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408 국가 9급 조경계획 및 설계-나정답(2023-04-08 / 128.0KB / 113회)
230408 국가 9급 조경계획 및 설계-나정답(2023-04-08 / 18.0KB / 13회)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조경계획 및 설계 나 책형 1쪽 조경계획 및 설계 1. 틸(Thiel)이 제안한 ‘공간형태 표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속적 경험의 표시는 공간의 형태, 면, 인간의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기호(symbol)로 구성된다. ② 외부공간은 한정된 공간(spaces)과 닫힌 공간(volumes), 2가지 유형으로 정의된다. ③ 한정된 공간과 닫힌 공간은 각각 선적 공간(run)과 면적 공간 (area)으로 구분된다. ④ 도면에는 공간의 형태와 높이, 진행위치를 중심으로 한 좌우 폭의 비례 등이 기록된다. 2.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령상 안전점검의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어린이놀이시설의 연결 상태 ② 어린이놀이시설의 청결 상태 ③ 어린이놀이시설의 위치정보 ④ 위험물질의 존재 여부 3. 건축법령상 ‘공개공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개공지는 건축물과 연계하여 필로티 구조로 설치하거나 운용할 수 없다. ② 농수산물유통시설의 대지에는 공개공지를 설치해야 한다. ③ 공개공지의 면적은 대지면적의 100분의 20 이하의 범위에서 건축조례로 정한다. ④ 공개공지를 설치할 때에는 긴 의자 또는 조경시설 등 건축조례로 정하는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4. 단풍의 색이 다른 하나는? ① Euonymus alatus ② Diospyros kaki ③ Cornus kousa ④ Cercidiphyllum japonicum 5. (가), (나)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가) 은(는) 같은 도로에서 보행자와 차량의 통행이 허용되어 보행 안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방식이며, (나) 은(는) 같은 도로에서 보행자와 차량의 통행이 허용되지만, 보행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도로를 단순한 교통시설이 아닌 주민 생활의 중심으로 만드는 방식이다. (가) (나) ① 보차분리 보차공존 ② 보차혼용 보차공존 ③ 보차공존 보차혼용 ④ 보차혼용 보차분리 6. 다음 정의에 가장 부합하는 개념은? ○ 비용 효율적이면서 동시에 환경적ㆍ사회적ㆍ경제적 이점을 제공하고 복원력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연에서 영감을 얻거나 지원을 받는 방안(유럽연합 집행위원회, EC) ○ 자연적 또는 변형된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가능하게 관리ㆍ복원하기 위한 활동이며, 효과적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인간 복지와 생물다양성의 혜택을 제공하는 활동(세계자연보전연맹, IUCN) ① Nature-based Solution ② Smart Growth ③ Landscape Urbanism ④ ecosystem service 7. 조경기본계획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① 대안평가 ② 동선체계 ③ 토지이용 ④ 식재 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상 용도지구에 해당하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보호지구 ㄴ. 보전지구 ㄷ. 취락지구 ㄹ. 미관지구 ㅁ. 방재지구 ㅂ. 개발제한지구 ① ㄱ, ㄷ, ㅁ ② ㄱ, ㄴ, ㄹ, ㅂ ③ ㄴ, ㄷ, ㄹ, ㅁ ④ ㄱ, ㄴ, ㄷ, ㄹ, ㅂ 9. 문화재보호법령상 문화재 기초조사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방자치단체장은 조사계획서를 작성하여 조사 착수 후 14일 안에 문화재청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조사기간이 1년을 초과할 때에는 중간보고서를 조사가 시작된 후 6개월이 되는 때마다 작성해야 한다. ③ 해당 문화재의 일반적인 사항이나 현재 상태는 감독관의 허가를 득한 후 중간보고서에서 배제할 수 있다. ④ 문화재청장은 문화재 기초조사가 끝난 후 60일 안에 결과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10. 조경기준 상 조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식재토심: 옥상조경의 경우, 소관목은 15 cm 이상의 토심을 확보한다. ② 수목수량: 수고 5 m 이상이고, 흉고직경 18 cm 이상인 낙엽교목 1주는 교목 4주로 산정한다. ③ 식재수량: 주거지역에서 교목은 1 m 2당 0.1주 이상 식재한다. ④ 옥상조경 면적: 구조물의 벽면녹화의 경우, 근원경 4 cm 이상인 수목은 1주당 0.2 m 2로 산정한다. 2023년도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 조경계획 및 설계 나 책형 2쪽 11. 