무, 국고보조사업 그 밖에 대 통령령이 정하는 국가의 주요시책 등에 대해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다음 중 팀제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보기 > ㉠ 결정과 기획의 핵심 기능만 남기고 사업집행 기능은 전문업체에 위탁한다. ㉡ 역동적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적응하고 신속 한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 기술구조 부문이 중심이 되고 작업 과정의 표준화가 주요 조정수단이다. ㉣ 관료제의 병리를 타파하고 업무수행에 새로 운 의식과 행태의 변화 필요성으로 등장하 였다. ① ㉠,㉡ ② ㉠,㉢ ③ ㉡,㉣ ④ ㉢,㉣ 14. 15. 16. 다음 중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기관장에게 기관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기관 운영성과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한다. ② 책임운영기관은 공공성이 강하고 성과관리가 어려운 분야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③ 일반행정기관과 비교할 때 예산과 인사관리의 재량권이 있다. ④ 공공성이 크기 때문에 민영화하기 어려운 업무 를 정부가 직접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다음 중 엽관제와 직업공무원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보기 > ㉠ 엽관제의 확립은 행정의 전문화에 도움이 된다. ㉡ 엽관제는 집권정치인들이 공무원을 통솔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엽관제의 발전은 정당정치의 발달과 관련이 깊다. ㉣ 직업공무원제의 신분보장은 젊은 사람이 공 직을 본업으로 삼아 일생동안 열심히 일하 게 하려는 적극적 의미를 지닌다. ㉤ 직업공무원제는 채용시 장기적인 발전 가능 성을 중시한다. ㉥ 직업공무원제는 직위분류제와 폐쇄형 임용체 계를 중요시 한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다음 중 대표관료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엄정한 능력에 따른 채용을 통해 관료를 선발 한다. ② 관료들이 출신집단의 이익과 무관하게 전체적 이익에 봉사할 것이라는 가정에 기반하고 있다. ③ 대표관료제의 한계로 국민주권의 원리 위반, 역할론적 대표성 확보의 어려움, 내부통제 약 화 등을 들 수 있다. ④ 관료제의 인적 구성측면을 강조하며 관료제의 대표성과 대응성을 강화하기 위한 제도이다.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4/7 17. 18. 19. 20. 다음 중 재정준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채무준칙은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채무 규모에 상한선을 설정한다. ② 재정수입준칙은 조세지출을 우회적으로 활용함 으로써 재정건전성이 훼손될 가능성이 있다. ③ 재정지출준칙은 경제성장률이나 재정적자 규모 의 예측에 의존하지 않는다. ④ 재정수지준칙은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설정되므 로 경제 안정화를 오히려 저해할 수 있다. 다음 중 우리나라의 통합재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세입과 세출은 경상거래와 자본거래로 구분하 여 작성한다. ② 통합재정의 범위에는 일반정부와 공기업 등 공 공부문 전체가 포함된다. ③ 정부의 재정이 국민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파 악하고자 하는 예산의 분류체계이다. ④ 통합재정 산출 시 내부거래와 보전거래를 제외 함으로써 세입·세출을 순계 개념으로 파악한다. 다음 중 조세지출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세제 지원을 통해 제공한 혜택을 예산지출로 인정하는 것이다. ② 예산지출이 직접적 예산 집행이라면 조세지출은 세제상의 혜택을 통한 간접지출의 성격을 띤다. ③ 직접 보조금과 대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숨겨진 보조금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④ 조세지출은 예산과 달리 국회의 동의가 필요 없으므로 유연하게 설정 가능하다. 다음 중 바스(Bass) 등이 제시한 ‘변혁적 리더십 (transformational leadership)’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리더는 구성원 개개인의 니즈에 관심을 가지며 잠재력 개발을 돕는다. ② 조직참여의 기대가 적은 경우 적합하며 예외관 리에 초점을 둔다. ③ 리더는 혁신적이고 창조적인 관점에서 해결책을 구하도록 구성원을 자극하고 변화를 유도한다. ④ 리더는 조직이 나아갈 비전을 제시하고 구성원 들과의 소통을 통하여 이를 공유하고자 한다. 21. 22. 23. 다음 중 롬젝(Romzeck)과 두브닉(Dubnick)의 행 정책임성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관료적 책임 – 조직 내 상명하복의 원칙에 따라 통제된다. ② 법적 책임 – 표준운영절차나 내부 규칙(규정)에 따라 통제된다. ③ 전문가적 책임 – 전문직업적 규범과 전문가집 단의 관행을 중시한다. ④ 정치적 책임 – 민간 고객, 이익집단 등 외부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는가를 중시한다. 