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급_전기기기정답(2022-07-16 / 294.3KB / 660회)
전기기기(7급) 5 - 1 전 기 기 기 ( 7급 ) (과목코드 : 088) 2022년 군무원 채용시험 응시번호 : 성명 : 1. 다음 표는 60[Hz], 3상 4극 380[V] Y결선 유도전 동기의 시험결과이다. 이 전동기의 상당 전기자 저항[Ω]과 회전손[W]이 얼마인지 가장 적절한 것 은? 시험 종류 전압[V] 전류[A] 전력[W] DC저항 시험 15 30 225 무부하시험 380 10 487 회전자구속 시험 25 28 950 ① 전기자 저항= 0.5[Ω], 회전손 = 487[W] ② 전기자 저항= 0.25[Ω], 회전손 = 412[W] ③ 전기자 저항= 0.25[Ω], 회전손 = 487[W] ④ 전기자 저항= 0.5[Ω], 회전손 = 950[W] 2. 아래 그림에서 고정자에 전류 cos가 흐르고 있고 회전자 권선은 개방되어 회전자에 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일정한 속도로 회전 하고 있는 회전자의 각속도()는 얼마인가? ① ω/2 ② ω ③ 2ω ④ ω보다 슬립 s만큼 늦음 3. 용량이 8[kW]이고 정격전압이 200[V]인직류분권 발전기의 전기자 회로 저항이 0.2[Ω]이고계자회로 저항이 50[Ω]이다. 이 발전기를정격전압, 전부하에서 운전할 때에 이 발전기의내부 유기기전력[V]은 약 얼마인가? ① 178 ② 180 ③ 209 ④ 235 4. 다음은 직류기의 정류작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과대책을 설명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옳지않은 것은? ① 부하전류로 인하여 전기자반작용이 발생하여중성점이 이동되는데, 이것은 브러쉬를이동하여 해결할 수 있다. ② 정류시 정류자편에서 고전압이 발생하여불꽃이 생기는데, 직류전동기의 보극은 다가오는주극과 같은 극성을 갖도록 설치하면 해결될수 있다. ③ 부하전류로 인하여 공극자속이 왜곡되는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보극이나 정류극을 설치하면 일부 해결할 수 있다. ④ 전기자반작용의 대책으로는 보상권선을설치하는 것이 중성점이동, 감자현상 등의 문제를해결하는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전기기기(7급) 5 - 2 5. 6극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회전자를 구속시켜 놓은 상태에서 회전자에 유기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측정하니 각각 200[V], 60[Hz]이다. 회전자가 1140[rpm]으로 회전할 때 회전자 전압[V]과 주파수[Hz]는 각각 얼마인가? ① 10[V], 3[Hz] ② 60[V], 3.6[Hz] ③ 190[V], 57[Hz] ④ 5[V], 1.5[Hz] 6. 승압용 단권변압기를 사용하는 공장의 피상전 력이 S[VA]이다. 이 단권변압기의 공통권선(N1) 과 직렬권선(N2)의 수가 각각 N1과 N2 라면, 단권변압기에 사용된 2권선변압기의 용량[VA]은 얼마라고 할 수 있는가? ① ② × ③ × ④ × 7. 300[Hp], 60[Hz], 4극, Y-결선된 원통형 회전자 를 가진 동기전동기가 3/4 정격 부하에서 효율 90[%]로 운전하고 있다. 이 동기기의 전원이 3상 380[V], 60[Hz]일 때 전원에서 공급하는 유효전력 [W]은 얼마인가? ① 225[W] ② 250[W] ③ 167,850[W] ④ 186,500[W] 8. 100[kW], 1800[rpm]의 정격부하에서 운전하고있는 직류발전기의 단자전압이 200[V]이다. 전압변동률이 2[%]일 때, 무부하 전압은 얼마인가? ① 198[V] ② 202[V] ③ 204[V] ④ 206[V] 9. 그림은 스위치드 릴럭턴스 전동기의 단면이다. A상 권선을 여자하면 회전자에 회전력이발생한다. 회전력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옳은것은? ① A상 권선의 인덕턴스가 증가하는 방향② A상 권선을 통과하는 자로의 자기저항이증가하는 방향 ③ 전동기 시스템의 자기에너지가 증가하는방향 ④ 전동기의 회전수가 증가하는 방향 10. 권선형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저항에 가변저항을연결하면 저항의 크기에 따라서 전동기의특성값이 일정하게 비례하는 특성이 있다. 다음 특성 중에 회전자 저항의 크기에 비례하지않는 것은 무엇인가? ① 1차 전류 ② 역률 ③ 1차 입력전력 ④ 2차 출력 전기기기(7급) 5 - 3 11. 지상역률 0.8의 정격부하에서 전압변동률이 4[%]인 변압기를 진상역률 0.8의 정격부하에서 운전하면 전압변동율은 약 몇[%]인가? (단, %저항강하는 %리액턴스 강하의 1/4이다.) ① -4 ② -2 ③ 0 ④ 2 12. 다음 중 유니버셜 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직류전원과 교류전원 겸용이다. ② 대용량 직권전동기에 주로 사용된다. ③ 전기자와 직권계자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④ 발생되는 토크의 방향은 교류전원의 극성과 관계가 있다. 13. 