도시공원법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령상 도시공원 안 공원시설 부지면적 허용비율이 다른 것은? ① 근린공원 ② 수변공원 ③ 어린이공원 ④ 도시농업공원 12. 조선시대 조경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지원도(方池圓島)의 지당(池塘)은 둥근 하늘과 네모난 땅을 상징한다. ② 석지(石池)는 석연지(石蓮池)라고도 하며, 수생식물을 심어 관상하거나 하늘의 투영미를 감상하는 점경물이다. ③ 석상(石床)은 개성미 있고 기이하게 생긴 1 m 미만의 자연석으로 주로 화계나 담장 아래에 배치하였다. ④ 민가(民家) 안마당에는 교목 식재를 지양하고 집 주위에는 소나무를, 문 앞에는 회화나무를 주로 식재하였다. 13. 안전한 가로환경 조성지침 상 일반가로에 적용되는 범죄예방설계 (CPTED)의 공통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로수, 가로등, 표지판 등은 자연적 감시를 위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 및 규모로 제한한다. ② 차량과 오토바이 등을 이용한 노상범죄 예방과 보행자 안전을 위해 차로와 보행로를 명확하게 구분한다. ③ 통행량이 적은 곳이나 막다른 도로 등 사각지대에서는 조명을 강화하여 고립되지 않은 공간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한다. ④ 도로와 접한 광장이나 공개공지에서는 은폐된 공간을 만들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를 강화한다. 14.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의사결정방법론은? ○ 복수 대안에 대한 다면적 평가를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 설명변수 및 대안 간의 쌍대비교로 상대적인 중요성을 결정한다. ① 델파이 기법 ② AHP 기법 ③ SWOT 기법 ④ 오버레이 기법 15. 조경설계기준 상 지형변경을 위한 재료와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음용 마운딩은 음원과 수음점과의 거리를 크게 하고 음원쪽 마운딩을 높게 한다. ② 유지관리 시 표토 유실을 방지하고 표토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식재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한다. ③ 투수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되는 흙은 포화투수계수가 10-3 cm/sec 이상이어야 한다. ④ 식재를 위한 비탈면의 최대 기울기가 66.6 %인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관목류와 교목류를 식재한다. 16. 산림문화ㆍ휴양에 관한 법령상 ‘숲속야영장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숲속야영장에는 안전과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모노레일, 임산물 판매장, 매점 등 편익시설의 설치를 배제한다. ② 자동차야영장의 야영시설은 야영공간당 50 m 2 이상을 확보하고, 텐트 간 이격거리를 6 m 이상 확보한다. ③ 일반야영장의 야영시설은 야영공간당 15 m 2 이상을 확보하고, 텐트 간 이격거리를 6 m 이상 확보한다. ④ 시설은 자연배수가 잘되고 평균경사도가 25 ° 이내의 평지 또는 완경사 지역에 설치한다. 17. 조경설계기준 상 입면녹화용 식물과 특성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식물 특성 ① 등수국, 빈카, 송악 포복형 ② 남오미자, 인동덩굴, 멀꿀 감기형 ③ 시계꽃, 으아리, 덩굴장미 기대기형 ④ 담쟁이덩굴, 쥐다래, 노박덩굴 부착형 18.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령상 경사로(ramp)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사로의 기울기는 10분의 1 이하로 한다. 다만 기존시설의 경사로인 경우, 8분의 1까지 완화한다. ② 건축물을 신축할 경우, 휠체어가 통행할 수 있는 경사로의 유효폭은 0.9 m 이상으로 한다. ③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0.75 m 이내마다 휴식을 위해 수평면으로 된 참을 설치한다. ④ 곡선 경사로의 시종점, 굴절부 그리고 참에는 1.2 m × 1.2 m 이상의 활동공간을 확보한다. 19. 도동서원(A)과 필암서원(B)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A는 전재후당(前齋後堂), B는 전당후재(前堂後齋)의 배치구조를 갖는다. ② A는 수월루, B는 확연루라는 유식(遊息) 활동을 지원하는 누각이 있다. ③ A와 B는 모두 서원 내부에 지당(池塘)이 없다. ④ A는 B와 달리 강당에서 수월루를 바라볼 때 왼쪽에 서재, 오른쪽에 동재가 배치되었다. 20. 조경설계기준 상 옥상녹화 설계를 위한 도입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로 점토나 유기질 토양에서 순응한 다년초를 선정한다. ② 온실에서 재배한 식물은 직접 식재하지 않는다. ③ 식재 기반층이 얇을 때는 뿌리분이 평평한 식물을 심는다. ④ 경량형 녹화에는 생육이 양호하고 적정량의 질소(N) 시비로 키운 식물을 심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