다음 중 사바스(Savas)가 구분한 네 가지 공공서 비스 유형과 내용의 연결이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요금재(toll goods): X-비효율성으로 인해 발 생할 수 있는 문제 때문에 정부가 공급한다. ② 집합재(collective goods): ‘무임승차’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③ 시장재(private goods): 경합성과 배제성을 동 시에 갖는 서비스이다. ④ 공유재(common pool goods): 과잉소비의 문 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중 정책집행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정책집행연구의 하향론자들은 복잡한 조직구조가 정책의 성공적 집행을 도와준다고 주장한다. ②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이 구체적일수록 정책집행 이 성공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주장이 있다. ③ 불특정다수인이 혜택을 보는 경우보다 특정한 집단이 배타적으로 혜택을 보는 경우에 강력한 지지를 얻을 수도 있다. ④ 배분정책은 규제정책이나 재분배정책에 비하여 표준운영절차(SOP)에 따라 원만한 집행이 이 루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5/7 24. 25. 26. 다음 중 공익(public interest) 개념의 실체설과 과 정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실체설은 집단 간 상호작용의 산물이 공익이라고 본다. ② 과정설의 대표적인 학자에는 플라톤(Plato)과 루소(Rousseau)가 있다. ③ 실체설은 사익과 차별화되는 공익의 존재를 인 정하고 공익이 행정의 구체적인 지침이 될 수 있다고 본다. ④ 과정설은 공익과 사익이 명확히 구분된다는 입 장이다. 다음 중 애드호크라시(adhocracy)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과업의 표준화나 공식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구성원 간 업무상 갈등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② 구조적으로 수평적 분화는 높은 반면 수직적 분화는 낮고, 공식화 및 집권화의 수준이 낮다. ③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전통적 관료제 조직모형을 전면 대체할 정도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④ 대표적인 예로는 네트워크, 매트릭스 조직 등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정책평가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니터링은 과정평가에 속하지만 집행의 능률 성과 효과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가이다. ② 형성평가는 정책집행 도중에 과정의 적절성과 수단·목표 간 인과성 등을 평가하는 것이다. ③ 형성평가는 집행이 종료된 후 정책이 의도했던 목적을 달성했는지 초점을 맞춘다. ④ 형성평가는 주로 내부 평가자 및 외부 평가자 의 자문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며, 정책집행 단 계에선 정책 담당자들을 돕기 위한 것이다. 27. 28. 29. 다음 중 공직윤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익신고자의 동의 없이 공익신고자의 인적사항 등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거나 공개할 경우, 징역 또는 벌금 등 법적제재 대상이 된다. ② 지방공무원이 외국 정부로부터 영예 또는 증여를 받을 경우에는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③ 총경 이상의 경찰공무원과 경기도의 교육장은 「공직자윤리법」상 재산등록 의무가 있다. ④ 「공직자윤리법」상 재산 등록의무자 모두가 등록재산 공개대상은 아니다. 다음 중 우리나라 예산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정부는 회계연도마다 예산안을 편성하여 회계 연도 개시 60일 전까지 국회에 제출해야 한다. ② 과거 중앙예산기관과 결산관리기관을 분리하기 도 했다. ③ 예산집행의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로서 이용, 총괄예산, 계속비, 배정과 재배정 제도가 있다. ④ 예산 불성립 시 조치로서 가예산 제도를 채택 하고 있다. 다음 중 행정개혁에 대한 저항을 극복하는 전략 및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보기 > ㉠ 경제적 손실보상, 임용상 불이익 방지는 규 범적·사회적 전략이다. ㉡ 개혁지도자의 신망 개선, 의사전달과 참여의 원활화, 사명감 고취는 공리적·기술적 전략 이다. ㉢ 교육훈련과 자기계발 기회 제공은 규범적·사 회적 전략이다. ㉣ 개혁시기의 조정은 강제적 전략이다. ㉤ 저항을 가장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공 리적·기술적 전략이다. ㉥ 개혁지도자의 카리스마나 신망의 활용은 강 제적 전략이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6/7 30. 31. 32. 다음 중 브룸(Vroom)의 기대이론에 따를 경우 조직 구성원의 직무수행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① 내가 노력하면 높은 등급의 실적평가를 받을 수 있다는 기대치(expectancy)가 충족되어야 한다. ② 내가 높은 등급의 실적평가를 받으면 많은 보 상을 받을 수 있다는 수단치(instrumentality) 가 충족되어야 한다. ③ 내가 받을 보상은 나에게 가치 있는 것이라는 유인가(valence)가 충족되어야 한다. ④ 내가 투입한 노력과 그로 인하여 받은 보상의 비율이,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공평해야 한다 는 균형성(balance)이 충족되어야 한다. 다음 중 「국가재정법」상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는 정부예산의 원칙 중 하나이다. ②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서에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기대효과, 성과목표, 효과분석 등을 포함 해야 한다. ③ 정부의 기금은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④ 정부는 예산이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방향으로 집행되었는지를 평가하는 보고서를 작성하여 야 한다. 