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정답(2017-10-11 / 902.6KB / 8,169회)
2017 경찰 2차 국어 해설 유두선 (2017-10-11 / 534.3KB / 7,811회)
2017 경찰 2차 국어 해설 조창욱 (2017-10-11 / 351.3KB / 3,452회)
2017 경찰 2차 국어 해설 차라리봄 (2017-10-11 / 593.5KB / 2,685회)
2017 경찰 2차 국어 해설 이유진 (2017-12-25 / 467.3KB / 4,556회)
- 13 - 【국 어】 1. 다음 <보기> 중 밑줄 친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 기 > ㉠ 사람을 기르는 것이 중요해. ㉡ 그것은 그가 할 따름이죠. ㉢ 우리가 할 만큼은 했어. ㉣ 선생님 한 분이 새로 오신대요. ① 명사를 대신하여 대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② 사용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나뉜다. ③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뉜다. ④ 실질적 의미가 희박한 형식성 의존 명사와 수량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위성 의존 명사로 나뉜다. 2. 다음 중 국어의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관형사와 부사는 뒤에 오는 다른 말을 꾸며 주기 때문에 수식언이라 한다. ②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것으로 ‘그러나, 그런데’ 등과 같은 것이 있다. ③ 감탄사는 화자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대답을 나타내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④ 조사는 체언 뒤에 결합해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말로서, 격 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가 있다. 3. 다음 한자어와 한글 독음 표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尿素 - 요소 ② 匿名 - 익명 ③ 理髮 - 이발 ④ 雙龍 - 쌍용 4. 다음 <보기>에 대한 문법적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보 기 > 영선: 냉장고에 토마토 ㉠재워 놨다. 먹어. 철이: ㉡깨우면 돼? 영선: 뭘? 철이: 개그가 ㉢안 통하네. 영선: 뭐? ㉣자는 거 먹어. 눈치 ㉤못 채게. ① ㉠은 ‘눈이 감기며 의식 없는 상태가 되어 활동하는 기능이 쉬는 상태로 되다.’를 뜻하는 ‘자다’ 동사의 피동사이다. ② ㉡은 ‘잠이나 술에서 깨다’를 뜻하는 ‘깨다’ 동사의 사동사이다. ③ ㉢과 ㉤은 의지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 표현이다. ④ ㉣은 ㉠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동사이다. 5. 다음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근대 국어 시기에 방점 표기 및 ‘ㆁ’과 ‘ㅿ’이 문자 체계에서 사라진다. ② 고대 국어의 향가에서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은 분명히 확인되며 청자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은 잘 확인되지 않는다. ③ 중세 국어 시기에 ‘뫼, ᄀᆞᄅᆞᆷ’은 각각 한자어 ‘산(山), 강(江)’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고유어가 눈에 띄게 없어지고 한자어로 대체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