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출
012345678
 
[유튜브] [소방 실무] 2023년 소방법 개정안 요점정리
직렬


한국사정답(2017-10-11 / 508.0KB / 7,251회)


2017 경찰 1차 한국사 해설 김병철 (2017-10-11 / 151.9KB / 3,956회)


2017 경찰 1차 한국사 해설 신영식 (2017-10-11 / 7.55MB / 6,877회)


2017 경찰 1차 한국사 해설 장태산 (2017-10-11 / 207.0KB / 1,358회)


- 한국사 1 - 【한국사】 1. 우리나라 선사시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제천 점말 동굴에서는 사람의 얼굴을 새긴 털코뿔이뼈 등이 출토되었다. ② 부여 송국리 유적의 원형 집터의 경우, 집터의 바닥 중앙에 구덩이를 파고 그 양쪽 끝에 2개의 기둥을 세운 특징이 있다. ③ 신석기 시대에는 같은 씨족끼리 혼인하는 것을 피하는 족외혼이 지켜졌으며, 자연현상이나 자연물에도 정령이 있다고 믿는 토테미즘이 나타났다. ④ 철기시대에는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면서 농업이 크게 발달하였으며, 철기와 함께 출토되는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은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보여준다. 2. 밑줄 친 나라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나라에는 군왕이 있고, 모두 가축의 이름으로 관명을 정하여 마가, 우가, 저가, 구가와 대사자, 사자가 있다. 이들 가들은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는데, 큰 곳은 수천 가이며, 작은 곳은 수백 가였다. (중략)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이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왕에게 돌려 ‘왕을 마땅히 바꾸어야 한다.’고 하거나 ‘죽여야 한다.’고 하였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①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껴묻거리와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② 매년 12월에 영고라는 제천행사가 열렸으며, 이는 수렵 사회의 전통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③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으며,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④ 해산물이 풍부하고 농사가 잘 되었으며, 민며느리제와 가족 공동묘제의 풍속이 있었다. 3. 통일신라의 토지 제도를 시행된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처음으로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 문무 관료전을 지급하되, 차등을 두었다. ㉢ 여러 내외관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 여러 내외관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여 이로써 영원한 법식을 삼았다. ① ㉡→㉣→㉠→㉢ ② ㉣→㉡→㉠→㉢ ③ ㉡→㉠→㉣→㉢ ④ ㉣→㉡→㉢→㉠ 4. 신라시대 승려 원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진골 귀족 출신으로 당나라에서 수학하고 온 뒤 영주에 부석사를 세웠다. ② 인도에 들어가 성지를 순례하고 기행문을 저술하였다. ③ 대중에게 ‘나무아미타불’을 염불하면 극락세계에 간다고 주장하였다. ④ 왕에게 건의하여 황룡사 9층 목탑을 건립하게 하였다. 5. 다음 제시된 사건과 가장 가까운 시기인 것은? 왕이 말하기를 “사람에게는 위와 아래가 있고, 벼슬에도 높고 낮음이 있어 명칭과 법식이 같지 않고 의복 또한 다른 것이다. 그런데 세상의 습속은 점점 각박해지고 백성들은 다투어 사치와 호화를 일삼고 오로지 외래품의 진귀한 것만을 숭상하고 토산물의 야비한 것을 싫어한다. 그리하여 예절이 분수에 넘치는 데 빠지고 풍속이 파괴되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이에 옛날 법에 따라 엄한 명령을 내리는 것이니, 그래도 만약 일부러 범하는 자는 진실로 응당한 형벌이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①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 근처로 이동하여 국가를 세웠다. ② 장보고가 당에서 귀국하여 현재의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였다. ③ 불국토의 이상을 조화와 균형감각으로 표현한 불국사가 건립되었다. ④ 견훤이 지방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6. 고려시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태조는 평양을 서경으로 삼아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청천강에서 영흥에 이르는 영토를 확보하였다. ② 광종은 노비안검법과 과거제를 시행하고, 이어 많은 건국 공신과 호족을 숙청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③ 성종은 최승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 정치 이념을 바탕으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으며, 국자감을 정비하고 지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하는 등 유학교육의 진흥에 노력하였다. ④ 고려 전기에는 수령이 파견되지 않은 속현보다 수령이 파견된 주현이 더 많았으며, 호족들은 점차 수령을 보좌하는 향리로 바뀌게 되었다. 7. 고려시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숙종 때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인 ‘건원중보’를 만들어 유통시켰으나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였다. ㉡ 목종 때 시행된 ‘개정전시과’에서는 인품 요소를 배제하고 오로지 관품만을 기준으로 18과로 나누어 차등 지급하였으며, ‘시정전시과’에 비해 전체적으로 지급액수가 줄어들었다. ㉢ 원나라는 ‘동녕부’를 설치한 이후 철령 이북 화주에 ‘쌍성총관부’를 설치하였다. ㉣ 고려시대 중류층에는 중앙 관청의 말단 서리였던 ‘잡류’와 궁중 실무를 관리한 ‘남반’ 등이 속하였다. ㉤ 고려시대 군인의 유가족에게는 ‘구분전’을 지급하여 생활을 유지하게 하였다. ① ㉠㉢ ② ㉡㉢ ③ ㉣㉤ ④ ㉠㉤ 8. 고려 후기 공민왕 재위 때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홍건적이 침입해 와서 왕이 복주까지 피난하기도 하였다. ② 신돈을 등용하였으며,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의 권력을 약화시켰다. ③ 박위로 하여금 쓰시마 섬을 정벌케 하였다. ④ 왕을 시해하려는 흥왕사의 변이 발생하였다. 9. 조선 전기 각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