다음 중 신공공서비스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보기 > ㉠ 공무원이 반응해야 하는 대상을 고객과 유권자 집단으로 본다. ㉡ 책임성 확보방법으로 개인이익의 총합을 통해 시민 또는 고객집단에게 바람직한 결과를 창출하는 방법을 추구한다. ㉢ 행정재량의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제약과 책 임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본다. ㉣ 공익의 개념은 공유가치에 대한 담론의 결과 이다. ㉤ 공무원의 동기를 유발하는 수단은 정부규모를 축소하려는 이데올로기적 욕구와 사회봉사 이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33. 34. 35. 다음 중 정책의제설정의 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① 공고화형은 대중의 지지가 낮은 정책 문제에 대한 정부의 주도적 해결을 설명한다. ② 동원형 의제설정은 정부 외부의 다양한 행위자 들에 의해 특정사회 문제가 정부개입을 통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③ 내부접근형 의제설정은 일당제 국가에서 최고 통치자나 고위정책결정자가 주도적으로 정책 의제를 형성하는 것이다. ④ 동원형의 경우 정부의제를 다양한 활동을 통해 공중의제화하지만, 내부접근형에서는 정부가 공중 의제화하는 것을 꺼린다. 다음 중 근무성적평정 오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국내최고 대학을 졸업했기 때문에 일을 잘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피평정자에게 높은 근무성 적평정 등급을 부여하는 것은 상동적 오차이다. ② 초두효과(primary effect)는 근무성적평정기간 에 가장 근접한 기간의 업무수행 실적일수록 평정에 더 크게 반영하는 오류를 말한다. ③ 평정자가 피평정자를 잘 모르는 경우 집중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④ 총계적 오류는 평정기준이 일정하지 않아 발생 하는 불규칙적 오류이다. 다음 중 공공지출관리의 재정건전성을 위한 세가지 규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총량적 재정규율이란 예산총액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거시적 예산결정을 토대로 자원배분을 이루려는 개념이다. ② 배분적 효율성은 각 재정부문 간 재원배분을 통한 재정지출의 총체적 효율성을 도모하는 개념으로, 예산지출의 편익이 큰 분야에 예산 액을 집중할 때 배분적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다. ③ 운영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투입에 대한 산출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 ④ 배분적 효율성이 부문 내의 배분을 중시하는 효율성이라면, 운영상 효율성은 부문 간의 효 율성을 말한다. 2025년도 경찰공무원 승진시험 문제지 경 감 행 정 학 CODE 03 7/7 36. 37. 38. 다음 중 공무원 임용시험의 효용성을 측정 하는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보기 > ㉠ 구성타당성이란 결과 측정을 위한 도구가 반 복적인 측정에서 얼마나 일관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타당성이다. ㉡ 수렴적 타당성은 다른 개념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을 때, 그 측정값 사이의 상관성 정도를 의미한다. ㉢ 재시험법, 반분법은 시험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이 중 재시험법은 시험의 종적 일관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 동시적 타당성검증과 예측적 타당성검증은 구성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수단이다. ㉤ 내용타당성이란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관한 요소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가에 대한 타당성이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다음 중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할인율이 높을 때는 장기투자 사업보다 단기간에 실현되는 단기투자 사업이 유리하다. ② NPV가 0보다 크고 B/C가 1보다 큰 경우 일단 경제성이 있다고 본다. ③ 내부수익률은 할인율을 알지 못해도 사업평가가 가능하도록 하는 분석기법이다. ④ 화폐적 비용이나 편익으로 쉽게 측정할 수 없는 무형적인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다음 중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품목별예산제도는 정부가 수행하는 사업과 그 효과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② 영기준예산제도는 점증주의적 예산편성의 폐단을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③ 성과주의예산제도는 사업성과가 좋은지 나쁜지의 결과에 초점을 두며 예산을 들여 사업과 활동별 로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기 어렵다. ④ 목표관리예산제도(MBO)의 정책결정 방식은 분권적·참여적이다. 39. 4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정책분석기법은? < 보기 > 관련사건이 일어났느냐 일어나지 않았느냐에 기 초하여 미래에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에 대해 서 식견 있는 판단(informed judgements)을 끌 어내는 방법이다. ① 브레인스토밍 ② 교차영향분석 ③ 델파이 기법 ④ 선형경향추정 다음 중 총액배분 자율편성 예산제도에 대한 설명 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① 전략기획과 분권 확대를 예산편성 방식에 도입 하기 위해 실시하고 있다. ② 각 중앙부처는 소관 정책과 우선순위에 입각해 연도별 재정규모, 분야별·부문별 지출한도를 제시한다. ③ 사전에 결정된 예산의 지출한도 내에서 각 부 처가 자율적으로 예산을 편성해 운영한다. ④ 지출한도가 사전에 제시되기 때문에 부처의 재 정사업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강화할 수 있다.


