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기-B정답(2021-10-16 / 758.4KB / 855회)
2021년도 지방공무원 9급 경력경쟁임용 필기시험 전기기기 B 책형 1 쪽 전기기기 문 1. 변압기의 1차 측 권선이 250회, 2차 측 권선이 100회, 1차 측 전압의 크기가 100 V일 때, 2차 측 전압의 크기[V]는? (단, 변압기는 이상적으로 동작한다) ① 20 ② 40 ③ 60 ④ 80 문 2. 직류 발전기를 전기자 권선과 계자 권선의 접속 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직류 분권 발전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계자에 잔류 자기가 없어도 발전이 가능하다. ㄴ. 전압변동률이 낮고, 계자의 세기는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ㄷ. 계자 저항기를 사용하여 폭넓은 범위의 전압 조정이 가능하다. ㄹ. 부하 전류에 비례하여 전압이 상승하는 특성을 이용하면 승압기로 사용된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ㄴ, ㄹ 문 3. 다음 동기 전동기의 V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상 특성 곡선이라고도 한다. ② 곡선의 최저점은 역률이 1에 해당하는 지점이다. ③ 점선의 왼쪽은 진상 역률이고, 오른쪽은 지상 역률이다. ④ ㉢은 무부하인 경우의 곡선이고, 곡선 ㉡과 ㉠은 부하를 점차 증가시켰을 경우의 곡선이다. 문 4. 동기임피던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ㄱ. 동기임피던스는 1상의 유도기전력에 비례하고, 단락전류에 반비례한다. ㄴ. 동기임피던스는 전기자 권선 저항과 동기리액턴스의 벡터 합으로 구할 수 있다. ㄷ. 동기임피던스가 커지면 단락비가 커지고, 과부하로부터 견딜 수 있는 능력도 커진다. ㄹ. 동기임피던스가 작아지면 정격전압 유도에 계자전류를 적게 흘려줄 수 있어 기계를 작게 할 수 있다. ① ㄱ, ㄴ ② ㄱ, ㄴ, ㄷ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문 5. 용량 100 kVA의 단상 변압기 3대를 ∆결선으로 사용 중 고장이 발생하여 V결선으로 전환할 때, 최대 공급 용량[kVA]은? ① ② ③ ④ 문 6. 다음은 변압기의 특성 시험을 위한 회로도와 등가회로다. 저압 측을 단락하고 1차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 1차 전류 이 되도록 전압을 조정한 후, 전력 [W]와 전압 [V]를 측정하였다.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변압기의 단락 시험으로 부하손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이다. ② 전력계에 나타나는 전력 는 임피던스 와트로 부하손이 된다. ③ 전압계에 나타나는 전압 는 임피던스 전압이다. ④ 이고, 이다. 문 7. 다음과 같이 직류 분권 전동기를 기동하려고 할 때, 계자 저항기 와 기동 저항기 는 어떻게 조정하여야 하는가? ① 최소 최대 ② 최소 최소 ③ 최대 최대 ④ 최대 최소 문 8. 회전자의 속도가 3,420 rpm이고, 슬립이 5 %, 주파수가 60 Hz인 유도 전동기의 극수는? ① 2 ② 4 ③ 6 ④ 8 문 9. 원통형 회전자를 가진 Y결선 동기 발전기의 동기임피던스가 5 Ω, 1상의 단자전압이 2,000 V, 유기기전력이 3,000V, 부하각이 30 °일 때, 3상 동기 발전기의 출력[kW]은? ① 1,200 ② 1,800 ③ 2,545.6 ④ 3,117.6 문 10. 4극, 중권, 직류 전동기의 전기자 전류가 100 A, 1극당 자속이 Wb, 1극당 전기자 도체수가 180일 때, 직류 전동기의 토크[N․m]는? ① 90 ② 180 ③ 360 ④ 720 2021년도 지방공무원 9급 경력경쟁임용 필기시험 전기기기 B 책형 2 쪽 문 11. 다음은 아라고 원판을 이용하여 3상 유도 전동기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 것이다. (가)와 (나)에 들어갈 말을 옳게 짝 지은 것은? ○ 말굽자석을 회전시키면 원판에 (가) 법칙에 의해 기전력 발생 ○ 기전력에 의한 와전류(맴돌이전류)에 의해 원판에 (나) 법칙에 따라 전자력이 작용하여 회전력 발생 (가) (나) ① 플레밍의 왼손 패러데이 ② 플레밍의 왼손 플레밍의 오른손 ③ 플레밍의 오른손 패러데이 ④ 플레밍의 오른손 플레밍의 왼손 문 12.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 단방향 전류소자이다. ○ 게이트와 이미터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구동한다. ① GTO ② MOSFET ③ IGBT ④ TRIAC 문 13. 인버터를 이용한 속도 제어 방법 중 PW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전압형 인버터에 주로 이용된다. ② 펄스의 진폭을 변조하는 방식이다. ③ 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④ 다른 방식에 비해 경제적이기 때문에 범용 인버터는 대부분 PWM 방식을 사용한다. 문 14. 동기전동기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직류전원이 필요하다. ② 난조를 일으킬 염려가 없다. ③ 항상 역률 1로 운전할 수 있다. ④ 회전 속도가 동기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문 15. 전기자 저항이 0.02 Ω인 직류 분권 발전기가 1,000 rpm의 속도로 회전할 때, 단자 전압이 198 V이고, 전기자 전류가 100 A를 나타내었다. 이 발전기를 전동기로 전환해서 198 V의 단자 전압을 공급하여 100 A의 전기자 전류가 흐를 때 전동기의 회전수[rpm]는? (단, 전기자 반작용은 무시한다) ① 954 ② 976 ③ 980 ④ 988 문 16. 회전자가 슬립 로 회전하고 있을 때, 고정자와 회전자의 권수비를 라고 하면 1차 유도기전력 과 2차 유도기전력 의 비는? ① ② ③ ④ 문 17. 다음과 같은 3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A ~ D의 구간과 각 구간별 도통 다이오드를 옳게 짝 지은 것은? ① A구간: , ② B구간: , ③ C구간: , ④ D구간: , 문 18. 다음과 같은 정류회로에서 사인파 입력 전압 의 실횻값이 200 V일 때, 출력 전압 의 평균값[V]은? (단, 다이오드는 이상적으로 동작한다) ① 140 ② 160 ③ 180 ④ 200 문 19. 다음과 같은 단상 변압기 3대를 이용한 3상 결선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중성점 접지가 용이하지 않아 사고 시 보호가 어려울 수 있다. ② 변압기 외부에 제3고조파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통신장애가 없다. ③ 제3고조파 여자 전류 통로를 가지게 되므로 사인파 전압을 유기한다. ④ 변압기 3대 중 1대가 고장 나더라도 정격 출력의 87.6 [%]가 되는 3상 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문 20. 380 V, 10 kW 3상 유도 전동기를 전전압 기동법으로 운전하였을 때, 기동 전류는 180A로 측정되었다. 이 전동기를 Y-∆로 기동했을 때, 측정될 기동 전류[A]는? ① 40 ② 60 ③ 90 ④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