다음 그림은 간단한 교류발전기의 모델이다. 자계세기는 B[T], 코일전류는 I[A], 회전자 코어의 길이는 L[m], 코일의 반경은 r[m], 코일의 턴수 N[Turns], 각속도는 ωm[rad/sec] 이다. 이때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의 최대값 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그림. 발전기의 단면과 코일 형상) ① ② ③ ④ 14. 직류기 전기자의 권선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있다. 이 중에 중권(lap winding, 2층권또는병렬권)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단중중권의 병렬회로수는 기기의 극수와같다. ② 다극기에서 중권은 정류시 병렬회로사이에 내부 순환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것은균압화 권선을 설치하면 해결될 수 있다. ③ 다극기에서 중권은 병렬회로수가 많게 되므로저전압 및 대전류의 기기에 적합하다고 할수있다. ④ 중권의 경우 정류자 피치는 항상 2 이다. 15. 3상 100[Hp], 380[V], 60[Hz], 4극 유도전동기가정격부하, 정격전압, 정격주파수에서 1760[rpm] 으로 운전되고 있다. 전원전압이 정격의 90[%] 로 감소되었을 경우, 다음 설명 중 옳지않은것은? ① 회전 속도를 1760 rpm으로 유지하려면회전자 축에 걸리는 토크를 줄여야 한다. ② 기동토크가 감소한다. ③ 최대토크가 발생하는 슬립이 감소한다. ④ 철손이 감소한다. 전기기기(7급) 5 - 4 16. 단상변압기 용량 S[kVA], 철손이 Pi[kW], 전부하동손이 P cu[kW]일 때, 최대효율은 몇 Smax[kVA]에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는가? ① max × ② max × ③ max × ④ max × 17. 극수 4, 회전수 1800[rpm]의 동기발전기와 병렬 운전하는 극수 6의 동기발전기의 회전수[rpm]는 다음 중 얼마인가? ① 1800[rpm] ② 1500[rpm] ③ 1200[rpm] ④ 900[rpm] 18. 3상 P극 유도전동기가 입력전원주파수 F[Hz] 에서 슬립 s로 운전 중일 때 출력이 W[W]이다. 이때 출력토크 [N·m]은 어떻게 표현되는가? ① × [N·m] ② × [N·m] ③ × [N·m] ④ [N·m] 19. 직류분권발전기는 기동시 어떤 요인에 의해서유도전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원인과 해결방법이 적합하지 않는 것은? ① 자극에 잔류자속이 없는 경우에는 전압이발생될 수 없으므로, 계자회로를 분리하여 외부직류전원에 연결하여 잔류자속을 만들어 준다. ② 발전기의 회전방향이나 계자회로의 방향이잘못연결된 경우에는, 각 방향을 확인하여 정상적방향으로 연결하여 준다. ③ 발전기의 회전속도가 낮으면 전압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적당한 속도를 유지시켜주도록원동기를 제어해 준다. ④ 계자저항이 임계저항 값보다 크게 설정되어있으면, 전압이 발생될 수 없으므로 계자저항을 감소시켜 준다. 20. 직류분권발전기의 단자전압이 120[V], 전기자저항은 0.2[Ω]이며, 전부하시 전기자전류는40[A]이다. 이 발전기의 기동전류를 전부하시의 1.5배로 한다면 기동저항은 얼마로 설계하면되는가? ① 1.8[Ω] ② 2.0[Ω] ③ 2.2 [Ω] ④ 2.4 [Ω] 전기기기(7급) 5 - 5 21. 다음 변압기의 손실 중에 와류손은 전원주파수, 자속밀도 및 코어 두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단, 표피효과 는 무시한다.) ① 와류손은 두께와 주파수, 자속밀도에 각각 비례한다. ② 와류손은 두께에 반비례, 주파수와 자속밀도의 2승에 비례한다. ③ 와류손은 두께의 2승, 주파수와 자속밀도의 2승에 각각 비례한다. ④ 와류손은 두께와 자속밀도에 비례하고, 주파수의 2승에 비례한다. 22. 다음 중 3상 변압기 2대를 병렬 운전하려고 한다. 병렬 운전이 불가능한 3상 변압기 결선 조합은 어느 것인가? ① Δ-Y 와 Δ-Y ② Δ-Y 와 Y-Δ ③ Y-Δ 와 Y-Δ ④ Δ-Δ 와 Y-Δ 23. 단상유도전동기는 기동을 위하여 특별한 장치가 필요하므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다음 중 기동토크를 가장 크게 할 수 있는 단상유도전동기는 어느 것이라고 할 수 있는가? ① 반발 기동형 ② 콘덴서 기동형 ③ 세이딩 코일형 ④ 분상 기동형 24. 다음 중 선형유도전동기의 속도에 관한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속도는 극수와 주파수에 비례한다. ② 속도는 전압과 극수에 비례한다. ③ 속도는 전류와 극피치에 비례한다. ④ 속도는 극피치와 주파수에 비례한다. 25. 다음 그림은 단상 전파정류회로이다. 입력교류측 공급전압 sin[V]일때, 출력측 부하저항이 10[Ω] 일 때 출력측 전압의 평균전압[V]은 얼마인가? ① 141[V] ② 282[V] ③ 200[V] ④ 346[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