해설등록

해설수정
3
수정내역

영상추가

유튜브

신고

스크랩
구분파일명작성자업로드시간수정전
수정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해설 이승철.pdf Lee선생 2025-03-25 12:04
등록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해설 이승철.pdf Lee선생 2025-03-07 15:24
등록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해설 이형재.pdf 이형재행정학 2025-02-25 17:27
2025 해경 승진시험 해양법 문제 정답 (2025-02-06)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법 문제 해설 +5 (2025-02-06)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문제 해설 +2 (2025-02-06) 2025 해경 승진시험 형법 문제 정답 (2025-02-06) 2025 해경 승진시험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2025-02-06)
댓글수 2
  • 군도
    군도 (*.29.228.214) 1달 전
  • 븡슨
    븡슨 (*.43.111.102) 1달 전
?
정렬  > 
  1. 2025 경찰 1차 형사법 문제 해설

    경찰 1차 기출이 2025.03.15 조회수 6715
  2. 2025 국가직 5급 전과목 문제 정답 - 2025.3.7.

    국가직 5급 기출이 2025.03.10 조회수 1878
  3. 2025 국가직 5급 상황판단 문제 정답

    국가직 5급 기출이 2025.03.10 조회수 1239
  4. 2025 국가직 5급 언어논리 문제 정답

    국가직 5급 기출이 2025.03.10 조회수 1771
  5. 2025 국가직 5급 자료해석 문제 정답

    국가직 5급 기출이 2025.03.10 조회수 986
  6. 2025 국가직 5급 헌법 문제 정답 +3

    국가직 5급 기출이 2025.03.10 조회수 2390
  7. 2025 변리사 전과목 문제 - 2025.2.15.

    변리사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1111
  8. 2025 변리사 민법개론 문제

    변리사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1068
  9. 2025 변리사 산업재산권법 문제

    변리사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472
  10. 2025 변리사 자연과학개론 문제

    변리사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730
  11. 2025 경찰 승진시험 경찰실무 문제 해설 +1

    경찰 승진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4415
  12. 2025 경찰 승진시험 경찰행정학 문제 해설 +6

    경찰 승진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5426
  13. 2025 경찰 승진시험 헌법 문제 정답 +1

    경찰 승진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5213
  14. 2025 경찰 승진시험 형법 문제 정답

    경찰 승진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4973
  15. 2025 경찰 승진시험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2

