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08 국가 9급 재난관리론-나정답(2023-04-08 / 111.4KB / 145회)
230408 국가 9급 재난관리론-나정답(2023-04-08 / 22.5KB / 31회)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재난관리론 나 책형 1쪽 재난관리론 1. 지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L파는 지표면을 따라 전파된다. ② S파는 종파이며 고체, 액체를 통과한다. ③ 지구 내부의 지진이 발생한 지점을 진원이라고 한다. ④ 지진파는 지진관측소에 P파, S파, L파 순으로 도착한다. 2. 화재의 연소분류 중 기체의 연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증발연소 ② 표면연소 ③ 자기연소 ④ 예혼합연소 3. 황사경보 기준으로 (가), (나)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황사로 인해 1시간의 평균 미세먼지(PM- (가) )농도가 (나) μg/m3 이상으로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가) (나) ① 2.5 400 ② 2.5 800 ③ 10 400 ④ 10 800 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상 사회재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행성ㆍ유성체 등 자연우주물체의 추락ㆍ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재해 ② 가축전염병예방법 에 따른 가축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한 피해 ③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에 따른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④ 환경오염사고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의 피해 5. 세계기상기구(WMO) 기준에서 열대폭풍(Tropical Storm)의 풍속은? ① 17 m/s 미만 ② 17 m/s ~ 24 m/s ③ 25 m/s ~ 32 m/s ④ 33 m/s 이상 6. 어느 지역에 50분간 25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을 때 강우강도 [mm/hr]는? ① 10 ② 20 ③ 30 ④ 40 7. 산사태 방지를 위한 안전율 증가법 중 저항력 증가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배수공 ② 말뚝공 ③ 앵커공 ④ 옹벽공 8. 재난관리의 단계에서 복구단계 활동에 해당하는 것은? ① 안전기준의 설정 ② 위험지도의 작성 ③ 재난관리를 위한 장기적 계획 마련 ④ 재난 피해자들에 대한 긴급 지원 물품 제공 9. 재난을 유사전쟁모형, 사회적 취약성 모형, 불확실성 모형으로 분류한 학자는? ① 존스(David K. C. Jones) ② 포스너(Richard A. Posner) ③ 길버트(Claude Gilbert) ④ 아네스(Br. J. Anesth) 10.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령상 재난관리표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난관리표준의 작성ㆍ변경ㆍ폐지 및 고시는 행정안전부장관의 권한이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이 하는 기업의 재해경감활동계획 등에 대한 조사ㆍ분석 및 평가는 현지조사를 원칙으로 한다. ③ 행정안전부장관은 기업의 재해경감활동계획 등에 대한 조사ㆍ 분석 및 평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때에는 이를 실시한다. ④ 행정안전부장관은 기업의 재해경감활동계획 등에 대한 조사ㆍ분석 및 평가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 재해경감활동계획 등을 수립하는 기업 및 관계 기관의 장에게 통계자료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11.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 상 재해경감 우수기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해경감 우수기업으로 인증받고자 하는 기업은 행정안전부장관에게 신청하여야 한다. ② 행정안전부장관은 재난관리책임기관에서 발주하는 물품조달의 적격심사 중 신인도 평가에서 재해경감 우수기업에 대한 가점 부여를 요청하여야 한다. ③ 기업의 재난 관련 보험운영기관은 재해경감 우수기업에 대한 재난 관련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보험료율을 차등 적용할 수 있다. ④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중소기업에 대한 자금을 지원함에 있어서 재해경감 우수기업을 우대하여야 한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재난관리론 나 책형 2쪽 12.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우수유출저감시설로서 자연형 저류시설은? ① 침투통 ② 투수성 포장 ③ 공사장 임시 저류지 ④ 습지 13.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상 지진방재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자는? ① 대통령 ② 국무총리 ③ 행정안전부장관 ④ 소방청장 14. 자연재해대책법 상 용어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침수흔적도”란 풍수해로 인한 침수 흔적, 침수 예상 및 재해정보 등을 표시한 도면을 말한다. ② “자연재해 안전도 진단”이란 자연재해 위험에 대하여 지역별로 안전도를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 ③ “지구단위 홍수방어기준”이란 상습침수지역이나 재해위험도가 높은 지역에 대하여 침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ㆍ도지사 및 시장ㆍ군수가 정한 기준을 말한다. ④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이란 자연재해의 예방 및 저감을 위하여 행정안전부장관이 지역안전도에 대한 진단 등을 거쳐 수립한 종합계획을 말한다. 15.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에 따라 구성ㆍ운영할 수 있는 기구는? ① 재해영향평가심의위원회 ② 재해경감대책협의회 ③ 지역민관협력위원회 ④ 지역자율방재단 16. 지진ㆍ화산재해대책법 시행령 상 지진가속도계측 대상 시설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높이 200미터 또는 50층 이상의 건축물 ㄴ. 공항시설법 제2조제7호에 따른 공항시설 ㄷ. 고등교육법 및 그 밖의 다른 법률에 따라 설립된 국립대학교 및 사립대학교 ㄹ. 전기사업법 제2조제4호에 따른 발전사업자의 시설 중 발전용 수력설비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17. 자연재해대책법 상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정비사업 시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 하더라도 정비 사업구역에 있는 토지ㆍ건축물 또는 물건에 관한 소유권 외의 권리를 수용ㆍ사용할 수 없다. ② 시장ㆍ군수ㆍ구청장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ㆍ고시된 지역에서 건축행위와 병행하여 그 행위로 발생할 수 있는 자연 재해에 관한 예방대책이 마련되어 추진되는 경우가 아닌 한, 재해 예방을 위하여 건축행위를 제한할 수 있다. ③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실시계획을 공고한 경우에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에 따른 사업인정 및 사업인정의 고시를 한 것으로 본다. ④ 행정안전부장관은 필요하면 시ㆍ도지사에게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계획의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18.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상 사업평가에 대한 내용 중 (가) ~ (다)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가) 은 법 제10조의3제1항에 따른 재난 및 안전관리 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 평가를 위하여 매년 (나) 까지 다음 연도 소관 사업의 성과목표 및 성과지표를 정하여 (다) 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가) (나) (다) ①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4월 30일 행정안전부장관 ②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9월 30일 행정안전부장관 ③ 행정안전부장관 4월 30일 기획재정부장관 ④ 행정안전부장관 9월 30일 기획재정부장관 19.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상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재난사태 선포 및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관한 사항은 중앙안전관리 위원회 심의사항이다. ② 국무총리 소속기관으로, 재난안전의무보험의 관리ㆍ운용 등에 관한 사항도 심의한다. ③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 간사 1명을 두며, 간사는 행정안전부장관이 된다. ④ 중앙안전관리위원회에 상정될 안건을 사전에 검토하기 위하여 안전정책실무조정위원회를 둔다. 20. 자연재해대책법령상 지하공간의 침수방지를 위하여 수방기준을 제정하여야 하는 대상 시설물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항만법 제2조제5호에 따른 방파제(防波堤) 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9호에 따른 공동구 ㄷ. 하천법 제2조제3호에 따른 하천시설 중 제방 ㄹ. 도로법 시행령 제2조제2호에 따른 교량 ①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