    경찰 승진 기출이 2025.02.22 조회수 4665
  16. 2025 변호사시험 공법 문제 해설 +3

    변호사 기출이 2025.01.23 조회수 5998
  17. 2025 변호사시험 민사법 문제 정답

    변호사 기출이 2025.01.23 조회수 1311
  18. 2025 변호사시험 형사법 문제 정답 +3

    변호사 기출이 2025.01.23 조회수 5062
  19. 2025 해경 승진시험 국제법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961
  20. 2025 해경 승진시험 항공법규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308
  21. 2025 해경 승진시험 해경실무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720
  22. 2025 해경 승진시험 해사법규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527
  23. 2025 해경 승진시험 해양법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409
  24.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법 문제 해설 +5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3790
  25. 2025 해경 승진시험 행정학 문제 해설 +2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3174
  26. 2025 해경 승진시험 형법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3659
  27. 2025 해경 승진시험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해경 승진 기출이 2025.02.06 조회수 2940
  28. 2025 소방 간부후보 경제학 문제 정답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1065
  29. 2025 소방 간부후보 물리학개론 문제 정답 +1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808
  30. 2025 소방 간부후보 민법총칙 문제 정답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926
  31. 2025 소방 간부후보 소방학개론 문제 정답 +4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6668
  32. 2025 소방 간부후보 행정법 문제 해설 +12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10644
  33. 2025 소방 간부후보 행정학 문제 해설 +7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5025
  34. 2025 소방 간부후보 헌법 문제 정답 +5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3846
  35. 2025 소방 간부후보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1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2930
  36. 2025 소방 간부후보 화학개론 문제 정답

    소방 간부 기출이 2025.01.19 조회수 740
  37. 2025 해경 간부후보 기관학 문제 정답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701
  38. 2025 해경 간부후보 범죄학 문제 정답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1179
  39. 2025 해경 간부후보 항해학 문제 정답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564
  40. 2025 해경 간부후보 해사법규 문제 정답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1109
  41. 2025 해경 간부후보 행정법 문제 해설 +10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5544
  42. 2025 해경 간부후보 행정학 문제 해설 +1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4894
  43. 2025 해경 간부후보 헌법 문제 정답 +11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5033
  44. 2025 해경 간부후보 형법 문제 정답 +3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4426
  45. 2025 해경 간부후보 형사소송법 문제 정답 +8

    해경 간부 기출이 2024.11.08 조회수 3688
  46. 2025 국가직 9급 전과목 문제 정답 (예시 2차) - 2024.8.5.

    국가직 9급(예시 2차) 기출이 2024.08.08 조회수 23205
  47. 2025 국가직 9급 국어 문제 정답 (예시 2차) +26

    국가직 9급(예시 2차) 기출이 2024.08.08 조회수 37076
  48. 2025 국가직 9급 영어 문제 해설 (예시 2차) +28

    국가직 9급(예시 2차) 기출이 2024.08.08 조회수 36404
  49. 2025 경찰 간부후보 전과목 문제 정답 - 2024.8.3. +1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9620
  50. 2025 경찰 간부후보 경제학 문제 정답 +1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2046
  51. 2025 경찰 간부후보 경찰학 문제 해설 +3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11312
  52. 2025 경찰 간부후보 민법총칙 문제 해설 +12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2834
  53. 2025 경찰 간부후보 범죄학 문제 정답 +1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2560
  54. 2025 경찰 간부후보 상법총칙 문제 정답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464
  55. 2025 경찰 간부후보 세법개론 문제 정답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806
  56. 2025 경찰 간부후보 재정학 문제 정답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387
  57. 2025 경찰 간부후보 정보보호론 문제 정답 +6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1337
  58. 2025 경찰 간부후보 통계학 문제 정답

    경찰 간부 기출이 2024.08.03 조회수 470
Board Pagination 1 2 3
/ 3
원서접수 + 지방청 + 관련주소 +
글쓰기 출석체크 다크모드
뉴스
일정
공고
게시글
인기글
댓글
  최근 해설
최근 활동
전체 해설
출석형
작가형
댓글러
업로더
출간일순
네이버랭킹
2025 9급 계리직 공무원 우편일반 단원별 예상문제집 (2025년 01월 17일 우정사업본부 학습자료 반영 / 9급 계리직 공무원 시험대비)29,700원
출간일: 2025.04.20
2025 체크업 소방법령 3 : 위험물안전관리법+위험물시설기준+다중이용업소법 (최신 출제경향 완벽 반영)18,900원
출간일: 2025.04.20
2025 체크업 소방법령 2 : 소방기본법+화재예방법+소방시설법16,200원
출간일: 2025.04.20
더보기
2025 오정화 세법 지방세법 세트40,500원
출간일: 2025.04.15
2025 심우철 실전 동형 모의고사 Season 3(봉투) (봉투형 모의고사 8회분)12,960원
출간일: 2025.04.14
2025 최영희행정학 그물망 모의고사 2 (지방직 대비)20,700원
출간일: 2025.04.14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